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726)] (SN 48.10-분석 경2), (SN 48.36~38-분석 경1~3)[다섯…

0 246 2024.07.26 10:48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726)] (SN 48.10-분석 경2), (SN 48.36~38-분석 경1~3)[다섯 가지 기능 2(수행-느낌)](근본경전연구회)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caJkrCesj8

 

1. (SN 48.10-분석 경2)는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의 다섯 가지 기능을 정의합니다. 불교는 교주인 부처님이 자신에 대한 믿음을 요구하지 않는 이상한 종교라는 어떤 비구의 발언에 부당성을 지적하였는데, 기독교에서 여호와가 창조주라는 믿음을 요구하듯이 불교는 여래구덕(如來九德)으로의 깨달음을 갖춘 자로의 부처님에 대한 믿음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SN 1.36-믿음 경)은 믿음을 자기 자신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합니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1_01&wr_id=128

 

; 해피스님과의 대화(서울 240511) 세상2-1)[믿음 - 원초적 바른 견해(공부의 기준 & 스승의 영역에 속하는 것)](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참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09&wr_id=90

 

(SN 48.36~38-분석 경1~3)은 느낌의 다섯 가지 기능에 대한 분석인데, ()을 조건으로 생기는 수()와 신() 또는 심()의 상태에 수반되는 느낌의 구분을 포함합니다. 이때, () 또는 심()의 상태에 수반되는 느낌으로는 수행에서 생겨나는 개발된 느낌을 말할 수 있는데, 특히, 평정의 기능이 촉()에서 생기는 느낌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타당합니다.

 

그래서 (MN 59-많은 경험 경)은 락()-()-불고불락(不苦不樂)의 세 가지 느낌이 있다는 관점과 락()-()가 있을 뿐 불고불락(不苦不樂)은 수행자에게 성취되는 높은 경지에서 경험되는 것이라는 관점을 비교하여 소개합니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6_09&wr_id=1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79&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80

 

2. 전체 영상은 아침 독송(240726)입니다.

 

아침 독송에 참여하는 방법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96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