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깨달음

학술세미나

[교재] Ⅱ.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의 일반…

0 866 2018.03.04 00:21

Ⅱ.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의 일반적 용례


1. Vin 1, verañjakaṇḍaṃ[비구 위방가 웨란자깐다] = verañjasuttaṃ (AN 8.11)[웨란자 경]


“seyyathāpi, brāhmaṇa, kukkuṭiyā aṇḍāni aṭṭha vā dasa vā dvādasa vā. tānassu kukkuṭiyā sammā adhisayitāni sammā pariseditāni sammā paribhāvitāni. yo nu kho tesaṃ kukkuṭacchāpakānaṃ paṭhamataraṃ pādanakhasikhāya vā mukhatuṇḍakena vā aṇḍakosaṃ padāletvā sotthinā abhinibbhijjeyya, kinti svāssa vacanīyo — “jeṭṭho vā kaniṭṭho vā”ti? “jeṭṭhotissa, bho gotama, vacanīyo. so hi nesaṃ jeṭṭho hotī”ti. “evameva kho ahaṃ, brāhmaṇa, avijjāgatāya pajāya aṇḍabhūtāya pariyonaddhāya avijjaṇḍakosaṃ padāletvā ekova loke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 svāhaṃ, brāhmaṇa, jeṭṭho seṭṭho lokassa”.


“바라문이여, 예를 들면 닭에게 여덟 개나 열 개나 열 두 개의 계란이 있다 하자. 닭은 계란들 위에서 바르게 품고 바르게 온기를 주고 바르게 냄새를 느끼게 한다. 그러면 병아리들은 발톱 끝이나 부리로 달걀껍질을 잘 부순 뒤 안전하게 뚫고 나올 수 있는데 이런 병아리들 가운데서 가장 먼저 나온 병아리는 제일 맏이인가 제일 어린가?” “고따마 존자시여, 제일 맏이라고 말해야 합니다. 그는 그들 가운데 제일 맏이입니다.” “바라문이여, 이렇게 무명에 휩싸였고 덮여있는 알속에 있는 중생들을 위해서 무명의 껍질을 부순 뒤 나는 이 세상에서 혼자 위없는 바른 깨달음[정등각(正等覺)]을 깨달았다. 바라문이여, 나는 참으로 세상의 어른이고 으뜸이다.”


2. mahāparinibbānasuttaṃ, sāriputtasīhanādo (DN 16.5)[대반열반경] &  sampasādanīyasuttaṃ, sāriputtasīhanādo (DN 28.1) & nālandasuttaṃ (SN 47.12)


「모든 세존들께서는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들을 버리고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칠각지(七覺支)를 있는 그대로 닦아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음」 ⇒ 수행의 중심 개념[부록 참조]


evameva kho me, bhante, dhammanvayo vidito — ‘ye te, bhante, ahesuṃ atītamaddhānaṃ arahanto sammāsambuddhā, sabbe te bhagavanto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atiṭṭhitacittā sattabojjhaṅge yathābhūtaṃ bhāvetvā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jjhiṃsu. yepi te, bhante, bhavissanti anāgatamaddhānaṃ arahanto sammāsambuddhā, sabbe te bhagavanto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atiṭṭhitacittā satta bojjhaṅge yathābhūtaṃ bhāvetvā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jjhissanti. bhagavāpi, bhante, etarahi arahaṃ sammāsambuddho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atiṭṭhitacitto satta bojjhaṅge yathābhūtaṃ bhāvetvā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대덕이시여, 이렇게 저에게 법의 전승이 알려집니다. ㅡ


‘대덕이시여, 과거의 모든 세존-아라한-정등각들께서는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들을 버리고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칠각지(七覺支)를 있는 그대로 닦아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으셨습니다.


대덕이시여, 미래의 모든 세존-아라한-정등각들께서도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들을 버리고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칠각지(七覺支)를 있는 그대로 닦아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으실 것입니다.


대덕이시여, 지금의 아라한-정등각인 세존께서도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들을 버리고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칠각지(七覺支)를 있는 그대로 닦아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으셨습니다.’”


3. mahāparinibbānasuttaṃ, mahābhūmicālahetu (DN 16.17)[대반열반경]


큰 땅의 흔들림이 나타나는 원인-조건


4. mahāparinibbānasuttaṃ, pukkusamallaputtavatthu (DN 16.26)[대반열반경]


여래의 몸이 지극히 청정하고 피부색은 깨끗하게 되는 경우


5. mahāparinibbānasuttaṃ, pukkusamallaputtavatthu (DN 16.26)[대반열반경]


다른 탁발음식들을 훨씬 능가하는 더 큰 과(果)와 더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 탁발음식


6. mahāparinibbānasuttaṃ, catusaṃvejanīyaṭṭhānāni (DN 16.29)[대반열반경]

   & saṃvejanīyasuttaṃ (AN 4.118)[절박함을 일으킴 경]


친견해야 하고 절박함을 일으켜야 하는 네 가지 장소


7. pāsādikasuttaṃ, pañhābyākaraṇaṃ (DN 29.13)[정신(淨信) 경]


그래서 여래라 부른다.


