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신념처경

신념처경

존재를 추구하는 자[sambhavesī]

존재를 추구하는 자[sambhavesī]


sambhavesī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one who is seeking birth. (m.) 즉 태어남을 추구하는 자의 의미를 가지는 남성명사인데, sambhava[origin; birth; production; semen virile. (m.)]과 esī[ seeker. (m.)]의 복합어입니다.


[Ⅰ] 이 단어는 주로 사식(四食)[네 가지 자량(資糧)]을 정의하는 용도로 나타납니다. 


“cattārome, bhikkhave, āhārā bhūtānaṃ vā sattānaṃ ṭhitiyā sambhavesīnaṃ vā anuggahāya. katame cattāro? kabaḷīkāro āhāro — oḷāriko vā sukhumo vā, phasso dutiyo, manosañcetanā tatiyā, viññāṇaṃ catutthaṃ.”


비구들이여, 누적된 것인 중생을 유지하거나 존재를 추구하는 자를 도와주기 위한 네 가지 자량(資糧)[사식(四食)]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거칠거나 미세한 덩어리진 자량(資糧)[단식(段食)], 촉(觸)이 두 번째이고[촉식(觸食)], 의사(意思)가 세 번째이고[의사식(意思食)], 식(識)이 네 번째이다[식식(識食)].


이 용례는 


sammādiṭṭhisuttaṃ (MN 9-정견 경)

mahātaṇhāsaṅkhayasuttaṃ (MN 38-갈애 멸진의 큰 경)

āhārasuttaṃ (SN 12.11-자량(資糧) 경)

moḷiyaphaggunasuttaṃ (SN 12.12-몰리야팍구나 경)

puttamaṃsūpamasuttaṃ (SN 12.63-아들의 고기 경)

atthirāgasuttaṃ (SN 12.64-탐(貪) 있음 경)


에 나타납니다. 


[참고] “ime, bhikkhave, cattāro āhārā kiṃnidānā kiṃsamudayā kiṃjātikā kiṃpabhavā? ime cattāro āhārā taṇhānidānā taṇhāsamudayā taṇhājātikā taṇhāpabhavā.                    āhārasuttaṃ (SN 12.11-자량(資糧) 경)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자량(資糧)은 무엇을 인연으로 하고, 무엇으로부터 일어나며, 무엇에서 생기고, 무엇을 기원으로 하는가? 이러한 네 가지 자량(資糧)은 갈애[애(愛)]를 인연으로 하고, 갈애로부터 일어나며, 갈애에서 생기고, 갈애를 기원으로 한다.


그런데 이 문장은 교리적 비중이 매우 큽니다. 그래서 이 문장의 여러 번역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초기불전연구원]


비구들이여, 이미 존재하는 중생들을 유지하게 하고 생겨나려는 중생들을 도와주는 네 가지 음식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거칠거나 미세한 덩어리진 [먹는] 음식이 [첫 번째요], 감각접촉[觸]이 두 번째요, 마음의 의도가 세 번째요, 알음알이가 네 번째이다.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수행승들이여, 이미 태어난 뭇삶의 섭생을 위하거나, 혹은 다시 태어남을 원하는 뭇삶의 보양을 위한 네 가지 자양이 있다. 그 네 가지 자양이란 무엇인가? 첫째, 거칠거나 미세한 물질의 자양, 둘째, 접촉의 자양, 셋째, 의도의 자양, 넷째, 의식의 자양이다.


[P.T.S.]


'There are these four sustenances, brethren, for the maintenance of beings that have come to birth or for the forwarding of them that seek to become. Which are the four? Material food, coarse or fine, secondly, contact, thirdly, volition, fourthly, consciousness.


[Thanissaro Bhikkhu]


Monks, there are these four nutriments for the maintenance of beings who have come into being or for the support of those in search of a place to be born. Which four? Physical food, gross or refined; contact as the second; intellectual intention the third; and consciousness the fourth.


[Bhikkhu Bodhi]


Bhikkhus, there are these four kinds of nutriment for the maintenance of beings that have already come to be and for the assistance of those about to come to be. What four? The nutriment edible food, gross or subtle; second, contact; third, mental volition; fourth, consciousness.


