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상윳따 니까야(중심 주제)

상윳따 니까야(중심 주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 (SN 12 인연 상윳따 250702 zoom) (SN 12.32-깔라라 경)[무위의 앎(아라한)의 선언 ‒ ‘경험된 것은 무엇이든지 고(苦)의 영역에 있다.’ & 의심하지 않음](근본경전연구회) 07.03 153
14 (SN 12-인연 상윳따 250625 zoom) (MN 48) & (SN12.31)[예류자(어린 새끼가 있는 암소) & 활성존재(bhūta)=유(有-bhava)의 활성 상태](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6.27 224
13 (SN 12-인연 상윳따 250618 zoom) (SN 12 27~30)[예류자(법의 흐름에 든 자 & 견해를 갖춘 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2 06.19 220
12 (SN 12-인연 상윳따 250611 zoom) (SN 12.24~26)[자신이 짓는(sayaṃkataṃ) & 육촉처의 의미](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1 06.13 28
11 (SN 12-인연 상윳따 250604 zoom) (SN 12.21~23)십력 경과 기반 경[범륜(梵輪)의 내용 & 23조건(고→믿음)](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1 06.07 223
10 (SN 12-인연 상윳따 250521 zoom) (SN 12.19~20) 우현경과 조건경[몸으로 간다 & 깨닫고 실현한 법(여기에서의 조건성인 연기)](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1 05.25 232
9 (SN 12-인연 상윳따 250507 zoom) (SN 12.16~18)[중(中)에 의해 설해진 법 & 법을 설하는 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2 05.09 43
8 (SN 12-인연 상윳따 250430 zoom) (SN 12.11-15)[사문(수행체계도)-바라문(禪의 의미) & 중(中)에 의해 설해진 법](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1 05.02 221
7 (SN 12-인연 상윳따 250423 zoom) (SN 12.11-자량 경)[자량(āhāra)-사식(四食-네 가지 자량) → 사식(십지연기)과 오온(십이연기)](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1 04.25 240
6 (SN 12-인연 상윳따 250416 zoom) (SN 12.10-고따마 경)[동일한 깨달음에 의한 계보 & 깨달음의 본질=생사 문제의 해결](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1 04.20 197
5 (SN 12-인연 상윳따 250402 zoom)(SN 12.2-분석 경)③[3가지 행(行) ~ 무명(無明)의 정의들 & 삶의 메커니즘](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04 281
4 (SN 12-인연 상윳따 250326 zoom) (SN 12.2-분석 경) ②[수(受) ~ 식(識) = 지금 삶의 현장 & 식과 명색으로의 존재를 펼친 육입-촉-수](근본경전연구회) 댓글+1 03.28 235
3 {주요 상윳따 공부(zoom) 1} (SN 12-인연 상윳따) ― (SN 12.2-분석 경)①[노사 ~ 육입 ― 존재=업이 아니라 식 & 멸애(nirodhataṇhā)](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50312) 댓글+2 03.15 257
2 분석(vibhaṅga-용어 정의)의 의미(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50305) 댓글+2 03.07 65
1 {주요 상윳따 공부(zoom) 1} (SN 12.1-연기경)[연기 & 삶의 메커니즘과 3가지 행들 & 분석(용어 정의)](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50305) 댓글+1 03.07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