홈 > 서적출판 > 주제의 확장 > 앙굿따라 니까야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AN-3) ‒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

▣ 주제의 확장(AN-3) ‒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


앙굿따라 니까야의 둘의 모음~열하나의 모음은 모두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으로 끝나는데, 대상인 불선법(不善法)들 17가지에 대한 10가지 목적의 성취를 위해 닦아야 하는 수행 방법의 숫자만 모음의 수에 맞춰 제시합니다. 결집의 과정에 같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어떤 시도가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는데, 1)공부의 목적과 2)버려야 하는 대상[고(苦)의 원인들=고집(苦集)] 그리고 3)성취를 위한 방법[고멸도(苦滅道)]을 열 개의 모음에 걸쳐 상세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성취 방법은 여러 가지의 상(想)을 포함하는데, 이유를 설명하였습니다. ― 무명(無明)에 덮이고 애(愛)에 묶여 옮겨가고 윤회하는 중생의 근본 문제는 번뇌 즉 전도(轉倒)된 상(想)이어서 상(想)의 전도의 강도를 해소해 가는 것이 불교 수행의 본질임. 그래서 상(想)-락(樂)-아(我)-정(定)의 전도된 상(想)을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부정(不淨)의 전도되지 않은 상(想)으로 바꿔가야 함[전도의 강도의 해소]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상(想)을 닦는 것으로 성취 방법을 제시하는 것임.


● 대상인 불선법 17가지 ― 탐(貪-rāga)-진(嗔-dosa)-치(癡-moha)-화(kodha)-원한(upanāha)-저주(makkha)-횡포(paḷāsa)-질투(issa)-인색(macchariya)-사기(māya)-교활(sāṭheyya)-고집(thambha)-격분(sārambha)-자기화(māna)-오만(atimāna)-잠김(mada)-방일(pamāda) 


● 공부의 목적 10가지 ― 실다운 지혜(abhiññā)-완전한 지혜(pariññā)-완전한 부서짐(parikkhaya)-버림(pahāna)-부서짐(khaya)-무너짐(vaya)-바램(virāga)-소멸(nirodha)-포기(cāga)-놓음(paṭinissagga)


● 둘~열하나의 모음별 성취 방법


1) 둘의 모음 — 사마타와 위빳사나

 

2) 셋의 모음 — 공삼매(空三昧), 무상삼매(無相三昧), 무원삼매(無願三昧)

 

3) 넷의 모음 — ① 사념처(四念處), ② 사정근(四正勤), ③ 사여의족(四如意足)

 

4) 다섯의 모음


①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위험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② 무상의 상(想), 무아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③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빛바램의 상(想)

 

④ 다섯 가지 기능 :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

 

⑤ 다섯 가지 힘 :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

 

5) 여섯의 모음

 

① 여섯 가지 위없음 : 봄의 위없음, 들음의 위없음, 얻음의 위없음, 공부의 위없음, 섬김의 위없음, 기억의 위없음

 

② 계속해서 기억해야 하는 여섯 가지 : 불(佛), 법(法), 승(僧), 계(戒), 보시(布施), 천신(天神)

 

③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바램의 상(想), 소멸의 상(想)

 

6) 일곱의 모음

 

① 칠각지(七覺支) : 염각지(念覺支), 택법각지(擇法覺支), 정진각지(精進覺支), 희각지(喜覺支), 경안각지(輕安覺支), 정각지(定覺支), 사각지(捨覺支)

        

② 무상의 상(想), 무아의 상(想), 부정의 상(想), 위험의 상(想), 버림의 상(想), 바램의 상(想), 소멸의 상(想)

 

③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7) 여덟의 모음


① 팔정도(八正道) :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② 여덟 가지 지배의 경지

 

③ 여덟 가지 해탈

 

8) 아홉의 모음

 

①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바램의 상(想)

 

② 구차제주(九次第住) :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상수멸(想受滅)

 

9) 열의 모음

 

①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바램의 상(想), 소멸의 상(想)

 

② 무상의 상(想), 무아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해골이 된 것의 상(想), 벌레가 버글거리는 것의 상(想), 검푸른 것의 상(想), 문드러진 것의 상(想), 끊어진 것의 상(想), 부푼 것의 상(想)

 

③ 열 가지 바름 :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정지(正知), 정해탈(正解脫)

 

10) 열하나의 모음


열한 가지 증득 :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자심해탈(慈心解脫), 비심해탈(悲心解脫), 희심해탈(喜心解脫), 사심해탈(捨心解脫),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

 

[상세 내용 pdf 화일 첨부]

Comments

대원행 2022.04.27 14:53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49 참조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2 - (201-246)[계율 제정의 이유 & 탐의 반복(수행 방법 포괄)
대원행 01.15 20:34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44 참조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 (4-38)[(SN 45.7-추구 품) & 범행의 추구와 존재에서 벗어남의 갈애(무유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