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1류 동사어간이 어근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방법 4가지
① labh 얻다 + -a = labha-, jīv 살다 + -a = jīva- (어근에 단지 –a를 첨가)
② gup 지키다 + -a = gopa, nī 이끌다 + -a = naya-, bhū 있다 + -a = bhava
(어근 중의 모음이 중음변화하거나 또는 반모음 변화 뒤에 –a를 첨가)
※ 중음변화란 a ā → ā, i ī → e, u ū → o 로 되며, 반모음변화란 i ī → ay 로 되며 u ū → av로 되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그 원모음 앞에 a가 부가됨으로써 발생한다.
예) a+ā∨ = ā, a+ī∨ = e, a+ū∨ = o (이상은 중음변화),
a+ū∨ = ay, a+ū∨ = av(이상은 반모음변화)
③ dā 주다 + -a = dadā-, dhā 지니다 + -a = dadhā-, hā 버리다 + -a = jahā,
ṭhā 서다 + -a = tiṭṭhā- (어근이 첩음변화)
④ vā 불다 - -a = vā-, yā 가다 + -a = yā- (아근이 그대로 어간이 됨)
단, ③④의 경우는 모두 어근에 –a 연어가 덧붙여졌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③의 예는 때로는 첩음이 없이 ④의 형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