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동사의 어근(語根)-어간(語幹) 표
; 동일한 어근(語根)으로부터 두 세종의 어간(語幹)이 만들어지는 경우 있음
① 제1류 동사 ㅡ 어근 + -a
② 제1류와 제3류를 만드는 경우
어근(語根) |
+ -a = 어간(語幹)(Ⅰ) |
+ -ya = 어간(Ⅲ) |
yā 가다 |
yā- |
yāya- |
vā 불다 |
vā- |
vāya- |
nahā 목욕하다 |
nahā- |
nahāya- |
pad 걷다 |
pada- |
pajja- |
mad 취하다 |
mada- |
majja- |
ruc 기뻐하다 |
roca- |
rucca- |
sam 가라앉다 |
sama- |
samma- |
sup 자다 |
supa- |
suppa-, soppa- |
muh 우매하다 |
muha- |
muyha- |
kas 경작하다 |
kasa- |
kassa- |
nama(s) 구부리다 |
nama- |
namassa- |
has 웃다 |
hasa- |
hassa- |
kar 만들다 |
kara-, karo-, kuru- |
kubba-, kayra- |
mar 죽다 |
mara- |
miyya-, miya- |
③ 제1류-제5류, 제1류-제7류
어근(語根) |
+ -a = 어간(Ⅰ) |
+ -nā = 어간(Ⅴ) |
+ -e = 어간(Ⅶ) |
ci 쌓다 |
ce-, caya- |
cinā |
|
ji 승리하다 |
je-, jaya- |
jinā |
|
bhaj 나누다 |
bhaja- |
|
bhaje- |
vad 말하다 |
vada- |
|
va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