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불교입문 > 새출발 법회 > 새출발법회2016

새출발 법회

해피스님의 새출발법회 2-38)[승가예찬 9)공양받아 마땅한 자~세상의 복전]8)

0 1,043 2017.12.02 16:21
▣ 해피스님의 새출발법회 2-38)[승가예찬 9)공양받아 마땅한 자~세상의 복전]8)
   [동영상] https://youtu.be/W-Zn7l5VtL0

「공양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받아 마땅하고 합장받아 마땅하고 위없는 세상의 복전」의 형태로 설해진 경전들의 용례를 읽어가면서 누가 이런 자들인가를 알아보는 여섯 번째 수업입니다. 
 
26. paṭhamāahuneyyasuttaṃ (AN 8.57)[공양 받아 마땅함 경1]

“aṭṭh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āhuneyyo hoti pāhuneyyo dakkhiṇeyyo añjalikaraṇīyo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katamehi aṭṭhahi? idha, bhikkhave, bhikkhu sīlavā hoti . pe . samādāya sikkhati sikkhāpadesu; bahussuto hoti . pe . diṭṭhiyā suppaṭividdhā; kalyāṇamitto hoti kalyāṇasahāyo kalyāṇasampavaṅko; sammādiṭṭhiko hoti, sammādassanena samannāgato;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hot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ti, seyyathidaṃ — ekampi jātiṃ dvepi jātiyo . pe . iti sākāraṃ sauddesaṃ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ti; dibbena cakkhunā visuddhena atikkantamānusakena . pe . yathākammūpage satte pajānāti; āsavānaṃ khayā . pe .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ti. imehi kho, bhikkhave, aṭṭha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āhuneyyo hoti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법을 구족한 비구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무엇이 여덟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계를 잘 지킨다. … 학습계목을 받아 지녀 공부한다. 그는 많이 배우고 배운 것을 잘 호지하고 … 견해로써 잘 꿰뚫는다. 그는 좋은 친구이고 좋은 동료이고 좋은 벗이다. 그는 바른 견해를 가져서, 바르게 봄을 구족하였다. 그는 바로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하는, 높은 마음인 네 가지 선(禪)을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고 얻고, 어렵지 않게 얻는다. 그는 수많은 전생의 갖가지 삶들을 기억한다.[宿命通] 즉 한 생, 두 생, … 이처럼 한량없는 전생의 갖가지 모습들을 그 특색과 더불어 상세하게 기억해낸다. 그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 중생들이 지은 바 그 업에 따라가는 것을 꿰뚫어 안다. 번뇌를 부수어 … 실현하고 구족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여덟 가지 법을 구족한 비구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27. dutiyāahuneyyasuttaṃ (AN 8.58)[공양 받아 마땅함 경2]

“aṭṭh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āhuneyyo hoti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katamehi aṭṭhahi? idha, bhikkhave, bhikkhu sīlavā hoti . pe . samādāya sikkhati sikkhāpadesu; bahussuto hoti . pe . diṭṭhiyā suppaṭividdhā; āraddhavīriyo viharati thāmavā daḷhaparakkamo anikkhittadhuro kusalesu dhammesu; āraññiko hoti pantasenāsano; aratiratisaho hoti, uppannaṃ aratiṃ abhibhuyya abhibhuyya viharati; bhayabheravasaho hoti, uppannaṃ bhayabheravaṃ abhibhuyya abhibhuyya viharati;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hot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āsavānaṃ khayā . pe .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ti. imehi kho, bhikkhave, aṭṭha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āhuneyyo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법을 구족한 비구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무엇이 여덟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계를 잘 지킨다. … 학습계목을 받아 지녀 공부한다. 그는 많이 배우고 배운 것을 잘 호지하고 … 견해로써 잘 꿰뚫는다. 그는 불굴의 정진으로 머물고 굳세고 분투하고 유익한 법들에 대한 짐을 내팽개치지 않는다. 그는 숲속에 머물고 외딴 거처를 의지한다. 그는 싫어함과 좋아함을 극복한다. 그는 싫어함이 일어나는 즉시 이를 극복하면서 머문다. 그는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한다. 그는 두려움과 공포가 일어나는 즉시 이를 극복하면서 머문다. 그는 바로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하는, 높은 마음인 네 가지 선(禪)을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고 얻고, 어렵지 않게 얻는다. 번뇌를 부수어 … 실현하고 구족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여덟 가지 법을 구족한 비구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28. paṭhamapuggalasuttaṃ (AN 8.59)[여덟 사람 경1]

“aṭṭhime bhikkhave, puggalā āhuneyyā pāhuneyyā dakkhiṇeyyā añjalikaraṇīyā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katame aṭṭha? sotāpanno, sotāpattiphalasacchikiriyāya paṭipanno, sakadāgāmī, sakadāgāmiphalasacchikiriyāya paṭipanno, anāgāmī, anāgāmiphalasacchikiriyāya paṭipanno, arahā, arahattāya paṭipanno. ime kho, bhikkhave, aṭṭha puggalā āhuneyyā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이러한 여덟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무엇이 여덟인가? 예류자, 예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일래자, 일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불환자, 불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아라한, 아라한을 위해 실천하는 자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여덟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cattāro ca paṭipannā, cattāro ca phale ṭhitā.
esa saṅgho ujubhūto, paññāsīlasamāhito.
“yajamānānaṃ manussānaṃ, puññapekkhāna pāṇinaṃ.
karotaṃ opadhikaṃ puññaṃ, saṅghe dinnaṃ mahapphalan”ti. 

