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41-157)[빛(5)-때-근본(계-정-혜-해탈)-기능-힘-겁-출가자의 병](근본경전연구회 해…

0 25 03.10 18:22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41-157)[빛(5)-때-근본(계-정-혜-해탈)-기능-힘-겁-출가자의 병](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50306)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9BNVz1zrIJw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완성 관계로 쉬었던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를 7개월 만에 다시 시작했습니다.


Ⅰ. (15) 5. ābhāvaggo 빛 품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8_05

 

1~5. ābhāsuttaṃ (AN 4.141-빛 경)/pabhāsuttaṃ (AN 4.42-빛 경)/ālokasuttaṃ (AN 4.143-빛 경)/obhāsasuttaṃ (AN 4.144-빛 경)/pajjotasuttaṃ (AN 4.145-빛 경)


; 빛을 뜻하는 5가지 단어 ― ābhā/pabhā/āloka/obhāsa/pajjota


; devā ābhassarā 광음천(光音天)/ābhā devā 광천(光天)/candimasūriyānaṃ ābhā 달과 태양의 빛


; “‘viññāṇaṃ anidassanaṃ anantaṃ sabbato pabhaṃ’ 식(識)은 속성이 없고[보이지 않고], 한계가 없고, 모든 관점에서 빛난다. 


; ālokasaññaṃ 광명상(光明想) /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안(眼)이 생겼고, 지(知)가 생겼고, 혜(慧)가 생겼고, 명(明)이 생겼고, 광(光)이 생겼다.


; atha kho candimaso devaputto abhikkantāya rattiyā abhikkantavaṇṇo kevalakappaṃ jetavanaṃ obhāsetvā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그런데 밤이 지날 무렵에 신의 아들 짠디마사가 아름다운 모습으로 제따와나의 거의 전부를 빛나게 하면서 세존에게 왔다.


; paññā lokasmi pajjoto, sati lokasmi jāgaro. 지혜가 세상에서 빛이고, 사띠가 세상에서 깨어남[눈뜸]이다.


6. paṭhamakālasuttaṃ (AN 4.146-때 경)


kāla 1.1 masc. time; occasion 

kāla 1.2 masc. suitable time; appropriate occasion; right time; lit. time 

kāla 1.3 masc. time of death; death moment; lit. time 


; 네 가지 때 ― 법을 듣기에 적당한 때, 법을 토론하기에 적당한 때, 익히기[사마타]에 적당한 때, 위빳사나에 적당한 때


7. dutiyakālasuttaṃ (AN 4.147-때 경2) → 이런 네 가지 적절한 때에 바르게 닦고, 바르게 실행할 때 점진적인 번뇌들의 부서짐을 얻는다.


; 점진적인 번뇌들의 부서짐


; ‘작은 연못 → 큰 연못 … ’의 비유 경들 ― (SN 12.23)/(SN 12.69)/(SN 45.151)/(SN 46.1)/(SN 55.38)/(AN 3.96)/(AN 4.147)/(AN 10.61)/(AN 10.62)


8~9. duccaritasuttaṃ (AN 4.148-나쁜 행위 경)/sucaritasuttaṃ (AN 4.149-좋은 행위 경)


; 네 가지 나쁜 말의 행위 ― 거짓말, 험담, 거친 말, 쓸모없고 허튼 말

; 네 가지 좋은 말의 행위 ― 진실된 말, 험담하지 않음, 부드러운 말, 지혜로운 말


10. sārasuttaṃ (AN 4.150-근본 경)


; 네 가지 근본 ― 계의 근본, 삼매의 근본, 지혜의 근본, 해탈의 근본


; 계(戒)-정(定)-혜(慧)-해탈(解脫)의 용례 ― (DN 16-대반열반경)


1) 「이것이 계(戒)다. 이것이 삼매[정(定)]이다. 이것이 지혜[혜(慧)]다. 계(戒)를 완전히 닦은 삼매는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다. 삼매를 완전히 닦은 지혜는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다. 지혜를 완전히 닦은 심(心)은 번뇌들로부터 잘 해탈하나니, 소유의 번뇌[욕루(慾漏)]와 존재의 번뇌[유루(有漏)]와 무명의 번뇌[무명루(無明漏)]이다.」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2_03&wr_id=12

 

2) 성스러운 계-정-혜-해탈를 깨닫지 못하고 그 본질을 잘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와 그대들은 이처럼 긴 시간을 죽으면 다시 태어나서 윤회하였다.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2_03&wr_id=25

 

Ⅱ. (16) 1. indriyavaggo 기능 품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8_06

 

1~5. indriyasuttaṃ (AN 4.151-기능 경)/saddhābalasuttaṃ (AN 4.152-믿음의 힘 경)/paññābalasuttaṃ (AN 4.153-지혜의 힘 경)/satibalasuttaṃ (AN 4.154-사띠의 힘 경)/paṭisaṅkhānabalasuttaṃ (AN 4.155-가늠의 힘 경)


; 4가지 기능 ―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 4가지 힘 ― 믿음의 힘, 정진의 힘, 사띠의 힘, 삼매의 힘

; 4가지 힘 ― 지혜의 힘, 정진의 힘, 결점 없음의 힘, 따르게 함의 힘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7_01&wr_id=4

 

; 4가지 힘 ― 사띠의 힘, 삼매의 힘, 결점 없음의 힘, 따르게 함의 힘

; 4가지 힘 ― 가늠의 힘, 수행의 힘, 결점 없음의 힘, 따르게 함의 힘


※ 2가지 힘 ― 가늠의 힘, 수행의 힘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3_02&wr_id=1

 

6. kappasuttaṃ (AN 4.156-겁(劫) 경) ― 겁(劫)에게 헤아려지지 않는 4가지


7. rogasuttaṃ (AN 4.157-병 경)


; 2가지 병 ― 몸에 속한 병과 심(心)에 속한 병 → 심(心)에 속한 병에서는 번뇌 다한 자 외에 한순간도 건강을 자신하는 중생을 얻기는 매우 어려움 


※ 몸과 마음에 대한 유사한 관점 → (SN 12.61-배우지 못한 자 경)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2_01&wr_id=14

 

; 4가지 출가자의 병 ― ①원함이 많고, 불만이 많고, 어떤 가사-탁발 음식-거처-병(病)의 조건으로부터 필요한 약품으로도 만족하지 못한다. → ②멸시당하지 않기 위해,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얻기 위해 악한 원함을 지향한다. → ③일어나고 노력하고 애쓴다. → ④속셈을 가지고 가문들에 가고-앉고-법을 말하고-오줌똥을 눈다. 


; 이렇게 공부해야 함 ― ①우리는 원함이 많고, 불만이 많고, 어떤 가사-탁발 음식-거처-병(病)의 조건으로부터 필요한 약품으로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이지 않을 것이다. → ②멸시당하지 않기 위해,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얻기 위해 악한 원함을 지향하지 않을 것이다. → ③우리는 추위와 더위와 허기와 갈증을 참을 것이다. 파리-모기-바람-햇빛-파충류에 닿음과 심하고 언짢은 말들과 괴롭고 날카롭고 예리하고 고통스럽고 불편하고 마음에 들지 않고 생명을 위협하는, 생겨난 몸에 속한 느낌들을 참을 것이다.(*)


(*) (MN 2-모든 번뇌 경)의 참음을 통해서 버려야 하는 번뇌들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1_02&wr_id=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