[Ⅱ] sambhavesī의 또 하나의 용례는 자애 경입니다. 이 경은 khuddakapāṭhapāḷi, 9. mettasuttaṃ (KN 1.9)[소송경(小誦經)]과 suttanipātapāḷi, 1. uragavaggo, 8. mettasuttaṃ (KN 5.8)[숫따니빠따]에 두 번 나타나는데, 테라와다 불교신자들의 신행에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경은 열 개의 게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섯 번째 게송에서 이 단어가 나타납니다.


diṭṭhā vā ye va adiṭṭhā, ye va dūre vasanti avidūre. 

bhūtā va sambhavesī va, sabbasattā bhavantu sukhitattā. 


보이는 것이거나 보이지 않는 것, 먼 곳에 사는 것이거나 가까이에 사는 것이거나,

‘누적되거나 존재를 추구하는 자’인 (200716)'단지 누적된 것이고 단지 존재를 추구하는 자인' 모든 중생들이 행복한 상태가 되기를!


이 게송의 여러 번역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한국테라와다불교 테라와다 불교의범]


볼 수 있건, 볼 수 없건, 멀리 살건, 근처 살건,

태어났건, 태어나게 될 것이건,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이 안락하기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것이나 멀리 사는 것이나 가까이 사는 것이나,

이미 생겨난 것이나 생겨날 것이나, 모든 님들은 행복하여지이다.


[Alternate translations: Ñanamoli | Buddharakkhita | Piyadassi | Thanissaro]


The seen and the unseen, Those living near and far away,

Those born and to-be-born — May all beings be at ease!


[BBS 불교방송 동영상 ①]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것이나 멀리 사는 것이나 가까이 사는 것이나,

태어난 것이나 태어날 것이나,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행복하라.


[BBS 불교방송 동영상 ②]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것이나 멀리 사는 것이나 가까이 사는 것이나,

태어난 것이나 태어날 것이나(*),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행복하라.


(*) 임산부와 태아의 영상


[거해스님 편역 근본불교 예불문]


보이거나, 혹은 보이지 않거나, 가까이 살거나, 멀리 살거나,

이미 태어났거나, 태어날 것에도, 일체 중생들 행복한 마음 갖기를 기원하라.


[일아 역편 빠알리 경전에서 선별한 예경 독송집]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가깝거나 멀거나, 태어났거나 태어날 것이거나 이 모든 존재하는 것들은 행복하기를!


그렇다면 태어나 살아가는 존재들과 태어날 존재들로 구분되는 모든 존재들의 행복을 기원하는 것으로 이 게송은 해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태어날 존재를 어머니의 태속에 있는 태아(胎兒)로 지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해석은 조심스럽습니다. 왜냐하면 교리적으로 태아(胎兒)는 이미 태어난 존재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자칫 이 게송은 중유(中有)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태아를 포함한 태어난 것이 아니면서도 태어날 또는 태어남을 추구하는 것[esī: seeker. (m.)]이 있다면 그것이 중유(中有)가 아니냐고 따질 때 답변하기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 manussaviggaho nāma yaṃ mātukucchismiṃ paṭhamaṃ cittaṃ uppannaṃ paṭhamaṃ viññāṇaṃ pātubhūtaṃ, yāva maraṇakālā etthantare eso manussaviggaho nāma.


  • viggaha: dispute; quarrel; the body; resolution of words into their 

             elements. (m.)


사람의 몸이라는 것은 죽음의 시간까지 그 사이의 것에 대해 어머니의 자궁에서 첫 번째 심(心)이 생겨나고 첫 번째 식(識)이 나타난 이것을 사람의 몸이라고 한다.


[Ⅲ] 그런데 sambhavesī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다른 경이 있습니다. yavakalāpisuttaṃ (SN 35.201-보릿단 경)은 


