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 여섯의 모음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10. dutiyamaraṇassatisuttaṃ (AN 6.20-죽음에 대한 사띠 경2)

2. sāraṇīyavaggo, 10. dutiyamaraṇassatisuttaṃ (AN 6.20-죽음에 대한 사띠 경2)

; (AN 8.74-죽음에 대한 사띠 경2)과 연결.


20. ekaṃ samayaṃ bhagavā nātike viharati giñjakāvasathe.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maraṇassati, bhikkhave, bhāvitā bahulīkatā mahapphalā hoti mahānisaṃsā amatogadhā amatapariyosānā. kathaṃ bhāvitā ca, bhikkhave, maraṇassati kathaṃ bahulīkatā mahapphalā hoti mahānisaṃsā amatogadhā amatapariyosānā?


한때 세존은 냐띠까에서 벽돌집에 머물렀다. 거기서 세존은 비구들에게 말했다. — 비구들이여, 죽음에 대한 사띠[사념(死念)]를 닦고 많이 행할 때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다. 불사(不死)로 들어감이고, 불사(不死)의 완성이다. 비구들이여, 죽음에 대한 사띠를 어떻게 닦고 어떻게 많이 행할 때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으며, 불사(不死)로 들어감이고, 불사(不死)의 완성인가?


“idha, bhikkhave, bhikkhu divase nikkhante rattiyā patihitāya iti paṭisañcikkhati — ‘bahukā kho me paccayā maraṇassa — ahi vā maṃ ḍaṃseyya, vicchiko vā maṃ ḍaṃseyya, satapadī vā maṃ ḍaṃseyya; tena me assa kālakiriyā, so mamassa antarāyo. upakkhalitvā vā papateyyaṃ, bhattaṃ vā me bhuttaṃ byāpajjeyya, pittaṃ vā me kuppeyya, semhaṃ vā me kuppeyya, satthakā vā me vātā kuppeyyuṃ; tena me assa kālakiriyā, so mamassa antarāyo’ti. tena, bhikkhave, bhikkhunā iti paṭisañcikkhitabbaṃ — ‘atthi nu kho m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pahīnā, ye me assu rattiṃ kālaṃ karontassa antarāyāyā’”ti.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낮이 가고 밤이 왔을 때 이렇게 숙고한다. — ‘나의 죽음을 위한 많은 조건이 있다. — 뱀이 나를 물 수도 있고, 전갈이 나를 물 수도 있고, 지네가 나를 물 수도 있다. 그것에 의해 나는 죽을 수 있고, 그것은 나에게 장애가 될 수 있다. 발이 걸려서 넘어질 수도 있고, 먹은 음식이 나에게 거슬릴 수도 있고, 담즙이 나에게서 균형을 잃을 수도 있고, 점액이 나에게서 균형을 잃을 수도 있고, 칼 같은 바람들이 나에게서 균형을 잃을 수도 있다. 그것 때문에 나는 죽을 수 있고, 그것은 나에게 장애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렇게 숙고해야 한다. — ‘밤 동안에 내가 죽을 때, 장애가 되는 버려지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나에게 있는가?’라고.


“sace, bhikkhave,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tthi m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pahīnā, ye me assu rattiṃ kālaṃ karontassa antarāyāyā’ti, tena, bhikkhave,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adhimatto chando ca vāyāmo ca ussāho ca ussoḷhī ca appaṭivānī ca sati ca sampajaññañca karaṇīyaṃ. seyyathāpi, bhikkhave, ādittacelo vā ādittasīso vā tasseva celassa vā sīsassa vā nibbāpanāya adhimattaṃ chandañca vāyāmañca ussāhañca ussoḷhiñca appaṭivāniñca satiñca sampajaññañca kareyya; evamevaṃ kho, bhikkhave, tena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adhimatto chando ca vāyāmo ca ussāho ca ussoḷhī ca appaṭivānī ca sati ca sampajaññañca karaṇīyaṃ.


만약, 비구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밤 동안에 내가 죽을 때, 장애가 되는 버려지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나에게 있다.’라고 알면, 비구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특별한 관심과 정진과 노력과 애씀과 열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옷이 불타거나 머리가 불타는 사람은 오직 그 옷과 머리의 불을 끄기 위해서 특별한 관심과 정진과 노력과 애씀과 열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행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그 사람은 오직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특별한 관심과 정진과 노력과 애씀과 열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행해야 한다. 


