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팔정도

팔정도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 ㅡ 앙굿따라 니까야 둘의 모음 ~ 열하나의 모음 [목적-대상-방법]

0 864 2017.08.05 23:30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

앙굿따라 니까야 둘의 모음 ~ 열하나의 모음 [목적-대상-방법]

 
앙굿따라 니까야 둘의 모음부터 열하나의 모음까지 열 개의 모음은 모두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으로 끝을 맺습니다. 결집의 과정에 같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어떤 시도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게 합니다. 어쨌거나 앙굿따라 니까야의 각 모음의 마무리를 통해 1)공부의 목적과 2)버려야 하는 대상[고(苦)의 원인들=고집(苦集)] 그리고 3)실현을 위한 방법[고멸도(苦滅道)]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에 주목한 것은 참으로 중요한 발견이라고 하겠습니다.

먼저, 둘의 모음의 「탐(貪)의 반복」은 이렇습니다. 
 

Aṅguttara Nikāya, dukanipātapāḷi, 3. tatiyapaṇṇāsakaṃ,

4. rāgapeyyālaṃ (AN 2.231-232-246)

  
“rāgassa, bhikkhave, abhiññ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abhiññāya ime dve dhammā bhāvetabbā”ti.
  
“비구들이여, 탐(貪)의 수승한 지혜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수승한 지혜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abhiññ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pariññ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완전한 지혜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완전한 지혜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parikkhay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parikkhay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완전한 부숨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완전한 부숨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pahān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pahān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버림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버림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khay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khay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부숨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부숨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vay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vay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사라짐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사라짐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virāg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virāg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빛바램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빛바램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nirodh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nirodh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소멸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소멸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cāg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cāg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포기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포기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rāgassa, bhikkhave, paṭinissagg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rāgassa, bhikkhave, paṭinissaggāya ime dve dhammā bhāvetabbā”ti.
 
비구들이여, 탐(貪)의 놓아버림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놓아버림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dosassa ... pe ... mohassa... kodhassa... upanāhassa... makkhassa... paḷāsassa... issāya... macchariyassa... māyāya... sāṭheyyassa... thambhassa... sārambhassa... mānassa... atimānassa... madassa... 
 
진(嗔)의 … 치(癡)의 … 화의 … 원한의 … 모욕의 … 얕봄의 … 질투의 … 인색의 … 사기의 … 거짓의 … 완고의 … 성급함의 … 자기화의 … 거만의 … 교만의 …
  
pamādassa, bhikkhave, abhiññ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abhiññ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pariññ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pariññ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parikkhay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parikkhayāya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pahān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pahān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khay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khay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vay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vay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virāg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virāg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nirodh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nirodh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cāg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cāgā ime dve dhammā bhāvetabbā. pamādassa, bhikkhave, paṭinissaggāya dve dhammā bhāvetabb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pamādassa, bhikkhave, paṭinissaggāya ime dve dhammā bhāvetabbā”ti.
  
비구들이여, 방일(放逸)의 수승한 지혜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수승한 지혜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완전한 지혜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완전한 지혜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완전한 부숨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완전한 부숨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버림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버림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부숨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부숨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사라짐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사라짐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빛바램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빛바램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소멸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소멸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포기를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포기를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방일의 놓아버림을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탐(貪)의 놓아버림을 위해서 이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이 반복은 17가지로 제시된 불선법(不善法)들을 대상으로 10가지의 목적을 얻기 위한 방법의 제시로 나타나는데 두 가지 ~ 열한 가지입니다.
  
1. 대상인 불선법(不善法)들 - 17가지
  
탐(貪) [rāga]-진(嗔)[dosa]-치(癡)[moha]-화[kodha]-원한[upanāha]-모욕[makkha]-얕봄[paḷāsa]-질투[issa]-인색[macchariya]-사기[māya]-거짓[sāṭheyya]-완고[thambha]-성급함[sārambha]-자기화[māna]-거만[atimāna]-교만[mada]-방일[pamāda] 
  
(*)여기에 나타나는 17가지의 오염은 <가르침의 상속에 대한 경(M3)>에서 '스승께서 버려야 한다고 하신 것'으로 제시되는 16가지에 '3) 어리석음[moha]'이 추가된 것입니다. 또한, <옷감에 대한 비유의 경(M7)>에서는 마음의 오염원[cittassa upakkilesā]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몸 경(A10:23)>에서는 이 중 일부를 지칭하여 「몸으로도 말로도 제거할 수 없고 통찰지로 거듭 본 뒤 제거해야 하는 법들」이라고 합니다.
  
2. 목적 - 10가지

수승한 지혜[abhiññā]-완전한 지혜[pariññā]-완전한 부숨[parikkhaya]-버림[pahāna]-부숨[khaya]-사라짐[vaya]-빛바램[virāga]-소멸[nirodha]-포기[cāga]-놓아버림[paṭinissagga]

3. 성취 방법 ㅡ 각각의 모음마다 다르게 제시되고 있는데, 일곱 가지 보리분법 모두를 포함함.

