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번역의 도구 > 빠알리 공부 (2.초급과정) > 교재

빠알리 공부 (2.초급과정)

Ⅶ. 복합어(samāsa, compound)

0 986 2017.09.01 21:38
Ⅶ. 복합어(samāsa, compound)
 
이 내용은 우빤디따 스님의 ‘Pali Grammar’과 김형준 번역(미즈노고겐 저) ‘팔리어문법’(漢字로 된 문법용어는 미즈노고겐 책에서 쓰인 표현임), 스리랑카 Sumanapala 교수님의 ‘빠알리 공부의 전통적 방법, The Traditional Methodology of Learning Pāli)을 참고로 하였습니다.
 복합어란?
 
- 여러 단어가 하나의 단어단위로 뭉쳐져 나타난다.
- 여러 개념을 한 단위로 발음하여 뜻을 간단명료하게 표현하고 운율을 맞출 수 있다.
- 단어들의 뜻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 단어들은 마지막 단어를 제외한 단어는 대부분의 경우 격변화를 하지 않는 원래 상태로 나타나며(일부 격변화를 지니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만 격과 수가 나타난다. 
- 마지막 단어의 격과 수는 문장 내 문법에 적합하다.
- 단어의 격이 나타나지 않는 이어진 단어 사이의 관계는 모양으로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추측된 격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문법, 앞뒤 또는 교리적 맥락, 경전상의 용례 등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예) chinna-rukkho bhūmiyaṃ patati.
           남성/주격→ 나무는(patati의 주어)
 
    chinna-rukkho puriso gāmaṃ gacchati.
          남성/주격→  ① 베어진 나무의 주인(베어진 나무의 주인인 그 사람은)
                        ② 나무를 자른 자인(나무를 자른 그 사람은)  
 
1. 복합어를 이루는 단어들의 관계 유형

(1) Kammadhāraya samāsa (Adjectival Compounds, 지업석持業釋) 
    :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특성을 밝히는 꾸밈의 관계, 동격이 되는 경우이다.
 
  ① 앞말이 뒷말을 꾸미는 경우 : 주단어의 성과 수를 따른다.
 
      예) sobhana-bhattaṃ
       좋음/좋은 것   음식 → 좋은 음식(앞말이 뒷말을 꾸밈)
 
예) 대열반경 중에서
Rājā bho  Gotama, Māgadho Ajātasattu Vedehi-putto bhoto Gotamassa  pāde   sirasā   vandati appābādhaṃ  appātaṅkaṃ lahuṭṭhānaṃ  balaṃ   phāsuvihāraṃ  pucchati. 
                             lahu + ṭhāna           phāsu + vihāra    
                       (가벼움) (서있음/유지)      (편안함)  (머뭄)
 
→ 존자 고따마시여, 웨데히의 아들, 마가다의 왕, 아자따삿뚜는 존자 고따마의 발에 머리 조아려 절합니다. 그리고 무병무탈하심과 경쾌하심과 힘 있으심과 편안한 생활을 여쭙습니다.
  
  ② 뒷말이 앞말을 꾸미는 경우 : 
    
예) sobhana-bhattaṃ
    좋음/좋은 것  음식   → 음식이라는 좋은 것
 
  ③ 모두 다른 말을 꾸미는 경우 
     
     예) sīta-uṇha-paṭhaviyaṃ (적당한 온도의 땅에)
        차가움+뜨거움(적당한 온도)
 
   ④ 뒷말이 앞말을 비유적으로 꾸밈 : ~ 같은 
    
     예) purisa-sīho : 사자 같은 사람(용감한 사람)은
 
  ⑤ (앞말 + iti)가 뒷말 꾸밈 : 복합어가 되면서 iti가 생략된 것으로 여김. 
  
     예) anicca-saññā (무상이라는 생각) : 두 말이 같은 개념이 아님
          무상   지각/생각(想)
  
  ⑥ (앞말 + eva)가 강조하면서 뒷말 꾸밈 : 복합어가 되면서 eva가 생략된 것으로 여김.                        매우(오직) ~(앞말)한 ~(뒷말)
 
      예) anicca-saññā (무상이라는 생각) : 두 말이 같은 개념이 아님

  ⑦ 접두어 + 주 단어 → 접두어가 주 단어를 꾸밈.
    
     예) abhidhamma
 
 (2) Dīgu samāsa (Numeral Compounds, 대수석帶數釋) 
   : identified function 
   : Kammadhāraya의 한 형태로 숫자로 된 앞말이 뒷말을 꾸미며, 두 가지 형태가 있다.

  ① 복합어가 집합명사를 나타내는 경우 : 성, 수에 관계없이 중성단수형이 된다.

  ② 복합어가 개별명사를 나타내는 경우 : 마지막 단어의 성을 따르는 복수가 된다.
  
