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기본기

기본기

차례14[고행과 관련한 경전들2-1)나체수행자품-세 가지 실천](기본기법회 180423)

0 731 2018.04.25 08:10

차례14[고행과 관련한 경전들2-1)나체수행자품-세 가지 실천](기본기법회 180423)

[동영상] https://youtu.be/Z6JpPSsEjaU

 

고행(苦行)과 관련한 경전들을 용례의 파악을 통해 다시 정리하였습니다. 우선 고행(苦行)을 설명하는 내용을 다시 번역하였는데, 나체수행자 품에서는 지치게 하는 실천으로 나타납니다. 이때, 지치게 하는 실천으로의 고행은 tapa인데 비해 깨달음 이전 부처님의 고행(苦行)dukkarakāra[행하기 어려운 것을 행함]입니다. 이 두 가지의 차별 위에서 tapa에 속하는 고행(苦行)의 용례를 정리하는 과정으로 당분간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행(苦行)을 설명하는 용례는 모두 열 번 발견됩니다.

 

1. mahāsīhanādasuttaṃ (DN 8-사자후 큰 경)

2. udumbarikasuttaṃ (DN 25-우둠바리까 경)

3. mahāsīhanādasuttaṃ (MN 12-사자후 큰 경)

4. mahāsaccakasuttaṃ (MN 36-삿짜까 큰 경)

5. cūḷadhammasamādānasuttaṃ (MN 45-법 실천의 작은 경)

6. kandarakasuttaṃ (MN 51-깐다라까 경)

7. apaṇṇakasuttaṃ (MN 60-)

8. ghoṭamukhasuttaṃ (MN 94-고따무까 경)

9. acelakavaggo (AN 3.157-163 나체수행자 품)

10. attantapasuttaṃ (AN 4.198-자기 학대 경)

 

이 가운데 (DN 8-사자후 큰 경)(MN 12-사자후 큰 경)은 지난 수업에서 설명하였고, 이번 수업에서는 (AN 3.157-163 나체수행자 품)(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6_06&wr_id=1)을 통해 고행(苦行)의 번역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품()은 거친 수행, 지치게 하는 수행, 중도(中道)의 세 가지 실천을 말하는데, 소유적인 삶과 고행 그리고 일곱 가지 보리분법(菩提分法)입니다. 이때, 일곱 가지 보리분법이 팔정도(八正道)에 포괄됨을 설명함으로써 중도(中道)[majjhimā paṭipadā]팔정도(八正道) 바로 그 길의 실천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이어서 (DN 25-우둠바리까 경)을 소개하기 시작했는데 다음 동영상으로 분리하여 제작하였습니다.

 

고행(苦行)[tapa]의 번역

 

고행(苦行)[acelakavaggo (AN 3.157-163) 중에서]

 

idha, bhikkhave, ekacco acelako hoti muttācāro, hatthāpalekhano, na ehibhadantiko, na tiṭṭhabhadantiko, nābhihaṭaṃ na uddissakataṃ na nimantanaṃ sādiyati. so na kumbhimukhā paṭiggaṇhāti, na kaḷopimukhā paṭiggaṇhāti na eḷakamantaraṃ na daṇḍamantaraṃ na musalamantaraṃ na dvinnaṃ bhuñjamānānaṃ na gabbhiniyā na pāyamānāya na purisantaragatāya na saṅkittīsu na yattha sā upaṭṭhito hoti na yattha makkhikā saṇḍasaṇḍacārinī na macchaṃ na maṃsaṃ na suraṃ na merayaṃ, na thusodakaṃ pivati. so ekāgāriko vā hoti ekālopiko, dvāgāriko vā hoti dvālopiko... sattāgāriko vā hoti sattālopiko; ekissāpi dattiyā yāpeti, dvīhipi dattīhi yāpeti... sattahipi dattīhi yāpeti; ekāhikampi āhāraṃ āhāreti, dvāhikampi āhāraṃ āhāreti... sattāhikampi āhāraṃ āhāreti iti evarūpaṃ addhamāsikampi pariyāyabhattabhojanānuyogamanuyutto viharati. so sākabhakkhopi hoti, sāmākabhakkhopi hoti, nīvārabhakkhopi hoti, daddulabhakkhopi hoti, haṭabhakkhopi hoti, kaṇhabhakkhopi hoti, ācāmabhakkhopi hoti, piññākabhakkhopi hoti, tiṇabhakkhopi hoti, gomayabhakkhopi hoti, vanamūlaphalāhāro yāpeti pavattaphalabhojī.

