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제목: 불교는 갈애만 제거하면 다 되는거 아니였습니까? 그런데 왜 거기서 공포가 나오나요?

작업1 0 133 2023.01.27 06:25
누군가 이렇게 말할지도 모르겠습니다.

A와 B, 등을 통해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A: 불교는 갈애만 제거하면 다 되는거 아니였습니까? 그런데 왜 거기서 공포가 나오나요?
B: 그러면 당신에게 질문을 하겠습니다. 아는 대로 대답하십시오.

-

A: 알겠습니다.
B: 12연기적으로 갈애는 무었으로부터 생겨납니까?

-

A: 12연기적으로 갈애는 "육체적 느낌 및 감정(feeling)"으로부터 생겨납니다.
B: 그러면 12연기적으로 "육체적 느낌 및 감정(feeling)"은 무엇입니까?.

Vedanā (f.) [fr. ved°: see vedeti; cp. Epic Sk. vedanā] feeling, sensation

*해피스님의 법문에서 (육체적 즐거운 느낌, 정신적 즐거운 느낌), (육체적 괴로운 느낌, 정신적 괴로운 느낌),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느낌) 이렇게 세가지 느낌을 다섯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는 니까야의 경전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참조바랍니다.

-

A: 12연기적으로 "육체적 느낌 및 감정(feeling)"은 [즐거운 육체적 느낌 및 감정], [괴로운 육체적 느낌 및 감정],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육체적 느낌 및 감정]입니다.
B: 그러면 불교적으로 [위의 세가지 육체적 느낌 및 감정]에 대한 예가 있습니까?

-

A: 불교적으로 [위의 세가지 육체적 느낌 및 감정]을 전부 다 언급할 수는 없고 [마라의 군대]에 대해서 참조하겠습니다 (바로 아래쪽).

① <<오감五感>>으로 대상을 감각할 때 (존재하는) 욕망, or 기대감(=기대), or 소유욕, or 충동과 흥분.
② 불만
③ 굶주림과 목마름
④ 갈애, or (희망), or (기대감, 소유욕)
⑤ 게으름 및 졸음, or 둔감 및 무기력함.
⑥ 공포
⑦ 의심
⑧ (당신이 원하는 것을 하기로 결심하고 다른 것을 하기를 거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 탐,진,치의 영향으로 고집스럽게) 악을 행함
⑨ 이익, 칭찬, 명예, 그릇된 명성
⑩ 자신을 칭찬하면서 남을 비웃는 것 (= 아만我慢)

B: 그렇다면 공포도 감정이므로 갈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공포에 대해서도 잘 알고 대처해야 되는 것이군요?


-
*위의 ①번의 상황에서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 (희망이 있고 기대가 있고 흥분)이 있습니다.
-
*희망希望: 명사 1.
표준국어대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9a1df7fc9b44fca8fcf1cfd5c6ac9f9
*오감(五感):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b711134160d4ca4a1aa7fb020a8313e
-
-
-

A: 그렇습니다.
B: 그러면 12연기적으로 "육체적 느낌 및 감정(feeling)"은 무엇으로부터 생겨납니까?

-

A: 감정은 12연기적으로 접촉으로부터 생겨납니다.
B: 그러면 12연기적으로 접촉은 무엇입니까?

-

A: 12연기적으로 접촉은
①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눈과 눈에 보이는 모습들을 조건으로 눈식(= 눈 마음)이 생기고 이 세 가지의 화합을 "눈 접촉"이라고 합니다. 

②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귀와 귀에 들리는 소리들을 조건으로 귀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의 화합을 "귀 접촉"이라고 합니다. 

③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코와 코에 맡아지는 냄새들을 조건으로 코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의 화합을 "코 접촉"이라고 합니다. 

④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혀와 혀에 느껴지는 맛들을 조건으로 혀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의 화합을 "혀 접촉"이라고 합니다. 

⑤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몸[피부]과 몸[피부]에 느껴지는 감촉들을 조건으로 몸[피부]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의 화합을 "몸[피부] 접촉"이라고 합니다. 

⑥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정신적 지각 기능]과 [정신적 지각 기능]에 느껴지는 [정신적 지각 대상]들을 조건으로 [정신적 지각 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의 화합을 "정신적 접촉(or 정신 접촉)"이라고 합니다. 

B: 그러면 여기에서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의 의식은 어떤 식입니까?

-

A: 여기에서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의 의식은 (과거 생에 무엇에 [집착]이 있었기 때문에) (그 무엇에 식이 머물고 증장하여 미래에 다시 태어나게 된) 현재 삶의 식입니다.
B: 그러면 위에서 ①~⑥의 [삼사화합접촉]할 때의 식은 무엇입니까?

