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 하나의 모음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paṭisambhidā[무애해(無碍解)-분석적 통찰력/차별적 앎]의 용례

0 487 2021.07.09 20:12

 paṭisambhidā[무애해(無碍解)-분석적 통찰력/차별적 앎]의 용례


1. ekapuggalavaggo (AN 1.170-187-한 사람 품)


“ekapuggalassa, bhikkhave, pātubhāvā mahato cakkhussa pātubhāvo hoti, mahato ālokassa pātubhāvo hoti, mahato obhāsassa pātubhāvo hoti, channaṃ anuttariyānaṃ pātubhāvo hoti, catunnaṃ paṭisambhidānaṃ sacchikiriyā hoti, anekadhātupaṭivedho hoti, nānādhātupaṭivedho hoti, vijjāvimuttiphalasacchikiriyā hoti, sotāpattiphalasacchikiriyā hoti, sakadāgāmiphalasacchikiriyā hoti, anāgāmiphalasacchikiriyā hoti, arahattaphalasacchikiriyā hoti. katamassa ekapuggalassa? tathāgatassa arahato sammāsambuddhassa. imassa kho, bhikkhave, ekapuggalassa pātubhāvā mahato cakkhussa pātubhāvo hoti, mahato ālokassa pātubhāvo hoti, mahato obhāsassa pātubhāvo hoti, channaṃ anuttariyānaṃ pātubhāvo hoti, catunnaṃ paṭisambhidānaṃ sacchikiriyā hoti, anekadhātupaṭivedho hoti, nānādhātupaṭivedho hoti, vijjāvimuttiphalasacchikiriyā hoti, sotāpattiphalasacchikiriyā hoti, sakadāgāmiphalasacchikiriyā hoti, anāgāmiphalasacchikiriyā hoti, arahattaphalasacchikiriyā hotī”ti. 


비구들이여, 한 사람의 출현은 큰 눈의 출현이고, 큰 광명의 출현이고, 큰 빛의 출현이고, 여섯 가지 위없음의 출현이고, 네 가지 무애해(無礙解)의 실현이고, 다양한 요소의 꿰뚫음이고, 다른 요소의 꿰뚫음이고, 명(明)과 해탈(解脫)의 과(果)의 실현이고, 예류과(豫流果)의 실현이고, 일래과(一來果)의 실현이고, 불환과(不還果)의 실현이고, 아라한과(阿羅漢果)의 실현이다. 어떤 한 사람의 출현인가? 여래(如來)-아라한(阿羅漢)-정등각(正等覺)의 출현이다. 이 한 사람의 출현은, 비구들이여, 큰 눈의 출현이고, 큰 광명의 출현이고, 큰 빛의 출현이고, 여섯 가지 위없음의 출현이고, 네 가지 무애해(無礙解)의 실현이고, 다양한 요소의 꿰뚫음이고, 다른 요소의 꿰뚫음이고, 명(明)과 해탈(解脫)의 과(果)의 실현이고, 예류과(豫流果)의 실현이고, 일래과(一來果)의 실현이고, 불환과(不還果)의 실현이고, 아라한과(阿羅漢果)의 실현이다.


2. tatiyavaggo (AN 1.209-218-으뜸 품)


paṭisambhidāpattānaṃ yadidaṃ mahākoṭṭhitoti 


무애해를 얻은 자들 가운데 마하꼿티따가 으뜸이다.


3. kāyagatāsativaggo (AN 1.563-584-599-몸에 대한 사띠 품)


“ekadhamme, bhikkhave, bhāvite bahulīkate anekadhātupaṭivedho hoti. nānādhātupaṭivedho hoti. anekadhātupaṭisambhidā hoti. katamasmiṃ ekadhamme? kāyagatāya satiyā. imasmiṃ kho, bhikkhave, ekadhamme bhāvite bahulīkate anekadhātupaṭivedho hoti. nānādhātupaṭivedho hoti. anekadhātupaṭisambhidā hotī”ti. 


