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불교입문(1) 소유

불교입문(1) 소유

불교입문(1-소유 220412) 제2장 수행 개요 - 1)힘과 기능(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불교입문(1-소유 220412) 2장 수행 개요 - 1)힘과 기능(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Yd9_YQ4usCs

 

보시-오계-수행은 세 가지 공덕행[세 가지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puññkiriya-vatthu)]이어서 수행은 보시와 오계 위에서 삶을 더욱 향상하는 길과 실천입니다. bhāvanā(-와나-)의 번역인데, 명상을 통해 마음의 힘을 개발하고 증진하는 것입니다. 마음의 힘은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의 다섯 가지를 말하는데, 기능[()] 또는 힘[()]인데, 퇴보로 이끄는 것들의 방어 측면에서는 힘, 진보로 이끄는 동력의 측면에서는 기능입니다. 힘과 기능에 대한 이런 이해는 노력의 방향을 설명해주는데, 불선법들의 버림의 측면과 선법들의 성취의 측면입니다. 팔정도의 정정진, 보리분법의 사정근, 오근 또는 오력의 정진

 

. 세 개의 법 특히 수행(修行)

 

[1] 보시(布施)-오계(五戒)-수행(修行) 세 가지 공덕행(功德行)[세 가지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puññkiriya-vatthu)] (DN 33.6-합송경, 세 가지로 구성된 법들)(AN 8.36-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 경)

 

[2] 수행(修行)

 

수행(修行)은 보시와 오계 위에서 삶을 더욱 향상하는 길과 실천입니다. 수행(修行)bhāvanā(-와나-)의 번역입니다. increase; development by means of thought; meditation[증진. 개발. 명상] 등을 의미하는 용어인데, 명상을 통해 마음의 힘을 개발하고 증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습니다.

 

마음의 힘은 믿음(saddha)-정진(vīriya)-사띠(sati)-삼매(samādhi)-지혜(paññā)의 다섯 가지를 말하는데, 기능[오근(五根)] 또는 힘[오력(五力)]입니다. 이때, 퇴보로 이끄는 것들의 방어 측면에서는 힘[(-bala)], 진보로 이끄는 동력의 측면에서는 기능[(-indriya)]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소유[()]를 동력으로 살아가는 욕계(慾界) 중생인 우리는, 마음에게 직접 몸을 데리고 살아가라고 허용하면, ()를 생겨나게 합니다. 소유의 경향[욕상(慾想)]이 내 마음을 지배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삶이 더 나아지기 위해서 마음은 불선(不善)을 방어하고 선()을 북돋우는 양 측면에서 무언가의 도움이 필요한데, 부처님에 의하면, 믿음과 정진 그리고 사띠와 삼매와 지혜입니다. 이 다섯 가지는 마음이 가지는 수단이고, 능력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 불선(不善)/무익(無益) 즉 퇴보로 이끄는 것들의 방어 측면에서는 힘[(-bala)]이라고 불리고, ()/유익(有益) 즉 진보로 이끄는 동력의 측면에서는 기능[(-indriya)]이라고 불립니다. 그래서 불교 교리에서는 다섯 가지 힘[오력(五力)]과 다섯 가지 기능[오근(五根)]으로 나타나는데, 소유를 동력으로 하는 삶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오력(五力) 또는 오근(五根)의 수단/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힘과 기능에 대한 이런 이해는 노력의 방향을 설명해줍니다. 팔정도(八正道)의 정정진(正精進), 보리분법(菩提分法)의 사정근(四正勤), 오근(五根) 또는 오력(五力)의 정진(精進)은 모두 같은 방법으로 정의되는데, 불선법(不善法)들의 버림을 위하고, 선법(善法)들의 성취를 위한 것입니다.

 

불선법(不善法)들의 버림의 측면 ― ①생겨나지 않은 악한 불선법들을 생겨나지 않게 하기 위함, 생겨난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함

 

선법(善法)들의 성취의 측면 ― ①생겨나지 않은 선법들을 생겨나게 하기 위함, 생겨난 선법들을 유지하고, 혼란스럽지 않게 하고, 점점 더 커지게 하고, 닦아서 완성하기 위함

 

한편,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의 같은 다섯 가지를 힘이라고도 하고 기능이라고도 하는 이유는 (SN 48.43-사께따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05_05&wr_id=9)이 설명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