네 가지 실천하는 자와 네 가지 과에 머무는 자들
이러한 승가는 올곧으며 지혜와 계와 삼매를 닦는다.
희생하는 인간, 공덕을 바라는 존재들
다시 태어남의 공덕을 지을 때, 승가에 대한 보시는 큰 결실이 있다.
 

29. dutiyapuggalasuttaṃ (AN 8.60)[여덟 사람 경2]
 

“aṭṭhime, bhikkhave, puggalā āhuneyyā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katame aṭṭha? sotāpanno, sotāpattiphalasacchikiriyāya paṭipanno . pe . arahā, arahattāya paṭipanno. ime kho, bhikkhave, aṭṭha puggalā āhuneyyā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이러한 여덟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무엇이 여덟인가? 예류자, 예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일래자, 일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불환자, 불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아라한, 아라한을 위해 실천하는 자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여덟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cattāro ca paṭipannā, cattāro ca phale ṭhitā.
esa saṅgho samukkaṭṭho, sattānaṃ aṭṭha puggalā.
“yajamānānaṃ manussānaṃ, puññapekkhāna pāṇinaṃ.
karotaṃ opadhikaṃ puññaṃ, ettha dinnaṃ mahapphalan”ti.

네 가지 실천하는 자와 네 가지 과에 머무는 자들
이러한 승가는 고귀하며, 살아 존재하는 여덟 사람이다.
희생하는 인간, 공덕을 바라는 존재들
다시 태어남의 공덕을 지을 때, 승가에 대한 보시는 큰 결실이 있다.
 

 
30. āhuneyyasuttaṃ (AN 9.10)[공양 받아 마땅함 경]
 

“navayime, bhikkhave, puggalā āhuneyyā pāhuneyyā dakkhiṇeyyā añjalikaraṇīyā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katame nava? arahā, arahattāya paṭipanno, anāgāmī, anāgāmiphalasacchikiriyāya paṭipanno, sakadāgāmī, sakadāgāmiphalasacchikiriyāya paṭipanno, sotāpanno, sotāpattiphalasacchikiriyāya paṭipanno, gotrabhū — ime kho, bhikkhave, nava puggalā āhuneyyā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이러한 아홉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무엇이 아홉인가? 아라한, 아라한을 위해 실천하는 자, 불환자, 불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일래자, 일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예류자, 예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자, 종성(種姓)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아홉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31. āhuneyyasuttaṃ (AN 10.16)[공양 받아 마땅함 경]
 

“dasayime, bhikkhave, puggalā āhuneyyā pāhuneyyā dakkhiṇeyyā añjalikaraṇīyā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katame dasa? tathāgato arahaṃ sammāsambuddho, paccekabuddho, ubhatobhāgavimutto, paññāvimutto, kāyasakkhī, diṭṭhippatto, saddhāvimutto, saddhānusārī, dhammānusārī, gotrabhū — ime kho, bhikkhave, dasa puggalā āhuneyyā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이러한 열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무엇이 열인가? 여래-아라한-정등각, 벽지불, 양면해탈자, 혜해탈자, 몸으로 체험한 자, 견해를 얻은 자, 믿음으로 해탈한 자, 믿음을 따르는 자, 법을 따르는 자, 종성(種姓)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열 사람은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32. dutiyakosalasuttaṃ (AN 10.30)[꼬살라 경2]

“puna caparaṃ, bhante, bhagavā santuṭṭho itarītaracīvarapiṇḍapātasenāsanagilānapaccayabhesajjaparikkhārena. yampi, bhante, bhagavā santuṭṭho itarītaracīvarapiṇḍapātasenāsanagilānapaccayabhesajjaparikkhārena, idampi kho ahaṃ, bhante, atthavasaṃ sampassamāno bhagavati evarūpaṃ paramanipaccakāraṃ karomi, mettūpahāraṃ upadaṃsemi. “puna caparaṃ, bhante, bhagavā āhuneyyo pāhuneyyo dakkhiṇeyyo añjalikaraṇīyo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yampi, bhante, bhagavā āhuneyyo pāhuneyyo dakkhiṇeyyo añjalikaraṇīyo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idampi kho ahaṃ, bhante, atthavasaṃ sampassamāno bhagavati evarūpaṃ paramanipaccakāraṃ karomi, mettūpahāraṃ upadaṃsemi. 

다시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의복, 음식, 거처, 병구완을 위한 약품이 좋은 것이든 좋지 않은 것이든 그것으로 만족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 의복, 음식, 거처, 병구완을 위한 약품이 좋은 것이든 좋지 않은 것이든 그것으로 만족하시는 이러한 이익을 보기에, 저는 세존께 이렇게 최상의 존경을 표하고 자애로움을 드러냅니다. 다시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입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신 이러한 이익을 보기에, 저는 세존께 이렇게 최상의 존경을 표하고 자애로움을 드러냅니다.

33. āhuneyyasuttaṃ (AN 10.97)[공양 받아 마땅함 경]

“das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āhuneyyo hoti pāhuneyyo dakkhiṇeyyo añjalikaraṇīyo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비구들이여, 열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katamehi dasahi? 무엇이 열인가? 

① 계를 잘 지킴
② 많이 배움
③ 좋은 친구를 가짐
④ 바른 견해를 가짐
⑤~⑩ 육신통(六神通)

imehi kho, bhikkhave, dasa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āhuneyyo hoti pāhuneyyo dakkhiṇeyyo añjalikaraṇīyo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이러한 열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환영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전(福田)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