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진행중인 법회 > 해피스님의 경전해설2 주제별

해피스님의 경전해설2 주제별

제사(祭祀)의 두 측면 ㅡ yañña & saddha

제사(祭祀)의 두 측면 yañña & saddha

 

제사(祭祀)로 번역된 단어는 yañña: sacrifice; alms-giving. (m.)입니다. (DN 5-꾸따단따 경)(DN 23-빠야시 경)에 의하면, 제사(祭祀)(yañña)나에게 오랫동안 이익을 위하고, 행복을 위한 의식입니다.

 

kūṭadantasuttaṃ, mahāvijitarājayaññakathā (DN 5.4-마하위지따 왕의 제사 이야기)

 

yaṃnūnāhaṃ mahāyaññaṃ yajeyyaṃ yaṃ mama 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ā’ti.

 

나는 나에게 오랫동안 이익을 위하고, 행복을 위한 것인 큰 제사를 지내리라.

 

icchāmahaṃ, brāhmaṇa, mahāyaññaṃ yajituṃ. anusāsatu maṃ bhavaṃ yaṃ mama 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ā’”ti.

 

바라문이여, 나는 나에게 오랫동안 이익을 위하고, 행복을 위한 것인 큰 제사를 지내는 것을 희망합니다. 존자는 나에게 조언해 주십시오.

 

pāyāsisuttaṃ, saraṇagamanaṃ (DN 23.18-빠야시 경, 귀의)

 

“icchāmi cāhaṃ, bho kassapa, mahāyaññaṃ yajituṃ, anusāsatu maṃ bhavaṃ kassapo, yaṃ mam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ā”ti.

 

깟사빠 존자여, 나는 나에게 오랫동안 이익을 위하고, 행복을 위한 것인 큰 제사를 지내는 것을 희망합니다. 깟사빠 존자는 나에게 조언해 주십시오.

 

그런데 제사(祭祀)는 살생(殺生)을 수반하는 의식이었습니다. (DN 5-꾸따단따 경)에서 전생의 부처님은 그런 제사의 위험을 알리고, 살생을 수반하지 않는 보시(報施)에 의한 제사를 제시합니다. 그리고 부처를 이룬 지금은 불교의 신행(信行)오랫동안 이익을 위하고, 행복을 위한 것으로의 제사 방법으로 제시합니다.

 

가문을 잇는 제사 ()를 중시하는 출가자에게 끊임없이 보시(報施)하는 것

사방승가를 위한 승원을 지음 특정사원에 머무는 출가자들이 아니라 사방의 출가자들이 머물 수 있는 승원을 지음.

깨끗한 심()으로 삼보(三寶)에 귀의함.

깨끗한 심()으로 오계(五戒)를 지킴.

여래(如來)를 따라 깨달음을 성취함.

 

(DN 23-빠야시 경)은 살생을 수반하고 삿된 실천을 하는 자들이 참가하는 제사는 결실이 많지 않고, 이익이 많지 않고, 큰 영광이 없고, 크게 뻗어가지 않지만, 살생을 수반하지 않고 바른 실천을 하는 자들이 참가하는 제사는 결실이 많고, 이익이 많고, 큰 영광이 있고, 크게 뻗어간다고 합니다. 살생의 유무와 참가하는 자들의 성향에 따라 제사의 성과가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적으로 제사(祭祀)는 좀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고 보아야 합니다.

 

제사(祭祀) :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 <표준국어대사전>

 

(DN 5-꾸따단따 경)(DN 23-빠야시 경)이 말하는 제사 즉 yañña가 신령(神靈)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내는 행위라면,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내는 행위도 있기 때문입니다.

 

(AN 10.177-자눗소니 경)saddha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 보시가 친지와 혈육인 죽은 이들에게 도달하기를. 이 보시를 친지와 혈육인 죽은 이들이 사용하기를.'이라는 바람을 담은 행위를 의미합니다. 초기불전연구원은 조령제(祖靈祭), 한국빠알리성전협회는 망자의 제사로 번역하였는데, 근본경전연구회에서는 망자공양(亡者供養)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AN 10.177-자눗소니 경)에 의하면, saddha는 보시(報施)입니다. 신령(神鈴)에게 정성을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바치는 행위와는 구분됩니다. 그런데 이 행위가 유효한 것인지는 잘 확인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보시가 친지와 혈육인 죽은 이들에게 도달합니까? 이 보시를 친지와 혈육인 죽은 이들이 사용합니까?’라고, 보시(報施)에 의한 saddaha[망자공양(亡者供養)]의 유효성을 부처님에게 질문하는 것이 이 경의 주제인데, 부처님은 그 유효성에 대한 답변에 더해 행위자의 결실에 대한 측면까지도 답합니다.

 

이 경은 주목되어야 합니다. 일상적으로 행하는 돌아가신 분들을 위한 우리의 정성이 유효한 것인지, 또는 적절한 방법으로 행위 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답을 주기 때문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