비구들이여, 하나의 법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다양한 요소의 꿰뚫음이 있고, 다른 요소의 꿰뚫음이 있고, 다양한 요소에 대한 무애해가 있다. 어떤 하나의 법인가? 몸에 대한 사띠이다. 이 하나의 법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비구들이여, 다양한 요소의 꿰뚫음이 있고, 다른 요소의 꿰뚫음이 있고, 다양한 요소에 대한 무애해가 있다.


4. puggalavaggo, 10. vādīsuttaṃ (AN 4.140-설교자 경)


“cattārome, bhikkhave, vādī. katame cattāro? atthi, bhikkhave, vādī atthato pariyādānaṃ gacchati, no byañjanato; atthi, bhikkhave, vādī byañjanato pariyādānaṃ gacchati, no atthato; atthi, bhikkhave, vādī atthato ca byañjanato ca pariyādānaṃ gacchati; atthi, bhikkhave, vādī nevatthato no byañjanato pariyādānaṃ gacchati. ime kho, bhikkhave, cattāro vādī. aṭṭhānametaṃ, bhikkhave, anavakāso yaṃ catūhi paṭisambhidāhi samannāgato atthato vā byañjanato vā pariyādānaṃ gaccheyyā”ti.


비구들이여, 이런 네 부류의 설교자가 있다. 어떤 넷인가? 비구들이여, 의미로는 막히지만, 표현으로는 막히지 않는 설교자가 있다. 비구들이여, 표현으로는 막히지만, 의미로는 막히지 않는 설교자가 있다. 비구들이여, 의미로도 막히고 표현으로도 막혀버리는 설교자가 있다. 비구들이여, 의미로도 막히지 않고 표현으로도 막히지 않는 설교자가 있다. 비구들이여, 이런 네 부류의 설교자가 있다. 비구들이여, 네 가지 무애해(無碍解)를 갖춘 자가 의미에서 막히거나 표현에서 막힌다는 것은 경우가 아니고, 여지가 없다.


5. vibhattisuttaṃ(AN 4.172-분석 경)


tatra kho āyasmā sāriputto bhikkhū āmantesi — “āvuso bhikkhave”ti. “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paccassosuṃ. āyasmā sāriputto etadavoca —


거기서 사리뿟따 존자는 “도반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불렀다. “도반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에게 대답했다. 사리뿟따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


“addhamāsūpasampannena me, āvuso, atthapaṭisambhidā sacchikatā odhiso byañjanaso. tamahaṃ anekapariyāyena ācikkhāmi desemi paññāpemi paṭṭhapemi vivarāmi vibhajāmi uttānīkaromi. yassa kho panassa kaṅkhā vā vimati vā, so maṃ pañhena. ahaṃ veyyākaraṇena sammukhībhūto no satthā yo no dhammānaṃ sukusalo.


“도반들이여, 나는 보름 만에 제한된 표현으로부터 의미의 무애해[의무애해(義無碍解)]를 실현하였습니다. 나는 그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하고 가르치고 밝히고 공언하고 확립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명확하게 하였습니다. 누구든지 의심과 혼란이 있는 자는 나에게 질문하십시오. 나는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우리의 법들에 대해 아주 능숙하신 우리 스승께서 곁에 계십니다.


“addhamāsūpasampannena me, āvuso, dhammapaṭisambhidā sacchikatā odhiso byañjanaso. tamahaṃ anekapariyāyena ācikkhāmi desemi paññāpemi paṭṭhapemi vivarāmi vibhajāmi uttānīkaromi. yassa kho panassa kaṅkhā vā vimati vā, so maṃ pañhena. ahaṃ veyyākaraṇena sammukhībhūto no satthā yo no dhammānaṃ sukusalo.


도반들이여, 나는 보름 만에 제한된 표현으로부터 법의 무애해[법무애해(法無礙解)]를 실현하였습니다. 나는 그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하고 가르치고 밝히고 공언하고 확립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명확하게 하였습니다. 누구든지 의심과 혼란이 있는 자는 나에게 질문하십시오. 나는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우리의 법들에 대해 아주 능숙하신 우리 스승께서 곁에 계십니다.


