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윤회의 진실

학술세미나

[교재] 가르침의 근본을 설하는 경전들

0 1,216 2018.02.24 22:41

가르침의 근본을 설하는 경전들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 vo – 1. a particle of emphasis

       2. to you; of you; by you. (enclitic from tumha)


• amhākaṃ - [ahaṃ: I. (nom. sing. of amha)]의 

           복수 여격[~에게 또는 ~을 위하여] 또는 복수 속격[~의 또는 ~을 위하여]


• anusāsanī - instruction, teaching, commandment, order


[참고] • 초기불전연구원 -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이것이 내가 그대들에게 주는 가르침이다.’


※ ‘vo’의 두 가지 의미 중에서 ‘1. a particle of emphasis’로 해석한 이유


1. <sallekhasuttaṃ (M8)>에서는 ‘ayaṃ kho amhākaṃ anusāsanī’로 설해집니다. 그래서 ‘vo’를 ‘kho’와 같은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2. <bhikkhunupassayasuttaṃ(S47:10)>에서는 아난다 존자 개인[단수]에게 법이 설해집니다. 그래서 ‘vo’가 ‘그대들에게’라고 복수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 amhākaṃ은 복수이므로 부처님 개인을 지칭하는 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amhākaṃ anusāsanī은 부처님 개인이 주는 당부 또는 가르침이기보다는 우리가 함께 지켜나가야 하는 기준으로의 지시 또는 명령입니다. 이런 의미를 담아서 ‘우리의 교본(校本)’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이 서술을 포함하는 경들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Ⅰ]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1. sati – 사념처


1) satisuttaṃ(S47:44)[념(念) 경]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t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to hoti.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비구들이여, 비구는 sati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가 sati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신(身)에서 신(身)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수(受)에서 수(受)를 이어 보면서 … 심(心)에서 심(心)을 이어 보면서 … 법(法)에서 법(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비구는 이렇게 sati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sati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2-1. sati-sampajāna

     : sati – 사념처, 

       sampajāna - sampajānakārī hoti[신념처(身念處)]


1) mahāparinibbānasuttaṃ(D16)[대반열반경]

2) paṭhamagelaññasuttaṃ(S36:7)[간병실 경1]

3) dutiyagelaññasuttaṃ(S36:8)[간병실 경2]

4) satisuttaṃ(S47:2)[념(念) 경]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sampajāno,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t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vedanānupassī ... pe ... citte cittānupassī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to hoti.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mpajān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abhikkante paṭikkante sampajānakārī hoti, ālokite vilokite sampajānakārī hoti, samiñjite pasārite sampajānakārī hoti, saṅghāṭipattacīvaradhāraṇe sampajānakārī hoti, asite pīte khāyite sāyite sampajānakārī hoti, uccārapassāvakamme sampajānakārī hoti, gate ṭhite nisinne sutte jāgarite bhāsite tuṇhībhāve sampajānakārī hoti.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mpajāno hoti.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sampajāno,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비구들이여, 비구는 sati-sampajāna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가 sati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신(身)에서 신(身)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수(受)에서 수(受)를 이어 보면서 … 심(心)에서 심(心)을 이어 보면서 … 법(法)에서 법(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비구는 이렇게 sati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가 sampajāna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나아갈 때도 물러날 때도 옳고 그름의 판단에 의해서 행한다(*). 앞을 볼 때도 돌아 볼 때도 옳고 그름의 판단에 의해서 행한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옳고 그름의 판단에 의해서 행한다. 가사·발우·의복을 지닐 때도 옳고 그름의 판단에 의해서 행한다. 먹을 때도 마실 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옳고 그름의 판단에 의해서 행한다. 대소변을 볼 때도 옳고 그름의 판단에 의해서 행한다. 걸으면서·서면서·앉으면서·잠들면서·잠을 깨면서·말하면서·침묵하면서도 옳고 그름의 판단에 의해서 행한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비구는 이렇게 sampajāna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sati-sampajāna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 • 대념처경(D22) - 신념처(身念處)의 sampajānakārī hoti

