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610)] ― (MN 118-입출식념경)(1)[포살과 자자 & 전후의 차이 & 明으로 연결되는 법들](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K8Dq_c7m_98
1. (MN 118-입출식념경)은 도입부에서 포살과 자자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장로 비구들로부터 설명받고 가르침을 받은 신진 비구들은 고귀한 전후의 차이(*)를 알게 됩니다. 부처님은 이 비구 상가를 찬탄하는데, 사쌍(四雙)의 성자들이 있고, 7가지 보리분법과 사무량심 등을 실천하는 수행자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수행들에 이어 경은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 수행을 소개합니다.
(*) 고귀한 전후의 차이(uḷāraṃ pubbenāparaṃ visesaṃ) ― 여실지견(如實知見) 즉 정지(正知)의 이전-이후
• 용례1 ― (MN 89-법의 탑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9_09&wr_id=1
• 용례2 ― (MN 118-입출식념경)
• 용례2 ― (SN 47.10-비구니 거처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04_01&wr_id=12
(MN 119-신념처경)은 ‘누구든지 몸에 속한 사띠를 닦고 많이 행하는 자는 명(明)으로 연결되는 선법(善法)들을 포함하고 있다.’라고 하는데, (MN 118-입출식념경)이 소개하는 다양한 수행을 지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를 닦는 과정은 그대로 명(明)으로 연결되는 선법(善法)들 즉 다양한 수행을 포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439
2. 전체 영상은 아침 독송(240610)입니다.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1122
※ 아침 독송에 참여하는 방법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