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불교입문 > 새출발 법회 > 새출발법회2020

새출발 법회

원주 새출발법회(교리)(7) ㅡ 니까야는 무엇-경전구성-공부기준-수행경전안내(해피스님 200225)

원주 새출발법회(교리)(7) ㅡ 니까야는 무엇-경전구성-공부기준-수행경전안내(해피스님 200225)

[동영상] https://youtu.be/ZsOYhoYoXjs

 

지난 주 공부 중에 니까야가 무엇인지 설명해 달라는 요청이 있어서 경전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설명의 과정에서 근본경전연구회의 공부 기준과 대표적인 수행경전 세 가지도 함께 설명하였습니다.

 

삼장(三藏-ti-piṭaka) ㅡ 경장(經藏)-율장(律藏)-논장(論藏)

; piṭaka(삐따까): a basket; a container; one of the three main division of Pāli Canon. (nt.) 바구니 ()

 

(-vinaya-위나야): discipline; the code of monastic discipline; removal. (m.)

; vinaya-piṭaka[율장(律藏)] ㅡ 마하 위방가[비구 227()], 비구니 위방가[비구니 311()]로 구성

 

(-sutta-숫따): sutta-piṭaka 경장(經藏()의 분류에 의한 모음 = nikāya(니까야)

 

nikāya: a group; sect; a collection. (m.) ㅡ ①dīgha-nikāya(디가 니까야), ②majjhima-nikāya(맛지마 니까야), ③saṃyutta-nikāya(상윳따 니까야), ④aṅguttara-nikāya(앙굿따라 니까야), ⑤khuddaka-nikāya(쿳다까 니까야)

경(經-sutta)의 구성001.jpg

abhidhamma: the analytic doctrine of the Buddhist Canon. (m.)

 

‘abhi-’뛰어난, ~에 대()의 의미인데, ‘뛰어난으로 해석하는 경우는 뛰어난 법()’을 의미하는 논장(論藏-abhidhamma-piṭaka)이어서 일곱 가지로 구성됩니다[칠론(七論)].

 

하지만, ()에는 주로 abhidhammaabhivinaya의 쌍()으로 나타나는데, ‘()에 대한 공부()에 대한 공부의 의미로 해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경()abhidhamma()에 대한 공부이외에 뛰어난 법()’의 의미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근본경전연구회는 abhidhamma를 경() 안에서 발견되는 ()에 대한 공부로 해석하기 때문에 논장(論藏)으로 분류된 칠론(七論)을 공부의 기준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또한, 율장(律藏)에는 대품(大品-mahāvagga), 소품(小品-cūḷavagga), 보유편(補遺編-parivāra)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데, 1차 결집을 기준하는 근본경전연구회의 공부 기준에는 역시 포함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근본경전연구회의 공부 기준은 율장(律藏)의 마하 위방가-비구니 위방가와 경장(經藏)의 디가-맛지마-상윳따-앙굿따라의 4부 니까야 그리고 쿳다까 니까야의 법구경과 숫따니빠따입니다.

 

한편, 니까야에 대한 설명 가운데 수행의 중심이 되는 세 가지 경을 소개하였는데, 대념처경(大念處經)-신념처경(身念處經)-입출식념경(入出息念經)입니다.

 

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DN 22/MN 10-대념처경(大念處經))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2_09

 

kāyagatāsatisuttaṃ (MN 119-신념처경(身念處經))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2_09&wr_id=1

 

ānāpānassatisuttaṃ (MN 118-입출식념경(入出息念經))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2_08&wr_id=1

 

근본경전연구회는 곧이어 부산법회에서 이 세 개의 수행 경전을 강의할 예정인데, 번역은 약간 수정될 것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