    • 사문과경(D2) - 념(念)-정지(正知)[satisampajañña]


2-2. sati-sampajāna

     : sati – 사념처, 

       sampajāna - viditā (vedan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삼매수행(三昧修行) - 법의 위빳사나]

                                 

1) satisuttaṃ(S47:35)[념(念) 경]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sampajāno.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t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to hoti.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mpajān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viditā vedan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viditā vitakk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viditā saññ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mpajāno hoti.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sampajāno.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비구들이여, 비구는 sati-sampajāna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가 sati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신(身)에서 신(身)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수(受)에서 수(受)를 이어 보면서 … 심(心)에서 심(心)을 이어 보면서 … 법(法)에서 법(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비구는 이렇게 sati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가 sampajāna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에게 수(受)가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vitakka가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상(想)이 자각되면서 생겨나고, 자각되면서 유지되고, 자각되면서 없어진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비구는 이렇게 sampajāna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sati-sampajāna하면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 「viditā ()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를 설하는 경전들


1. saṅgītisuttaṃ(D33)[합송경] - samādhibhāvanāsuttaṃ(A4:41)[삼매경]

2. anupadasuttaṃ(M111)[차례차례 경]

3. acchariyābbhutasuttaṃ(M123)[놀랍고 예전에 없었던 것의 경]

4. satisuttaṃ(S47:35)[념(念) 경] 

5. paṭhamapaṭisambhidāsuttaṃ(AN 7.38)[무애해(無礙解) 경1]-무애해 경(A7:37)

6. dutiyapaṭisambhidāsuttaṃ(AN 7.39)[무애해(無礙解) 경2]-무애해 경(A7:37)

7. nandasuttaṃ(AN 8.9)[난다 경]


[Ⅱ] 「yaṃ, bhikkhave, satthārā karaṇīyaṃ sāvakānaṃ hitesinā anukampakena anukampaṃ upādāya, kataṃ vo taṃ mayā. etāni, bhikkhave, rukkhamūlāni, etāni suññāgārāni; jhāyatha, bhikkhave, mā pamādattha; mā pacchā vippaṭisārino ahuvatth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비구들이여, 항상 제자들의 이익을 기원하며 제자들을 연민하는 스승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이제 나는 연민으로 그대들에게 하였다. 비구들이여, 여기 나무 밑이 있다. 여기 빈집들이 있다. 선(禪)을 하라. 비구들이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1. sallekhasuttaṃ(M8)[버리고 없애는 삶의 경(M8)]

   - [ayaṃ kho amhākaṃ anusāsanī]


2. dvedhāvitakkasuttaṃ(MN 19)[두 갈래 vitakka의 경(M19)]


3. āneñjasappāyasuttaṃ(MN 106)[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길 경(M106)]


4. indriyabhāvanāsuttaṃ(MN 152)[기능의 계발에 대한 경(M152)]


5. kammanirodhasuttaṃ(SN 35.129)[업 경(S35:146)]


6. asaṅkhatasaṃyuttaṃ, 1. paṭhamavaggo,  1. kāyagatāsatisuttaṃ (SN 43.1)[신념처 경(S43:1)] ~ 무위 상윳따의 44개 경전 모두


7. bhikkhunupassayasuttaṃ(SN 47.10)[비구니 거처 경(S47:10)]


8. paṭhamadhammavihārīsuttaṃ(AN 5.73)[법에 머무는 자 경1(A5:73)]


9. dutiyadhammavihārīsuttaṃ (AN 5.74)[법에 머무는 자 경2(A5:74)]


10. arakasuttaṃ(AN 7.74)[아라까 경(A7:70)]


긴 서술을 포함한 경전들은 모두 열 개의 경전[무위 상윳따는 한 개의 경전으로 간주]에서 나타는데, 삶의 메커니즘과 수행에 관련한 깊은 교학적 설명을 제공하는 가르침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