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불교입문(2) 사실

불교입문(2) 사실

몸의 역할 — 인식

 

 

<별첨> 몸의 역할 — 인식

 

 

 

1. 「imasmiñca saviññāṇake kāye bahiddhā ca sabbanimittesu 식(識)과 함께한 이 몸과 밖의 모든 상(相)에서」

 

2. 「iti ayañceva kāyo bahiddhā ca nāmarūpaṃ, itthetaṃ dvayaṃ, dvayaṃ paṭicca phasso saḷevāyatanāni 이렇게 이 몸과 밖의 명색(名色)이 있다. 여기에 이 쌍(雙)이 있고, 쌍을 연(緣)하여 육촉처(六觸處)가 있다.」 — bālapaṇḍitasuttaṃ (SN 12.19-우현(愚賢) 경) 

 

3. 「‘asmī’ti kho pana, bhikkhave, avigate pañcannaṃ indriyānaṃ avakkanti hoti — cakkhundriyassa sotindriyassa ghānindriyassa jivhindriyassa kāyindriyassa. atthi, bhikkhave, mano, atthi dhammā, atthi avijjādhātu. 그러면, 비구들이여, '나는 있다!'가 사라지지 않을 때 눈의 기능, 귀의 기능, 코의 기능, 혀의 기능, 몸의 기능이라는 다섯 가지 기능들의 참여가 있고, 비구들이여, 의(意)가 있고, 법(法)들이 있고, 무명(無明)의 요소가 있다.」 — samanupassanāsuttaṃ(SN 22.47-관찰 경)

 

4. 「imesaṃ kho, āvuso, pañcannaṃ indriyānaṃ nānāvisayānaṃ nānāgocarānaṃ, na aññamaññassa gocaravisayaṃ paccanubhontānaṃ, mano paṭisaraṇaṃ, mano ca nesaṃ gocaravisayaṃ paccanubhotī 도반이여, 서로의 영역과 대상을 경험하지 않는, 다른 대상과 다른 영역을 가지는 다섯 가지 기능에게 의(意)가 의지처이고, 오직 의(意)가 그것들의 영역과 대상을 경험합니다.」

 

5. 「imasmiṃyeva byāmamatte kaḷevare sasaññimhi samanake 상(想)과 함께하고 의(意)와 함께하는 한 길 크기의 이 몸(身) 위에서」 — (SN 2.26-로히땃사 경)/(AN 4.45-로히땃사 경)/(AN 4.46-로히땃사 경2)

Comments

아빈뇨 2024.08.23 06:5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