-

A: [위에서 ①~⑥의 삼사화합접촉]할 때의 식은 (의식이 있는 상태의 의식이 아니라) 위에서 ①~⑥의 [삼사화합접촉]할 때 (새롭게) 생겨난 [눈식, 귀식, 코식, 혀식, 몸(피부)식, 의식]입니다.
B: 그러면 위에서 ①~⑥의 [삼사화합접촉]할 때 무언가에 집착을 한다면 [눈식, 귀식, 코식, 혀식, 몸식, 의식] 그 무언가에 머물고 증장하여 미래에 다시 태어나게 되겠군요?

-

A: 그렇습니다.
B: 그렇다면 12연기적으로 미래에 다시 태어나지 않게 되는 방식은 무엇입니까?

-

A: 12연기적으로 미래에 다시 태어나지 않게 되는 방식은
①무명의 남김없는 소멸에 의해서 행의 소멸이 있고,
②행의 소멸에 의해서 식의 소멸이 있고,
③식의 소멸에 의해서 명색의 소멸이 있고,
④명색의 소멸에 의해서 육입의 소멸이 있고,
⑤육입의 소멸에 의해서 촉의 소멸이 있고,
⑥촉의 소멸에 의해서 수의 소멸이 있고,
⑦수의 소멸에 의해서 애의 소멸이 있고,
⑧애의 소멸에 의해서 취의 소멸이 있고,
⑨취의 소멸에 의해서 유의 소멸이 있고,
⑩유의 소멸에 의해서 생의 소멸이 있고,
⑪생의 소멸에 의해서 ⑫노-사, 슬픔, 비탄, 고통, 고뇌, 절망, 등의 괴로움의 소멸이 있다.
(이렇게 12연기 맞는거겠죠?)


B: 그러면 무명은 무엇입니까?

-

A: 무명은 고苦에 대한 무지無知, 고집苦集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苦滅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도苦滅道에 대한 무지無知를 말합니다.

B: 그러면 고苦에 대한 무지無知, 고집苦集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苦滅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도苦滅道에 대한 무지無知는 [대념처경]에 있는 4성제만 외우면 되는 것이군요?

-

A: 아닙니다. 여래께서 설하신 고苦, 고집苦集, 고멸苦滅, 고멸도苦滅道들에 대한 말씀인 [니까야]를  전체적으로 많이 반복해서 읽어야만 합니다.

B: 왜 그렇습니까?

-

A: "고苦, 고집苦集, 고멸苦滅, 고멸苦滅로 이끄는 도道" 부분만 대념처경에서 외워 가진다고 해서 그 의미를 전부 꿰뚫어 알기란 쉬운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니까야를 전체적으로 많이 반복해서 읽음으로써 여래께서 설하신 법과 율과 여래로부터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분들께서 설하신 법과 율인 니까야를 통해서 고苦, 고집苦集, 고멸苦滅, 고멸苦滅로 이끄는 도道들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인 겁니다.

B: 좋습니다.

-
-
-
-
-
-
-
-



*참조: https://suttacentral.net/snp3.2/en/sujato?layout=plain&reference=none¬es=asterisk&highlight=false&script=latin


① 오감五感으로 대상을 감각할 때 (존재하는) 욕망, or 기대감, or (특히 남의 것에 대한) 소유욕.
② 불만
③ 굶주림과 목마름
④ 갈애
⑤ 게으름 및 졸음, or 둔감 및 무기력함
⑥ 공포
⑦ 의심
⑧ (당신이 원하는 것을 하기로 결심하고 다른 것을 하기를 거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악을 행함
⑨ 이익, 칭찬, 명예, 그릇된 명성
⑩ 자신을 칭찬하면서 남을 비웃는 것


*참고: obduracy: 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obduracy
*참고: obdurate: 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obdurate

*참고: stubbornly:
당신이 원하는 것을 하기로 결심하고 다른 것을 하기를 거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그녀는 그 서류에 서명하기를 완강히 거부했다.
"NO,"라고 윌리엄이 완고하게 말했다.
dictionary.cambridge.org/ko/사전/영어/stubbornly

stubbornly를 완고하게 라고 번역하지 않은 이유는 "완고하게"라는 것은 남의 말을 듣지 않고 고집을 피움을 말합니다.
그런데 불교적으로 남이 뭐라고 하던 여래.아라한.정등각의 법과 율에 대해서 굳건한 믿음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겁니다.

다른 사람이 뭐라고 하던지 (정확히 알고 있는) 여래.아라한.정등각의 법과 율에 대해서는 고수固守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stubbornly의 의미를 더 분명히 하기 위해서 영어사전을 참조하였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