“addhamāsūpasampannena me, āvuso, niruttipaṭisambhidā sacchikatā odhiso byañjanaso. tamahaṃ anekapariyāyena ācikkhāmi desemi paññāpemi paṭṭhapemi vivarāmi vibhajāmi uttānīkaromi. yassa kho panassa kaṅkhā vā vimati vā, so maṃ pañhena. ahaṃ veyyākaraṇena sammukhībhūto no satthā yo no dhammānaṃ sukusalo.


도반들이여, 나는 보름 만에 제한된 표현으로부터 언어의 무애해[사무애해(詞無碍解)]를 실현하였습니다. 나는 그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하고 가르치고 밝히고 공언하고 확립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명확하게 하였습니다. 누구든지 의심과 혼란이 있는 자는 나에게 질문하십시오. 나는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우리의 법들에 대해 아주 능숙하신 우리 스승께서 곁에 계십니다.


“addhamāsūpasampannena me, āvuso, paṭibhānapaṭisambhidā sacchikatā odhiso byañjanaso. tamahaṃ anekapariyāyena ācikkhāmi desemi paññāpemi paṭṭhapemi vivarāmi vibhajāmi uttānīkaromi. yassa kho panassa kaṅkhā vā vimati vā, so maṃ pañhena. ahaṃ veyyākaraṇena sammukhībhūto no satthā yo no dhammānaṃ sukusalo”ti. dutiyaṃ.


도반들이여, 나는 보름 만에 제한된 표현으로부터 이해의 무애해[변무애해(辯無碍解)]를 실현하였습니다. 나는 그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하고 가르치고 밝히고 공언하고 확립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명확하게 하였습니다. 누구든지 의심과 혼란이 있는 자는 나에게 질문하십시오. 나는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우리의 법들에 대해 아주 능숙하신 우리 스승께서 곁에 계십니다.


6. paṭisambhidāpattasuttaṃ (AN 5.86-무애해를 얻음 경)


“pañc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thero bhikkhu sabrahmacārīnaṃ piyo ca hoti manāpo ca garu ca bhāvanīyo ca. katamehi pañcahi? atthapaṭisambhidāpatto hoti, dhammapaṭisambhidāpatto hoti, niruttipaṭisambhidāpatto hoti, paṭibhānapaṭisambhidāpatto hoti, yāni tāni sabrahmacārīnaṃ uccāvacāni kiṃkaraṇīyāni tattha dakkho hoti analaso tatrupāyāya vīmaṃsāya samannāgato alaṃ kātuṃ alaṃ saṃvidhātuṃ — imehi kho, bhikkhave, pañcahi dhammehi samannāgato thero bhikkhu sabrahmacārīnaṃ piyo ca hoti manāpo ca garu ca bhāvanīyo cā”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법을 갖춘 장로 비구는 동료수행자들이 사랑하고 마음에 들어하고 존중하고 경의를 표한다. 무엇이 다섯인가? 의미의 무애해[의무애해(義無碍解)]를 얻었고, 법의 무애해[법무애해(法無碍解)]를 얻었고, 언어의 무애해[사무애해(詞無碍解)]를 얻었고, 이해의 무애해[변무애해(辯無碍解)]를 얻었다. 동료수행자들을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여러 가지 소임들을 열심히 하고 거기에 숙련되고 게으르지 않으며, 그러한 검증을 갖추어 충분히 실행하고 충분히 준비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법을 갖춘 장로 비구는 동료수행자들이 사랑하고 마음에 들어하고 존중하고 경의를 표한다.


7. akuppasuttaṃ (AN 5.95-부동(不動) 경)


“pañc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nacirasseva akuppaṃ paṭivijjhati. katamehi pañcahi? idha, bhikkhave, bhikkhu atthapaṭisambhidāpatto hoti, dhammapaṭisambhidāpatto hoti, niruttipaṭisambhidāpatto hoti, paṭibhānapaṭisambhidāpatto hoti, yathāvimuttaṃ cittaṃ paccavekkhati. imehi kho, bhikkhave, pañca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nacirasseva akuppaṃ paṭivijjhatī”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오래지 않아 부동(不動)을 꿰뚫는다. 무엇이 다섯인가? 의미의 무애해[의무애해(義無碍解)]를 얻었고, 법의 무애해[법무애해(法無碍解)]를 얻었고, 언어의 무애해[사무애해(詞無碍解)]를 얻었고, 이해의 무애해[변무애해(辯無碍解)]를 얻었고, 해탈한 대로 그 마음을 반조(反照) 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오래지 않아 부동(不動)을 꿰뚫는다.