1) 둘의 모음 ㅡ 사마타와 위빳사나
 
2) 셋의 모음 ㅡ 공삼매(空三昧), 무상삼매(無相三昧), 무원삼매(無願三昧)
                      [suññato samādhi, animitto samādhi, appaṇihito samādhi]
 
3) 넷의 모음 ㅡ ① 사념처(四念處), ② 사정근(四正勤), ③ 사여의족(四如意足)
 
4) 다섯의 모음

①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위험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asubhasaññā, maraṇasaññā, ādīnavasaññā, āhāre paṭikūlasaññā, sabbaloke anabhiratasaññā]
 
② 무상의 상(想), 무아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aniccasaññā, anattasaññā, maraṇasaññā, āhāre paṭikūlasaññā, sabbaloke anabhiratasaññā]
  
③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빛바램의 상(想)
[aniccasaññā, anicce dukkhasaññā, dukkhe anattasaññā, pahānasaññā, virāgasaññā]
 
④ 다섯 가지 기능 :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
[saddhindriyaṃ, vīriyindriyaṃ, satindriyaṃ, samādhindriyaṃ, paññindriyaṃ]
 
⑤ 다섯 가지 힘 :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
[saddhābalaṃ, vīriyabalaṃ, satibalaṃ, samādhibalaṃ, paññābalaṃ]
 
5) 여섯의 모음
 
① 여섯 가지 위없음 : 봄의 위없음, 들음의 위없음, 얻음의 위없음, 공부의 위없음, 섬김의 위없음, 기억의 위없음
[dassanānuttariyaṃ, savanānuttariyaṃ, lābhānuttariyaṃ, sikkhānuttariyaṃ, pāricariyānuttariyaṃ, anussatānuttariyaṃ]
 
② 계속해서 기억해야 하는 여섯 가지 : 불(佛), 법(法), 승(僧), 계(戒), 보시(布施), 천신(天神)
[buddhānussati, dhammānussati, saṅghānussati, sīlānussati, cāgānussati, devatānussati]
 
③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빛바램의 상(想), 소멸의 상(想)
[aniccasaññā, anicce dukkhasaññā, dukkhe anattasaññā, pahānasaññā, virāgasaññā, nirodhasaññā]
 
6) 일곱의 모음
 
① 칠각지(七覺支) : 염각지(念覺支), 택법각지(擇法覺支), 정진각지(精進覺支), 희각지(喜覺支), 경안각지(輕安覺支), 정각지(定覺支), 사각지(捨覺支)
        
② 무상의 상(想), 무아의 상(想), 부정의 상(想), 위험의 상(想), 버림의 상(想), 빛바램의 상(想), 소멸의 상(想)
[aniccasaññā, anattasaññā, asubhasaññā, ādīnavasaññā, pahānasaññā, virāgasaññā, nirodhasaññā]
 
③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asubhasaññā, maraṇasaññā, āhāre paṭikūlasaññā, sabbaloke anabhiratasaññā, aniccasaññā, anicce dukkhasaññā, dukkhe anattasaññā]
 
7) 여덟의 모음

① 팔정도(八正道) :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② 여덟 가지 지배의 경지
 
③ 여덟 가지 해탈
 
8) 아홉의 모음
 
①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빛바램의 상(想)
[asubhasaññā, maraṇasaññā, āhāre paṭikūlasaññā, sabbaloke anabhiratasaññā, aniccasaññā, anicce dukkhasaññā, dukkhe anattasaññā, pahānasaññā, virāgasaññā]
 
② 구차제정(九次第定) :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상수멸(想受滅)
[paṭhamaṃ jhānaṃ, dutiyaṃ jhānaṃ, tatiyaṃ jhānaṃ, catutthaṃ jhānaṃ, ākāsānañcāyatanaṃ, viññāṇañcāyatanaṃ, ākiñcaññāyatanaṃ,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saññāvedayitanirodho]
 
9) 열의 모음
 
① 부정의 상(想), 죽음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무상의 상(想), 무상-고의 상(想), 고-무아의 상(想), 버림의 상(想), 빛바램의 상(想), 소멸의 상(想)[asubhasaññā, maraṇasaññā, āhāre paṭikūlasaññā, sabbaloke anabhiratasaññā, aniccasaññā, anicce dukkhasaññā, dukkhe anattasaññā, pahānasaññā, virāgasaññā, nirodhasaññā]
 
 ② 무상의 상(想), 무아의 상(想), 음식에 혐오하는 상(想), 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상(想), 해골이 된 것의 상(想), 벌레가 버글거리는 것의 상(想), 검푸른 것의 상(想), 문드러진 것의 상(想), 끊어진 것의 상(想), 부푼 것의 상(想)
[aniccasaññā, anattasaññā, āhāre paṭikūlasaññā, sabbaloke anabhiratasaññā, aṭṭhikasaññā, puḷavakasaññā, vinīlakasaññā, vipubbakasaññā, vicchiddakasaññā, uddhumātakasaññā]
 
③ 열 가지 바름 :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정지(正知), 정해탈(正解脫)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sammāñāṇaṃ, sammāvimutti]
 
10) 열하나의 모음

열한 가지 증득 :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자심해탈(慈心解脫), 비심해탈(悲心解脫), 희심해탈(喜心解脫), 사심해탈(捨心解脫),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
[paṭhamaṃ jhānaṃ, dutiyaṃ jhānaṃ, tatiyaṃ jhānaṃ, catutthaṃ jhānaṃ, mettācetovimutti, karuṇācetovimutti, muditācetovimutti, upekkhācetovimutti, ākāsānañcāyatanaṃ, viññāṇañcāyatanaṃ, ākiñcaññāyatanaṃ]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