8. mūlapariyāyasuttaṃ (MN 1.1)[근본법문의 경]


“tathāgatopi, bhikkhave, arahaṃ sammāsambuddho pathaviṃ pathavito abhijānāti; pathaviṃ pathavito abhiññāya pathaviṃ na maññati, pathaviyā na maññati, pathavito na maññati, pathaviṃ meti na maññati, pathaviṃ nābhinandati. taṃ kissa hetu? ‘nandī dukkhassa mūlan’ti — iti viditvā ‘bhavā jāti bhūtassa jarāmaraṇan’ti. tasmātiha, bhikkhave, ‘tathāgato sabbaso taṇhānaṃ khayā virāgā nirodhā cāgā paṭinissaggā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vadāmi. 


비구들이여, 여래-아라한-정등각도 땅을 땅이라고 실답게 안다. 땅을 땅이라고 실답게 알기 때문에 땅을 생각하지 않는다. 땅으로부터 생각하지 않는다. 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땅을 나의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땅을 즐기지 않는다.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 ‘즐김은 괴로움의 뿌리이다.’라고 이렇게 알아서 ‘유(有)로부터 생(生)이 있고, 누적된 것에게 노사(老死)가 있다.’라고 안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여래는 완전한 갈애의 부숨, 이탐(離貪), 소멸(消滅), 포기, 놓음으로부터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말한다.


9. daharasuttaṃ (SN 3.1)[젊은이 경]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인정함. - 젊다고 깔보거나 젊다고 얕잡아 보아서는 안 되는 네 가지

 

daharasuttaṃ (SN 3.1)[젊은이 경]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atha kho rājā pasenadi kosal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tā saddhiṃ sammodi.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rājā pasenadi kosalo bhagavantaṃ etadavoca — “bhavampi no gotamo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ṭijānātī”ti? “yañhi taṃ, mahārāja, sammā vadamāno vadeyy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mameva taṃ sammā vadamāno vadeyya. ahañhi, mahārāj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나는 이렇게 들었다. ㅡ 한때 세존께서 사왓티에서 제따 숲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무셨다. 그때 빠세나디 꼬살라 왕이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과 함께 인사를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만한 이야기를 알려드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빠세나디 꼬살라 왕은 세존께 이렇게 말했다 - “고따마 존자께서도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선언하십니까?” “대왕이여, 바르게 말하는 자가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은 자’라고 말해야 하는 것은 바로 나를 바르게 말하는 자가 말해야 하는 것입니다. 대왕이여, 나는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은 자입니다.”


“yepi te, bho gotama, samaṇabrāhmaṇā saṅghino gaṇino gaṇācariyā ñātā yasassino titthakarā sādhusammatā bahujanassa, seyyathidaṃ — pūraṇo kassapo, makkhali gosālo, nigaṇṭho nāṭaputto, sañcayo belaṭṭhaputto, pakudho kaccāyano, ajito kesakambalo; tepi mayā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ṭijānāthā’ti puṭṭhā samānā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na paṭijānanti. kiṃ pana bhavaṃ gotamo daharo ceva jātiyā navo ca pabbajjāyā”ti?


“고따마 존자시여, 상가를 가졌고 무리를 가졌고 무리의 스승이며 지자요 명성을 가졌고 교단의 창시자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성자로 인정되는 사문-바라문들이 있으니, 뿌라나 깟사빠, 막칼리 고살라, 니간타 나따뿟따, 산차야 벨랏타뿟따, 빠꾸다 깟짜야나, 아지따 께사깜발라입니다. 그런데 그들은 내가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선언하십니까?’라고 물어도 그 사문들은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선언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나이도 어리고 출가한 지도 얼마 안 된 고따마 존자께서 어떻게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선언할 수 있습니까?”


“cattāro kho me, mahārāja, daharāti na uññātabbā, daharāti na paribhotabbā. katame cattāro? khattiyo kho, mahārāja, daharoti na uññātabbo, daharoti na paribhotabbo. urago kho, mahārāja, daharoti na uññātabbo, daharoti na paribhotabbo. aggi kho, mahārāja, daharoti na uññātabbo, daharoti na paribhotabbo. bhikkhu, kho, mahārāja, daharoti na uññātabbo, daharoti na paribhotabbo. ime kho, mahārāja, cattāro daharāti na uññātabbā, daharāti na paribhotabbā”ti.


“대왕이여,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되는 네 가지가 있습니다. 대왕이여, 끄샤뜨리야는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대왕이여, 뱀은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대왕이여, 불은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대왕이여, 비구는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대왕이여, 이런 네 가지는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idamavoca bhagavā. idaṃ vatvāna sugato athāparaṃ etadavoca satthā —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선서이신 스승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뒤 다시 이와 같이 설하셨다. - 


“khattiyaṃ jātisampannaṃ, abhijātaṃ yasassinaṃ.

daharoti nāvajāneyya, na naṃ paribhave naro.

