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 둘의 모음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2] muṭṭhassacca의 용례

[2] muṭṭhassacca의 용례 


1. (DN 33.5-합송경, 두 가지로 구성된 법들)


• “muṭṭhassaccañca asampajaññañca. 사실을 놓침과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


•  “sati ca sampajaññañca. 념(念)-정지(正知)


•  “indriyesu aguttadvāratā ca bhojane amattaññutā ca. 기능에서 문을 보호하지 못함과 음식의 적당량을 모름


• “indriyesu guttadvāratā ca bhojane mattaññutā ca. 기능에서 문을 보호함과 음식의 적당량을 앎


2. (AN 2.164-180-증득 품)


“dveme, bhikkhave, dhammā. katame dve? muṭṭhassaccañca asampajaññañca. ime kho, bhikkhave, dve dhammā”.


비구들이여, 이런 두 가지 법이 있다. 어떤 두 가지인가? 사실을 놓침과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 ― 비구들이여, 이런 두 가지 법이 있다.


“dveme, bhikkhave, dhammā. katame dve? sati ca sampajaññañca. ime kho, bhikkhave, dve dhammā”ti.


 비구들이여, 이런 두 가지 법이 있다. 어떤 두 가지인가? 염(念)-정지(正知) ― 비구들이여, 이런 두 가지 법이 있다.


3. (AN 4.202-믿음이 없는 사람 경)


attanā ca muṭṭhassati hoti, parañca muṭṭhassacce samādapeti; 자기도 사띠를 잊었고, 남에게도 사실을 놓치도록 부추긴다.


attanā ca upaṭṭhitassati hoti, parañca satiupaṭṭhāne samādapeti; 자기도 사띠를 확립했고, 남에게도 사띠를 확립하도록 부추긴다.


4. (AN 6.65-불환과(不還果) 경)


“cha, bhikkhave, dhamme appahāya abhabbo anāgāmiphalaṃ sacchikātuṃ. katame cha? assaddhiyaṃ, ahirikaṃ, anottappaṃ, kosajjaṃ, muṭṭhassaccaṃ, duppaññataṃ — ime kho, bhikkhave, cha dhamme appahāya abhabbo anāgāmiphalaṃ sacchikātuṃ.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법을 버리지 않으면 불환과(不還果)를 실현할 수 없다. 어떤 여섯 가지인가? 믿음이 없음, 히리가 없음, 옷땁빠가 없음, 게으름, 사실을 놓침, 지혜가 없음 ―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법을 버리지 않으면 불환과(不還果)를 실현할 수 없다.


“cha, bhikkhave, dhamme pahāya bhabbo anāgāmiphalaṃ sacchikātuṃ. katame cha? assaddhiyaṃ, ahirikaṃ, anottappaṃ, kosajjaṃ, muṭṭhassaccaṃ, duppaññataṃ — ime kho, bhikkhave, cha dhamme pahāya bhabbo anāgāmiphalaṃ sacchikātun”ti.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법을 버리면 불환과(不還果)를 실현할 수 있다. 어떤 여섯 가지인가? 믿음이 없음, 히리가 없음, 옷땁빠가 없음, 게으름, 사실을 놓침, 지혜가 없음 ―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법을 버리면 불환과(不還果)를 실현할 수 있다.


5. (AN 6.77-인간을 넘어선 법 경)


“cha, bhikkhave, dhamme appahāya abhabbo uttarimanussadhammaṃ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aṃ sacchikātuṃ. katame cha? muṭṭhassaccaṃ, asampajaññaṃ, indriyesu aguttadvārataṃ, bhojane amattaññutaṃ, kuhanaṃ, lapanaṃ. ime kho, bhikkhave, cha dhamme appahāya abhabbo uttarimanussadhammaṃ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aṃ sacchikātuṃ.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법을 버리지 않으면 인간을 넘어선 법인 성자들에게 적합한 차별적 지(知)와 견(見)을 실현할 수 없다. 어떤 여섯 가지인가? 사실을 놓침,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 기능에서 문을 보호하지 못함, 음식의 적당량을 모름, 위선, 불평 ―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법을 버리지 않으면 아라한의 경지를 실현할 수 없다.


“cha, bhikkhave, dhamme pahāya bhabbo uttarimanussadhammaṃ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aṃ sacchikātuṃ. katame cha? muṭṭhassaccaṃ, asampajaññaṃ, indriyesu aguttadvārataṃ, bhojane amattaññutaṃ, kuhanaṃ, lapanaṃ. ime kho, bhikkhave, cha dhamme pahāya bhabbo uttarimanussadhammaṃ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aṃ sacchikātun”ti.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법을 버리면 인간을 넘어선 법인 성자들에게 적합한 차별적 지(知)와 견(見)을 실현할 수 있다. 어떤 여섯 가지인가? 사실을 놓침,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 기능에서 문을 보호하지 못함, 음식의 적당량을 모름, 위선, 불평 ―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법을 버리면 아라한의 경지를 실현할 수 있다.