     예) ti+purisa → tipurisaṃ (중성, 단수, 주격) : 세 사람이 한 단위로 됨
                → tipurisā   (남성, 복수, 주격) : 세 사람이 복수로 각각 행동
   
(3) Tappurisa samāsa (Dependent Determinative Compounds, 의주석依主釋) 
  - 앞말이 뒷말에 대해 목적격(~을, 에게), 수단격(~에 의해, ~와 함께), 여격(~를 위해), 탈격(~로부터), 
    소유격(~의), 처격(~에, ~위에, ~안에)의 관계를 지닌다.

  - 앞말이 격을 지니는 경우가 있다.
    : manasikāra(작의, 作意), dīpaṅkara(빛/등불을 비춤)  
예) 처격의 관계
Rājā bho  Gotama, Māgadho Ajātasattu Vedehi-putto bhoto Gotamassa  pāde   
처격관계 (웨데히의 아들)
sirasā vandati appābādhaṃ appātaṅkaṃ lahuṭṭhānaṃ balaṃ phāsuvihāraṃ  pucchati.
 
(4) Abyayībhāva samāsa (Adverbial Compounds, 인근석隣近釋) 
  - 앞말이 불변어 또는 접두어이다. 

  - 앞말과 뒷말은 주격(꾸밈 또는 동격 의미), 목적격(~을), 수단격(~에 의해, ~와 함께), 여격(~를 위해), 
     탈격(~로부터), 소유격(~의), 처격(~에, ~위에, ~안에)의 관계를 지닌다. 

  ① 주격인 경우 : 불변어나 접두어가 뒤 단어와 같은 것을 가리킨다. 
     예) paṭi-aggi (개개의 불=불꽃 하나하나)

  ② 다른 격의 경우 : 같은 것을 가리키지 않는 두 단어가 6가지 격의 관계로 연결된다.
     예) upa-nagare(도시 가까이에서)  : 소유격의 관계
       
(5) Dvanda samāsa (Copulative/Aggregative Compounds, 상위석相違釋) 
    : 단어들이 ‘그리고’로 나열되는 복합어이다. Dīgu처럼 두 가지 형태가 있다.

  ① 복합어가 집합명사를 나타내는 경우 : 성, 수에 관계없이 중성단수형이 된다.

  ② 복합어가 개별명사를 나타내는 경우 : 마지막 단어의 성을 따르는 복수가 된다.
   
  예) purisa+deva → purisadevaṃ  (중성, 단수, 주격) : 사람과 천신이 한 단위로 됨
                → → purisadevā (남성, 복수, 주격) : 사람과 천신이 각각 행동

(6) Bahubbīhi samāsa (Relative Compounds, 유재석有財釋) 
: 앞 단어와 뒤 단어가 연결되어 다른 뜻을 지닌 단어가 된다. 두 단어가 연결되는 관계는 주격(동격), 목적격(~을, ~에게), 수단격(~에 의해, ~와 함께), 여격(~를 위해), 탈격(~로부터), 소유격(~의), 처격(~에, ~위에, ~안에) 등이 되고 복합어는 그것을 지닌 다른 제3의 용어가 된다. 

  ① 주격인 경우 : 두 단어가 같은 것을 뜻하면서 그것을 지닌 제3의 것을 가리킨다.
  
     예) ~인 ~를 지닌 것

     예)  Majjhima Nikāya, PTS. p.281 중에서

Dhammaṃ     vo     bhikkhave,     desissāmi      
 법/남/목적격/단수   2인칭/복수    비구/남/호격/복수    dis(보다)의 사역형 미래/1인칭/단수   
 그대들에게 드러내다, 가르치다, 설하다
 
ādikalyāṇaṃ majjhekalyāṇaṃ pariyosānakalyāṇaṃ
ādi + kalyāṇaṃmajjhe + kalyāṇaṃpariyosāna + kalyāṇaṃ 
처음  좋음,훌륭함/단수 중간   끝
 
sātthaṃ    savyañjanaṃ
saha + attha       saha + vyañjana
갖춘   의미/남,중/단수        자음,문장/중/단수      
 
  ② 다른 격 : 같은 것을 가리키지 않는 두 단어가 6가지 격의 관계로 연결되고 이것은 
     이 둘을 지닌 제3의 것이 된다.
             목적격 : 

  ③ saha(sa) + ~ : ~를 지닌 자
 
    saputto puriso āgacchati (아들을 가진 사람이 간다)
    sadhano puriso āgacchati (부자가 간다)

  ④ 등 등

(7) Negative Compounds 
    : 앞 단어가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불변어 na이며 두 가지 형태가 있다.

  ① 아닌 것, 반대의 것, 다른 것을 의미

  ② 지니지 않은 것의 의미
     예) anatta : ①자아가 아님(非我) ②자아가 없음(無我)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