8. paṭhamapaṭisambhidāsuttaṃ(AN 7.38-무애해(無礙解) 경1)


“satt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nacirasseva catasso paṭisambhidā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eyya. katamehi sattahi? idha, bhikkhave, bhikkhu ‘idaṃ me cetaso līnatt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ajjhattaṃ saṃkhittaṃ vā cittaṃ ‘ajjhattaṃ me saṃkhittaṃ citt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bahiddhā vikkhittaṃ vā cittaṃ ‘bahiddhā me vikkhittaṃ citt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tassa viditā vedan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viditā saññ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viditā vitakk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sappāyāsappāyesu kho panassa dhammesu hīnappaṇītesu kaṇhasukkasappatibhāgesu nimittaṃ suggahitaṃ hoti sumanasikataṃ sūpadhāritaṃ suppaṭividdhaṃ paññāya. imehi kho, bhikkhave, satta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nacirasseva catasso paṭisambhidā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eyyā”ti.


비구들이여, 일곱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오래지 않아 네 가지 무애해(無礙解)를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다운 지혜로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물게 될 것이다. 무엇이 일곱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①‘이것은 나의 정신적인 태만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분명히 안다. 안으로 마음이 위축되어 있으면 ②‘나의 마음은 안으로 위축되어 있다.’라고 있는 그대로 분명히 안다. 밖으로 마음이 산란해져 있으면 ③‘나의 마음은 밖으로 산란해져 있다.’라고 있는 그대로 분명히 안다. ④그에게는 수(受)가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⑤상(想)이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⑥위딱까가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⑦도움이 되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 법들에 대해, 저열하거나 뛰어난 법들에 대해, 검거나 흰 부분을 가진 법들에 대해 상(相)[nimitta]을 잘 취하고 잘 작의(作意)하고 잘 간직하고 지혜로써 잘 꿰뚫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일곱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오래지 않아 네 가지 무애해(無礙解)를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다운 지혜로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물게 될 것이다.


9. dutiyapaṭisambhidāsuttaṃ(AN 7.39-무애해(無礙解) 경2)


“satt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sāriputto catasso paṭisambhidā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ti. katamehi sattahi? idha, bhikkhave, sāriputto ‘idaṃ me cetaso līnatt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ajjhattaṃ saṃkhittaṃ vā cittaṃ ‘ajjhattaṃ me saṃkhittaṃ citt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bahiddhā vikkhittaṃ vā cittaṃ ‘bahiddhā me vikkhittaṃ citt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tassa viditā vedan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viditā saññā . pe . vitakk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sappāyāsappāyesu kho panassa dhammesu hīnappaṇītesu kaṇhasukkasappatibhāgesu nimittaṃ suggahitaṃ sumanasikataṃ sūpadhāritaṃ suppaṭividdhaṃ paññāya. imehi kho, bhikkhave, sattahi dhammehi samannāgato sāriputto catasso paṭisambhidā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tī”ti.


비구들이여, 일곱 가지 법을 갖춘 사리뿟따는 네 가지 무애해(無礙解)를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다운 지혜로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문다. 무엇이 일곱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사리뿟따는 ①‘이것은 나의 정신적인 태만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분명히 안다. 안으로 마음이 위축되어 있으면 ②‘나의 마음은 안으로 위축되어 있다.’라고 있는 그대로 분명히 안다. 밖으로 마음이 산란해져 있으면 ③‘나의 마음은 밖으로 산란해져 있다.’라고 있는 그대로 분명히 안다. ④그에게는 수(受)가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⑤상(想)이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⑥위딱까가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⑦도움이 되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 법들에 대해, 저열하거나 뛰어난 법들에 대해, 검거나 흰 부분을 가진 법들에 대해 상(相)[nimitta]을 잘 취하고 잘 작의(作意)하고 잘 간직하고 지혜로써 잘 꿰뚫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일곱 가지 법을 갖춘 사리뿟따는 네 가지 무애해(無礙解)를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다운 지혜로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문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