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염처 상윳따(S47)

염처 상윳따(S47)

대인 경(S47-11)[takka를 중심에 둔 수행 ㅡ 사념처 이후 해탈된 심(心)]

▣ 대인 경(S47-11)[takka를 중심에 둔 수행 ㅡ 사념처 이후 해탈된 심(心)](부산 수행 170221)

   [동영상] https://youtu.be/RikFHZV9Iiw


이 경(http://cafe.naver.com/happybupdang/13153)은 해탈된 심(心)의 사람을 대인(大人)이라고 부르는데, 사념처 수행 위에서 이탐(離貪)하고 집착 없이 번뇌들로부터 해탈한 사람입니다.


사념처 즉 사띠는 행위의 단속을 영역으로 하는데, 경전은 다섯 가지의 단속을 말합니다.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11004 [단속의 다섯 자리] 참조.

단속1 ㅡ 오계(五戒) 즉 신업(身業)과 구업(口業)의 단속

단속2 ㅡ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의 단속

단속3 ㅡ 감각기능의 단속

단속4 ㅡ 육촉처(六觸處)의 단속

단속5 ㅡ 즐기지 않고 환영하지 않고 묶여 있지 않음

이때, 단속1~2는 행위의 영역이고, 단속3~4는 인식의 영역이며, 단속5는 takka 내부입니다. 그래서 사띠는 행위의 영역과 인식의 영역에서 외적인 단속을 거친 후에 takka 내면으로 들어와 심(心)의 내적 활동을 단속하는데, 염오(厭惡)입니다. 이 과정에서 단속5를 위해서는 takka의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여실지견(如實知見)입니다.


또한, 단속5 즉 염오에 의해 행위가 심(心)의 내외에 걸쳐 완전히 제어되면 심(心)의 형성과정 즉 심(心)에 내재한 문제만 남게 되는데, 탐(貪)과 무명(無明)입니다. 이것은 심(心)의 형성과정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행위가 심(心)의 내외에 걸쳐 완전히 제어된 상태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념처의 완성이고 사띠의 완성입니다. 그리고 이 상태를 사띠토대[satiāyatana]라고 부릅니다.

ㅇ 사띠토대[satiāyatana]의 용례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9332

ㅇ 또한, 사띠토대는 수행의 중심개념에서 설명하는 사념처에 잘 확립된 심(心)을 의미합니다.

사띠토대[satiāyatana] 위에서 탐(貪)을 버리는 과정[이탐(離貪)]은 삼매의 완성과정인데 사마타이고, 번뇌를 부숨으로써 무명(無明)이 버려지고 명(明)을 일으키는 과정은 소멸(消滅)인데 지혜의 완성과정이고 위빳사나입니다.


이렇게 삶의 완성은 여실지견(如實知見)으로 takka의 문을 열고 들어가서 염오함으로써 사념처-사띠의 완성을 통한 사띠토대를 갖춘 후에 심(心)의 형성과정에 생기는 문제를 해소[사마타-이탐-삼매의 완성, 위빳사나-소멸-지혜의 완성]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불교수행 즉 팔정도를 「사념처 → 사마타-위빳사나」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takka의 내부에서 삶의 완성과정은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삼매를 심화해도 takka 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면 존재의 영역에서 오르내리며 윤회하는 삶의 반복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래서 takka의 문을 열고 내부로 들어가는 것은 중요합니다. 존재의 삶을 넘어서 해탈된 삶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인 것입니다.

[170307 보완 ☞ http://cafe.naver.com/happydhamma/733 참조] 방 청소를 하는 과정과 같습니다. 방을 청소하고자 하면서 방의 밖에서 쓸고 닦는 것은 소용이 없습니다. 방 청소를 위한 기술을 익히는 과정이고 준비 단계에 불과할 뿐입니다. 방 청소를 위해서는 어쨌든 방문을 열고 방 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리고 먼저 빗자루로 쓸어내고 나서 걸레질로 마무리를 하는 것입니다.

마음의 방 즉 takka[딱까]의 청소에서도 동일합니다. [사념처→바른 삼매→법의 드러남→법의 위빳사나]의 과정으로 takka 외부를 청소하면서 takka 내부의 청소를 위한 기술을 익히며 준비하면 takka의 문을 열고 들어가게 되는데, 여실지견(如實知見)입니다. 그러면 염오(厭惡)[즐기지 않고 환영하지 않고 묶여 있지 않음]함으로써 사념처는 완전히 닦아지고 사띠는 완성됩니다. 심(心)의 입장에서는 행위의 영역이 완전히 단속된 지점이어서 심(心)의 형성작용[심행(心行)=상(想)-수(受)]를 제어할 수 있는 토대가 갖추어 진 상태입니다[사띠 토대]. 그러면 비로소 사마타[이탐(離貪)]와 위빳사나[소멸(消滅)]라는 최후의 과정을 통해 번뇌를 부수고 깨달음을 성취하게 됩니다.

그래서 takka의 문을 열고 내부로 들어감 즉 여실지견(如實知見)은 중요합니다. 깨달음을 설명하는 많은 경들이 여실지견(如實知見)을 위한 가르침을 중심으로 설해지는 이유입니다.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11758 [무아상경(S22:59)] 참조.


특히, 여실지견(如實知見)에 이른 수행자를 예류자(預流者)라고 하여 아라한(阿羅漢)의 실현 즉 삶의 완성으로 향하는 흐름에 든 자라고 부르는 이유를 알 수 있게 합니다.


수행에 대한 이런 이해 위에서 이 경은 사념처 즉 사띠토대 위에서 이탐하고 소멸한 존재 즉 아라한을 대인(大人)이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인경사념처_이후_해탈된_심.png

Comments

rnehwk 2017.12.31 11:10
오래전에 공부하면서 보았던 책 '노자와 21세기'(도올 김용옥)에서 언급한 無爲에 대해 인용 요약해 보았습니다. 無爲란 "함이 없다"는 의미로 老子哲學의 핵심적 사상을 이루는 개념이며 통상 有爲와 대비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無爲가 곧 아무것도 하지 않음(actionless-ness)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無爲는 곧' 無僞'다
여기서 無僞의" 僞"는  유위적이고 조작적인 행위이며 거짓적인 행위이며 독선적인 행위이며 전체를 파악하지 못하는 부분적인 행위이다.당연히 모든 사회의 리더는 그러한 조작적인 인간이 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노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現世의 리더라고 할 수 있는 聖人은 자기는 함이 없이 남으로 하여금 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 노자가 말하는 無爲라고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