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불교입문(1) 소유

불교입문(1) 소유

불교입문(1-소유 220405) 제4부 제2장 한 개(불방일)와 두 개의 법(보시와 오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불교입문(1-소유 220405) 4부 제2장 한 개(불방일)와 두 개의 법(보시와 오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vP3nPvNpSc4

 

2장은 히리와 옷땁바를 포함하지 않는 법들의 전개인데, 한 개~여섯 개의 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 개의 법으로는 불방일(不放逸-appamāda)이 있는데, 게으르지 않다는 의미보다는 신중, 주의 깊음, 방심하지 않음, 조심 등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특히, 수행(修行)에서는 수행자가 삼매를 닦지 못해서 법이 드러나지 않을 때, 방일하게 머무는 자이고, 삼매에 들어 삼매를 닦을 때 법이 드러나면, 불방일에 머무는 자라고 정의됩니다. 두 개의 법으로는 보시(布施)와 오계(五戒)가 있는데, 재가신자의 삶의 향상을 위한 테크닉의 두 축입니다. 한편, 불교는 세상에서의 삶을 이끄는 기술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2장은 히리와 옷땁바를 포함하지 않는 법들의 전개인데, 한 개~여섯 개의 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한 개의 법 = 불방일(不放逸)

 

부처님의 마지막 말씀 ― 「조건적인 것들은 무너지는 것이다. 성취를 위해 불방일(不放逸)로써 노력해야 한다.(DN 16.36-대반열반경, 여래의 마지막 말씀)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2_03&wr_id=39

 

사띠(알아차림)과 함께 심()을 보호하는 것(AN 4.117-보호경)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8_02&wr_id=3

 

불방일(不放逸)의 의미 pamāda는 방일(放逸)이라고 한역(漢譯)되었지만, 게으름이나 자유분방보다는 부주의, 조심성 없음의 의미가 우선한다고 보아야 함

 

appamāda는 불방일(不放逸)이라고 한역되었지만, 게으르지 않다는 의미보다는 신중, 주의 깊음, 방심하지 않음, 조심 등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

 

이렇게 신중하고, 주의 깊고, 방심하지 않고, 조심하는 것으로의 불방일(appamāda)이 알아차림 즉 마음의 현재를 발견하는 힘/기능인 사띠와 함께 심()을 보호하는 것

 

부주의하고 조심하지 않아서 생기는 다양한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음. 문제가 생긴 뒤에 수습하는 것보다는,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앞서서 방지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

 

수행(修行)에 있어서 불방일 수행자가 삼매를 닦지 못해서 법이 드러나지 않을 때, 방일하게 머무는 자이고, 삼매에 들어 삼매를 닦을 때 법이 드러나면, 불방일에 머무는 자라고 정의됩니다(SN 35.80-방일한 머묾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1&sca=sa%E1%B8%B7a

 

. 두 개의 법 보시(布施)와 오계(五戒)

 

불교 = 세상에서의 삶을 이끄는 기술 → ①소유하고자 하는 자로서의 행복, 소유의 영역에서 벗어남, 존재의 영역에서 벗어남을 위한 세 단계로 이루어진 삶의 기술입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8[불교입문1 소유(201027) 인생 항로 & 세 가지 삶의 방식 차제설법] 참조.

 

보시와 오계 = 재가신자의 삶의 향상을 위한 테크닉의 두 축」 ― 보시와 오계는 쌍을 이루어 태어남의 자리를 지시하는데, 수행이 배제된 경우에는 욕계(慾界)의 여섯 하늘까지를 한계로 하고, 수행이 함께 한 경우에 색계(色界) 하늘로 진입하는 것을 말해줍니다. 물론, 그 연장선 위에서 수행은 깨달음으로 이끕니다.

Comments

대원행 2022.09.13 21:18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2_02&wr_id=4 참조 (법구경 강의― 2. 불방일 품, 게송(21-22)[불방일=불사(不死)로 가는 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