“sace pana, bhikkhave,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natthi m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pahīnā, ye me assu rattiṃ kālaṃ karontassa antarāyāyā’ti, tena, bhikkhave,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만약, 비구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밤 동안에 내가 죽을 때, 장애가 되는 버려지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나에게 없다.’라고 알면, 비구들이여, 그 비구는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고, 선법(善法)들에 대해 밤낮으로 계속해서 공부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idha pana, bhikkhave, bhikkhu rattiyā nikkhantāya divase patihite iti paṭisañcikkhati — ‘bahukā kho me paccayā maraṇassa — ahi vā maṃ ḍaṃseyya, vicchiko vā maṃ ḍaṃseyya, satapadī vā maṃ ḍaṃseyya; tena me assa kālakiriyā so mamassa antarāyo. upakkhalitvā vā papateyyaṃ, bhattaṃ vā me bhuttaṃ byāpajjeyya, pittaṃ vā me kuppeyya, semhaṃ vā me kuppeyya, satthakā vā me vātā kuppeyyuṃ; tena me assa kālakiriyā so mamassa antarāyo’ti. tena, bhikkhave, bhikkhunā iti paṭisañcikkhitabbaṃ — ‘atthi nu kho m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pahīnā, ye me assu divā kālaṃ karontassa antarāyāyā’”ti.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밤이 가고 낮이 왔을 때 이렇게 숙고한다. — ‘나의 죽음을 위한 많은 조건이 있다. — 뱀이 나를 물 수도 있고, 전갈이 나를 물 수도 있고, 지네가 나를 물 수도 있다. 그것에 의해 나는 죽을 수 있고, 그것은 나에게 장애가 될 수 있다. 발이 걸려서 넘어질 수도 있고, 먹은 음식이 나에게 거슬릴 수도 있고, 담즙이 나에게서 균형을 잃을 수도 있고, 점액이 나에게서 균형을 잃을 수도 있고, 칼 같은 바람들이 나에게서 균형을 잃을 수도 있다. 그것 때문에 나는 죽을 수 있고, 그것은 나에게 장애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렇게 숙고해야 한다. — ‘낮 동안에 내가 죽을 때, 장애가 되는 버려지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나에게 있는가?’라고.


“sace, bhikkhave,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tthi m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pahīnā, ye me assu divā kālaṃ karontassa antarāyāyā’ti, tena, bhikkhave,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adhimatto chando ca vāyāmo ca ussāho ca ussoḷhī ca appaṭivānī ca sati ca sampajaññañca karaṇīyaṃ. seyyathāpi, bhikkhave, ādittacelo vā ādittasīso vā tasseva celassa vā sīsassa vā nibbāpanāya adhimattaṃ chandañca vāyāmañca ussāhañca ussoḷhiñca appaṭivāniñca satiñca sampajaññañca kareyya; evamevaṃ kho, bhikkhave, tena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adhimatto chando ca vāyāmo ca ussāho ca ussoḷhī ca appaṭivānī ca sati ca sampajaññañca karaṇīyaṃ.


만약, 비구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낮 동안에 내가 죽을 때, 장애가 되는 버려지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나에게 있다.’라고 알면, 비구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특별한 관심과 정진과 노력과 애씀과 열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옷이 불타거나 머리가 불타는 사람은 오직 그 옷과 머리의 불을 끄기 위해서 특별한 관심과 정진과 노력과 애씀과 열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행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그 사람은 오직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특별한 관심과 정진과 노력과 애씀과 열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행해야 한다. 


“sace pana, bhikkhave,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natthi m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pahīnā, ye me assu divā kālaṃ karontassa antarāyāyā’ti, tena, bhikkhave,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evaṃ bhāvitā kho, bhikkhave, maraṇassati evaṃ bahulīkatā mahapphalā hoti mahānisaṃsā amatogadhā amatapariyosānā”ti. dasamaṃ. 


만약, 비구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낮 동안에 내가 죽을 때, 장애가 되는 버려지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나에게 없다.’라고 알면, 비구들이여, 그 비구는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고, 선법(善法)들에 대해 밤낮으로 계속해서 공부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비구들이여, 죽음에 대한 사띠를 이렇게 닦고 이렇게 많이 행할 때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으며, 불사(不死)로 들어감이고, 불사(不死)의 완성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