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중(中)과 중도(中道)

중(中)과 중도(中道)

중도(中道)의 정의 ㅡ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의 용례 ㅡ 중도(中道)의 정의


1. dhammadāyādasuttaṃ (MN 3)[법의 후계자 경]


“tatrāvuso, lobho ca pāpako doso ca pāpako. lobhassa ca pahānāya dosassa ca pahānāya atthi majjhimā paṭipad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katamā ca sā, āvuso, majjhimā paṭipad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ṃ kho sā, āvuso, majjhimā paṭipad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도반들이여, 세상에서 탐(貪)도 악(惡)이고 진(嗔)도 악(惡)입니다. 탐(貪)을 버리고 진(嗔)을 버리기 위하여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가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무엇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입니까? 그것은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이니 곧,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언어, 바른 행위, 바른 생활, 바른 정진, 바른 사띠, 바른 삼매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입니다.


“tatrāvuso, kodho ca pāpako upanāho ca pāpako . pe . makkho ca pāpako paḷāso ca pāpako, issā ca pāpikā maccherañca pāpakaṃ, māyā ca pāpikā sāṭheyyañca pāpakaṃ, thambho ca pāpako sārambho ca pāpako, māno ca pāpako atimāno ca pāpako, mado ca pāpako pamādo ca pāpako. madassa ca pahānāya pamādassa ca pahānāya atthi majjhimā paṭipad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katamā ca sā, āvuso, majjhimā paṭipad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ṃ kho sā, āvuso, majjhimā paṭipad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ī””ti. 


도반들이여, 세상에서 화[kodho]도 악이고 원한[upanāho]도 악입니다. … 모욕[makkho]도 악이고 얕봄[paḷāso]도 악입니다. … 질투[issā]도 악이고 인색[macchera]도 악입니다. … 사기[māyā]도 악이고 거짓[sāṭheyya]도 악입니다. … 고집[thambho]도 악이고 성마름[sārambho]도 악입니다. … 자기화[māno]도 악이고 거만[atimāno]도 악입니다. … 교만[mado]도 악이고 방일[pamādo]도 악입니다. 교만[mado]을 버리고 방일[pamādo]을 버리기 위하여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가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무엇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입니까? 그것은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이니 곧,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언어, 바른 행위, 바른 생활, 바른 정진, 바른 사띠, 바른 삼매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입니다.


2. araṇavibhaṅgasuttaṃ (MN 139)[무쟁(無諍)의 분석 경]


“na kāmasukhamanuyuñjeyya hīnaṃ gammaṃ pothujjanikaṃ anariyaṃ anatthasaṃhitaṃ, na ca attakilamathānuyogamanuyuñjeyya dukkhaṃ anariyaṃ anatthasaṃhitaṃ. ete kho, bhikkhave,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ussādanañca jaññā, apasādanañca jaññā; ussādanañca ñatvā apasādanañca ñatvā nevussādeyya, na apasādeyya, dhammameva deseyya. sukhavinicchayaṃ jaññā; sukhavinicchayaṃ ñatvā ajjhattaṃ sukhamanuyuñjeyya. rahovādaṃ na bhāseyya, sammukhā na khīṇaṃ bhaṇe. ataramānova bhāseyya, no taramāno. janapadaniruttiṃ nābhiniveseyya, samaññaṃ nātidhāveyyāti — ayamuddeso araṇavibhaṅgassa. 


저열하고 천박하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 소유의 즐거움에 묶인 실천을 하지 말고,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 스스로를 지치게 하는 실천을 하지 말라. 비구들이여, 이런 양 끝을 가까이 하지 않은 뒤에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는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끈다. 칭송해야 할 것을 알아야 하고 비난해야 할 것을 알아야 한다. 칭송해야 할 것을 알고 비난해야 할 것을 알고는 칭송도 비난도 하지 말고 오직 법을 설해야 한다. 즐거움을 판별할 줄 알아야 한다. 즐거움을 판별할 줄 알아서 내적인 즐거움을 추구해야 한다.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해서도 안 되고 공개적 비판을 해서도 안된다. 서둘지 않고 말해야 하고 건너뛰어서는 안 된다. 지방어를 고집해서도 안 되고 표준어를 무시해서도 안 된다. 이것이 무쟁(無諍)[평화]의 분석에 대한 요약이다."