6. (AN 10.76-세 가지 법 경)


“tayome, bhikkhave, dhamme appahāya abhabbo ayoniso manasikāraṃ pahātuṃ kummaggasevanaṃ pahātuṃ cetaso līnattaṃ pahātuṃ. katame tayo? muṭṭhasaccaṃ appahāya, asampajaññaṃ appahāya, cetaso vikkhepaṃ appahāya — ime kho, bhikkhave, tayo dhamme appahāya abhabbo ayonisomanasikāraṃ pahātuṃ kummaggasevanaṃ pahātuṃ cetaso līnattaṃ pahātuṃ.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지 못하면 비여리작의(非如理作意)를 버리는 것, 잘못된 길의 실천을 버리는 것, 심(心)의 태만을 버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어떤 셋인가? 사실을 놓침을 버리지 못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을 버리지 못하고, 심(心)의 산만을 버리지 못하면 —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지 못하면 비여리작의(非如理作意)를 버리는 것, 잘못된 길의 실천을 버리는 것, 심(心)의 태만을 버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tayome, bhikkhave, dhamme appahāya abhabbo muṭṭhasaccaṃ pahātuṃ asampajaññaṃ pahātuṃ cetaso vikkhepaṃ pahātuṃ. katame tayo? ariyānaṃ adassanakamyataṃ appahāya, ariyadhammassa asotukamyataṃ appahāya, upārambhacittataṃ appahāya — ime kho, bhikkhave, tayo dhamme appahāya abhabbo muṭṭhasaccaṃ pahātuṃ asampajaññaṃ pahātuṃ cetaso vikkhepaṃ pahātuṃ.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지 못하면 사실을 놓침을 버리는 것,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을 버리는 것, 심(心)의 산만을 버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어떤 셋인가? 성자들을 만나기를 바라지 않음을 버리지 못하고, 성스러운 법을 듣기를 바라지 않음을 버리지 못하고, 비난하는 심(心)을 가짐을 버리지 못하면 —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지 못하면 사실을 놓침을 버리는 것,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을 버리는 것, 심(心)의 산만을 버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tayome, bhikkhave, dhamme pahāya bhabbo ayonisomanasikāraṃ pahātuṃ kummaggasevanaṃ pahātuṃ cetaso līnattaṃ pahātuṃ. katame tayo? muṭṭhasaccaṃ pahāya, asampajaññaṃ pahāya, cetaso vikkhepaṃ pahāya — ime kho, bhikkhave, tayo dhamme pahāya bhabbo ayonisomanasikāraṃ pahātuṃ kummaggasevanaṃ pahātuṃ cetaso līnattaṃ pahātuṃ.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면 비여리작의(非如理作意)를 버리는 것, 잘못된 길의 실천을 버리는 것, 심(心)의 태만을 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어떤 셋인가? 사실을 놓침을 버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을 버리고, 심(心)의 산만을 버리면 —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면 비여리작의(非如理作意)를 버리는 것, 잘못된 길의 실천을 버리는 것, 심(心)의 태만을 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tayome, bhikkhave, dhamme pahāya bhabbo muṭṭhasaccaṃ pahātuṃ asampajaññaṃ pahātuṃ cetaso vikkhepaṃ pahātuṃ. katame tayo? ariyānaṃ adassanakamyataṃ pahāya, ariyadhammassa asotukamyataṃ pahāya, upārambhacittataṃ pahāya — ime kho, bhikkhave, tayo dhamme pahāya bhabbo muṭṭhassaccaṃ pahātuṃ asampajaññaṃ pahātuṃ cetaso vikkhepaṃ pahātuṃ.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면 사실을 놓침을 버리는 것,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을 버리는 것, 심(心)의 산만을 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어떤 셋인가? 성자들을 만나기를 바라지 않음을 버리고, 성스러운 법을 듣기를 바라지 않음을 버리고, 비난하는 심(心)을 가짐을 버리면 —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들을 버리면 사실을 놓침을 버리는 것,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을 버리는 것, 심(心)의 산만을 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tayome, bhikkhave, dhamme pahāya bhabbo ariyānaṃ adassanakamyataṃ pahātuṃ ariyadhammassa asotukamyataṃ pahātuṃ upārambhacittataṃ pahātuṃ. katame tayo? uddhaccaṃ pahāya, asaṃvaraṃ pahāya, dussīlyaṃ pahāya — ime kho, bhikkhave, tayo dhamme pahāya bhabbo ariyānaṃ adassanakamyataṃ pahātuṃ ariyadhammassa asotukamyataṃ pahātuṃ upārambhacittataṃ pahātuṃ.


7. (AN 10.85-자랑 경)


‘muṭṭhassati kho pana ayamāyasmā; muṭṭhassaccaṃ kho pana tathāgatappavedite dhammavinaye parihānametaṃ.


이 존자는 사띠를 잊었다. 사실을 놓친 것, 여래가 선언한 법과 율에서 이것은 퇴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