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피스님과의 대화(서울 250308-1) 업을 잇는 자 & 원초적 바른 견해[십업(十業) & 저세상-화생-업의 과와 보 있음](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ImytowS1DU
재가의 불교 신자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주제로 설명하였는데, 업(業) 이야기입니다. 업은 행위이면서 동시에 행위의 결과입니다. 그런데 중생은 ‘업을 있는 자(https://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396)’입니다. 나쁜 행위를 하면 나쁜 업을 이어서 나쁘게 변하고, 좋은 행위를 하면 좋은 업을 이어서 좋게 변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변화가 살아서뿐만 아니라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업을 이어서 태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나쁜 업은 무엇이고 좋은 업은 무엇입니까? 신업(身業-몸의 행위)과 구업(口業-말의 행위)과 의업(意業-마음의 행위)이 있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몸의 3가지, 말의 4가지, 마음의 3가지여서 10가지 즉 십업(十業)이 됩니다. 십업은 행위의 질에 따라 십악업(十惡業)/십불선업(十不善業)과 십선업(十善業)으로 구분됩니다.
; (MN 41-살라의 주민들 경)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5_01&wr_id=2
;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 (4-10)adhammacariyāsuttaṃ (AN 10.220-비법의 행위 경)[십선업-십악업 = 선악의 기준](근본경전연구회230623) ☞ https://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83
한편, 십선업(十善業)의 정견(正見-바른 견해)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데, (DN 23-빠야시 경)의 원초적 바른 견해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1) 저세상은 있다(atthi paro loko) → 윤회(輪廻)
2) 화생(化生) 하는 중생은 있다(atthi sattāopapātikā) ― 태어나는 자리 → 오도윤회(五道輪廻)
3) 업(業)에는 과(果)와 보(報)가 따른다(atthi sukatadukkaṭānaṃ kammānaṃ phalaṃ vipāko) → 태어남의 선택
; 초기불교 백일법문(수행경전) - (별책-5)pāyāsisuttaṃ (DN 23-빠야시 경)[원초적 바른 견해 - 스승의 영역에 속하는 것](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907) ☞ https://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402
; 금정총림 범어사 포교사단 일요법회(241013) - 공덕 & 가르침의 토대와 원초적 바른 견해(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https://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6_02&wr_id=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