“‘ete kho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ī’’ti —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ete kho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ī’’ti —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이런 양 끝을 가까이 하지 않은 뒤에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는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끈다.’라고 이렇게 말하였다. 무엇을 조건으로 이렇게 말했는가? 바로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이니 즉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언어, 바른 행위, 바른 생활, 바른 정진, 바른 사띠, 바른 삼매이다.


“tatra, bhikkhave, yāyaṃ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adukkho eso dhammo anupaghāto anupāyāso apariḷāho; sammāpaṭipadā . tasmā eso dhammo araṇo. 


비구들이여, 거기서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이고,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中道)라는 이 법은 괴롭지 않고 성가시지 않고 절망이 없고 열병이 없는 바른 실천이다. 그러므로 이법은 무쟁(無諍)[평화]이다.


3. rāsiyasuttaṃ (SN 42.12)[라시야 경]


“dveme, gāmaṇi, antā pabbajitena na sevitabbā — yo cāyaṃ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o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ṃhito, yo cāyaṃ attakilamathānuyogo dukkho anariyo anatthasaṃhito. ete te, gāmaṇi,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katamā ca sā, gāmaṇi,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ayaṃ kho sā, gāmaṇi,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촌장이여! 출가자가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이런 두 끝이 있다. 무엇이 둘인가? 소유의 삶에서 소유의 즐거움에 묶인 이런 실천은 저열하고 천박하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다. 스스로를 지치게 하는 이런 실천은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다. 촌장이여, 이런 양 끝을 가까이 하지 않은 뒤에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는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끈다. 


촌장이여, 그러면 무엇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인가? 오직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팔정도(八正道)]이니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다. 촌장이여, 이것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이다.


4. dhammacakkappavattanasuttaṃ (SN 56.11)[전법륜경]


ekaṃ samayaṃ bhagavā bārāṇasiyaṃ viharati isipatane migadāye. tatra kho bhagavā pañcavaggiye bhikkhū āmantesi — “dveme, bhikkhave, antā pabbajitena na sevitabbā. katame dve? yo cāyaṃ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o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ṃhito, yo cāyaṃ attakilamathānuyogo dukkho anariyo anatthasaṃhito. ete kho, bhikkhave,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한때 세존은 바라나시에서 이시빠따나의 사슴공원에 머물렀다. 그때 세존은 함께하는 다섯 비구에게 말했다. ㅡ “비구들이여, 출가자가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이런 두 끝이 있다. 무엇이 둘인가? 소유의 삶에서 소유의 즐거움에 묶인 이런 실천은 저열하고 천박하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다. 스스로를 지치게 하는 이런 실천은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런 양 끝을 가까이 하지 않은 뒤에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는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끈다. 


“katamā ca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ṃ kho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인가? 오직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팔정도(八正道)]이니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안(眼)을 만드는 것이고 지(知)를 만드는 것이고,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끄는, 여래에 의해 깨달아진 것인 중도(中道)이다.


[참고] sampasādanīyasuttaṃ(DN 28-확신경), aññathāsatthuguṇadassanaṃ 


“yaṃ taṃ, bhante, saddhena kulaputtena pattabbaṃ āraddhavīriyena thāmavatā purisathāmena purisavīriyena purisaparakkamena purisadhorayhena, anuppattaṃ taṃ bhagavatā. na ca, bhante, bhagavā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amanuyutto hīnaṃ gammaṃ pothujjanikaṃ anariyaṃ anatthasaṃhitaṃ, na ca attakilamathānuyogamanuyutto dukkhaṃ anariyaṃ anatthasaṃhitaṃ. catunnañca bhagavā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대덕이시여, 믿음에 의해서, 열정적인 노력에 의해서, 힘 있는 자에 의해서, 사람의 힘에 의해서, 사람의 정진에 의해서, 사람의 노력에 의해서, 사람의 책임을 감내할 수 있음에 의해서 좋은 가문의 아들에 이해 얻어져야 하는 것은 세존에 의해서 성취되었습니다. 대덕이시여, 세존께서는 저열하고 천박하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 소유의 삶에서 소유의 즐거움에 묶인 실천을 하지 않으셨습니다.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 스스로를 지치게 하는 실천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세존께서는 높은 마음에 속하고 지금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무는 네 가지 선을 어려움 없이 얻었고, 고통 없이 얻었고, 고생 없이 얻은 분입니다. 

 

; 중도(中道)가 곧 사선(四禪)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