“ṭhānañhi so manujindo, rajjaṃ laddhāna khattiyo.

so kuddho rājadaṇḍena, tasmiṃ pakkamate bhusaṃ.

tasmā taṃ parivajjeyya, rakkhaṃ jīvitamattano.

“gāme vā yadi vā raññe, yattha passe bhujaṅgamaṃ.

daharoti nāvajāneyya, na naṃ paribhave naro.

“uccāvacehi vaṇṇehi, urago carati tejasī.

so āsajja ḍaṃse bālaṃ, naraṃ nāriñca ekadā.

tasmā taṃ parivajjeyya, rakkhaṃ jīvitamattano.

“pahūtabhakkhaṃ jālinaṃ, pāvakaṃ kaṇhavattaniṃ.

daharoti nāvajāneyya, na naṃ paribhave naro.

“laddhā hi so upādānaṃ, mahā hutvāna pāvako.

so āsajja ḍahe bālaṃ, naraṃ nāriñca ekadā.

tasmā taṃ parivajjeyya, rakkhaṃ jīvitamattano.

“vanaṃ yadaggi ḍahati, pāvako kaṇhavattanī.

jāyanti tattha pārohā, ahorattānamaccaye.

“yañca kho sīlasampanno, bhikkhu ḍahati tejasā.

na tassa puttā pasavo, dāyādā vindare dhanaṃ.

anapaccā adāyādā, tālāvatthū bhavanti te.

“tasmā hi paṇḍito poso, sampassaṃ atthamattano.

bhujaṅgamaṃ pāvakañca, khattiyañca yasassinaṃ.

bhikkhuñca sīlasampannaṃ, sammadeva samācare”ti.


“고귀한 출신으로 명성을 크게 지녀 태생이 분명한 끄샤뜨리야 왕자를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사람들 중 지존인 끄샤뜨리야는 왕국을 통치하는 경우가 있으리니

그의 분노를 사면 왕의 형벌로 크게 벌 받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목숨 지키려거든 이런 그를 잘 알아 피해가야 합니다.”

 

“마을이나 숲에서나 우연히 뱀을 보게 되면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맹독을 가진 뱀은 여러 모습으로 나투어서 남자건 여자건 어리석은 사람을 공격하여 

단박에 물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목숨 지키려거든 이런 그를 잘 알아 피해가야 합니다.”

 

“많은 것 닥치는 대로 집어삼켜 버리고 검은 흔적 남기면서 타오르는 저 불을 

어리다고 무시하고 얕보아서는 안 됩니다

 

그것이 만일 태울 것을 만나면 크나 큰 불로 변하여 

그 어리석은 사람을 공격하여 순식간에 태워 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목숨 지키려면 이런 그를 잘 알아 피해가야 합니다.”

 

“제 아무리 맹렬한 불이 숲을 태워 없애고 검은 흔적 폐허만을 자취로 남기더라도

낮과 밤이 지나가서 세월이 흐른 뒤에는 그곳에서도 새싹들이 생명으로 다시 돋아납니다.

 

그렇지만 계를 구족한 비구가 있어서 계행의 불꽃으로 어떤 사람 태운다면

그에게는 아들들도 가축들도 멸망하여 그의 상속자들 재물 얻지 못하리니

후손도 끊어지고 상속자도 없어져서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텅텅 비어 버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로움을 바라는 현명한 사람은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뱀과 불과 명성 있는 끄샤뜨리야와 계를 구족한 비구를 바르게 대해야 합니다.”


evaṃ vutte, rājā pasenadi kosalo bhagavantaṃ etadavoca — “abhikkantaṃ, bhante, abhikkantaṃ, bhante! seyyathāpi bhante, nikkujjitaṃ vā ukkujjeyya, paṭicchannaṃ vā vivareyya, mūḷhassa vā maggaṃ ācikkheyya, andhakāre vā telapajjotaṃ dhāreyya — ‘cakkhumanto rūpāni dakkhantī’ti; evamevaṃ bhagavatā anekapariyāyena dhammo pakāsito. esāhaṃ, bhante, bhagavantaṃ saraṇaṃ gacchāmi dhammañca bhikkhusaṅghañca. upāsakaṃ maṃ, bhante, bhagavā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이렇게 말씀하시자 빠세나디 꼬살라 왕은 세존께 이렇게 말했다. ㅡ “정말 기쁩니다, 대덕이시여, 정말 기쁩니다.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마치 넘어진 자를 일으키듯, 덮여있는 것을 걷어내듯, 길 잃은 자에게 길을 알려주듯, ‘눈 있는 자는 모습을 본다.’라며 어둠 속에서 기름 등불을 비추듯, 이렇게 세존에 의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이 설해졌습니다. 대덕이시여, 저는 이제 세존께 귀의하고, 법과 비구상가에 귀의합니다. 세존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죽을 때까지 귀의한 남신자로 받아 주소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