“seyyathāpi, bhikkhave, yavakalāpī cātumahāpathe nikkhittā assa. atha cha purisā āgaccheyyuṃ byābhaṅgihatthā. te yavakalāpiṃ chahi byābhaṅgīhi haneyyuṃ. evañhi sā, bhikkhave, yavakalāpī suhatā assa chahi byābhaṅgīhi haññamānā. atha sattamo puriso āgaccheyya byābhaṅgihattho. so taṃ yavakalāpiṃ sattamāya byābhaṅgiyā haneyya. evañhi sā bhikkhave, yavakalāpī suhatatarā assa, sattamāya byābhaṅgiyā haññamānā. evameva kho, bhikkhave, assutavā puthujjano cakkhusmiṃ haññati manāpāmanāpehi rūpehi ... pe ... jivhāya haññati manāpāmanāpehi rasehi ... pe ... manasmiṃ haññati manāpāmanāpehi dhammehi. sace so, bhikkhave, assutavā puthujjano āyatiṃ punabbhavāya ceteti, evañhi so, bhikkhave, moghapuriso suhatataro hoti, seyyathāpi sā yavakalāpī sattamāya byābhaṅgiyā haññamānā.


• hanati : 1. to strike, to thresh, 2. to kill, 3. to destroy to remove

• haññati: Passive present - is killed or destroyed

• hanati의 원망형 : [3인칭 복수 - haneyyuṃ, [3인칭 단수 - haneyya]

• suhatā - (f.) [sukha+tā] happiness 또는 su-hata

           hata: killed; injured; destroyed. (pp. of hanati)

• haññamāna: killing. (pr.p. of haññati)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사거리에 보릿단이 놓여 있다 하자. 그때 여섯 사람이 도리깨를 손에 들고 와서 그 보릿단을 여섯 개의 도리깨로 때린다 하자. 비구들이여, 이렇게 하면 그 보릿단은 여섯 개의 도리깨로 잘 타작이 될 것이다. 그때 다시 일곱 번째 사람이 도리깨를 손에 들고 온다 하자. 그는 일곱 번째 도리깨로 보릿단을 때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하여 그 보릿단은 그 일곱 번째 도리깨로 때려져서 더욱 잘 타작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배우지 못한 범부는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색(色)들 때문에 눈에서 타격 당한다. …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미(味)들 때문에 설(舌)에서 타격 당한다. 감촉들로 …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법들 때문에 의(意)에서 타격 당한다. 비구들이여, 만일 그 배우지 못한 범부가 미래에 다시 존재가 되기 위해서 의도한다면 그 쓸모없는 인간은 더욱 타격 당하나니 마치 저 보릿단이 그 일곱 번째 도리깨로 때려져서 더욱 잘 타작이 되는 것과 같다.“


라고 합니다. 메커니즘적 해석에 의하면, 일곱 번째 도리깨로 비유되는 ‘미래에 다시 존재가 되기 위한 의도[āyatiṃ punabbhavāya ceteti]’는 찬다에 실려 오는 심(心)의 행위입니다.


여섯 명의 도리깨 꾼이라는 육내입처(六內入處)는 육외입처(六外入處)와 함께 식(識)과 명색(名色)인 누적된 것[bhūta]의 배분입니다. 그리고 일곱 번째 도리깨 꾼은 무명(無明)의 요소로 1차 인식에 참여하는 욕탐(欲貪)이고, 이것은 심(心)의 행위를 싣고 와서 인식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1차 인식에는 육외입처(六外入處)를 대상으로 하는 주관이 둘입니다.


메커니즘은 이 두 가지를 설명합니다. 하나는 지난 삶의 누적으로의 ‘나’인 누적된 것[bhūta = 식(識)+명색(名色)]이고, 다른 하나는 지금 삶에서의 행위자인 심(心)입니다. 그래서 ‘나’란 존재는 누적된 것으로의 중생이면서 동시에 지금을 사는 행위자인 심(心)이라고 중첩적으로 설명됩니다. 사식(四食)은 바로 이런 의미를 담아 ①누적된 것인 중생을 유지하고 ②존재를 추구하는 자를 도와주는 네 가지 자량(資糧)이라고 말해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애 경의 이 게송도 ‘누적된 것으로의 중생이면서 동시에 지금을 사는 행위자인 심(心)’이라는 하나의 삶에 대한 설명이라고 이해해야 합니다. 그럴 때 신행(信行)의 비중이 큰 이 경이 엉뚱하게 중유(中有) 있음의 근거가 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삶은 누적된 것으로의 중생이면서 동시에 지금을 사는 행위자인 심(心)이라는 두 주관의 동시 참여에 의한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수행(修行)의 본질을 설명하는 중심 주제가 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