 

acelaka: naked ascetic. (m.)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나체수행자는

 

[고행(苦行)-()] 품행에 얽매이지 않은 자이고, 음식을 받은 뒤에 핥아 먹는 자이고, ‘오시오!’라는 초대를 받지 않는 자이고, ‘서시오!’라는 초대를 받지 않는 자인데, 주어지지 않은 것과 배당되지 않은 것과 초대되지 않은 것을 받지 않는다. 그는 항아리의 가장자리로부터 받지 않고, 그릇의 가장자리로부터 받지 않고, 중간에 문지방이 있는 것, 중간에 몽둥이가 있는 것, 중간에 절굿공이가 있는 것, 두 사람이 먹고 있는 것, 임신부의 것, 젖을 먹이는 여자의 것, 남자에게 안긴 여자의 것을 받지 않고 모여 있는 곳에서 받지 않고, 개가 대기하고 있는 곳에서 받지 않고, 파리 떼가 득실거리는 곳에서 받지 않고, 어류를 받지 않고, 고기를 받지 않고, 술과 발효주와 발효하여 끓인 것을 마시지 않는다. 그는 한 집에서 한 입의 음식을, 두 집에서 두 입의 음식을 일곱 집에서 일곱 입의 음식을 받아먹는다. 작은 그릇 한 개의 음식으로 삶을 유지하고, 작은 그릇 두 개의 음식으로 삶을 유지하고, 작은 그릇 일곱 개의 음식으로 삶을 유지한다. 하루에 한 번 음식을 먹고, 이틀에 한 번 음식을 먹고, 이레에 한 번 음식을 먹는다. 이와 같은 식으로 보름에 한 번 음식을 먹는 방법의 음식을 먹는 것을 실천하며 머문다. 그는 야채를 먹기도 하고, 수수를 먹기도 하고, 생쌀을 먹기도 하고, 부드러운 뼈를 먹기도 하고, 수초를 먹기도 하고, 왕겨를 먹기도 하고, 뜨물을 먹기도 하고, 참깨가루를 먹기도 하고, 풀을 먹기도 하고, 쇠똥을 먹기도 하고, 나무뿌리와 열매를 음식으로 삶을 유지하고, 떨어진 열매를 먹고 삶을 유지한다.

 

so sāṇānipi dhāreti, masāṇānipi dhāreti, chavadussānipi dhāreti, paṃsukūlānipi dhāreti, tirīṭānipi dhāreti, ajinampi dhāreti, ajinakkhipampi dhāreti, kusacīrampi dhāreti, vākacīrampi dhāreti, phalakacīrampi dhāreti, kesakambalampi dhāreti, vāḷakambalampi dhāreti, ulūkapakkhikampi dhāreti,

 

[고행(苦行)-()] 그는 삼베옷도 입고, 삼베와 다른 원료를 섞어 짠 거친 옷도 입고, 수의(壽衣)도 입고, 분소의(糞掃衣)도 입고, Symplocos racemosa 나무껍질을 엮은 옷도 입고, 치타 가죽 옷도 입고, 치타 가죽 망토도 입고, 꾸사 풀 옷도 입고, 나무껍질 옷도 입고, 나무의 편편한 조각으로 만든 옷도 입고, 머리카락으로 만든 담요도 입고, 뱀 껍질로 만든 담요도 입고, 올빼미 깃털로 만든 옷도 입는다.

 

kesamassulocakopi hoti kesamassulocanānuyogamanuyutto, ubbhaṭṭhakopi hoti āsanapaṭikkhitto, ukkuṭikopi hoti ukkuṭikappadhānamanuyutto, kaṇṭakāpassayikopi hoti kaṇṭakāpassaye seyyaṃ kappeti, sāyatatiyakampi udakorohanānuyogamanuyutto viharati iti evarūpaṃ anekavihitaṃ kāyassa ātāpanaparitāpanānuyogamanuyutto viharati.

 

[고행(苦行)-수행(修行)] 머리카락과 턱수염을 뽑는 수행을 실천하는 자여서 머리카락과 턱수염도 뽑고, 앉는 것을 거부하는 자여서 똑바로 서기도 하고, 쪼그려 앉는 정진을 실천하는 자여서 쪼그려 앉기도 하고, 가시에 기대는 자여서 가시로 된 침대를 사용한다. 저녁에 세 번 물에 들어가는 수행을 실천하면서 머문다. 이와 같은 식의 다양한 방법으로 몸을 괴롭히는 고행을 실천하며 머문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