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짧은 동영상(불교의 요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6 공지 (아침독송 발췌 250425) 초기불교 경전백선 독송집[부처님의 언어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독송하면서 하루를 잘 시작하는 방법 = 아침 독송](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12:01 28
265 기타 사여의족을 두 번의 아침 독송에서 수행의 요점의 연장선에서 설명하였습니다. 04.24 6
264 기타 대표적인 수행 경전 3개(대념처경-신념처경-입출식념경)를 아침 독송에서 다시 설명하였습니다. 04.23 14
263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21) 입출식념경(4) 수행체계의 완성[사념처와 칠각지의 대응(사띠와 염각지의 생김) & 과정과 쉼](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22 20
262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18) 입출식념경(3) ‒ 호흡수행 16단계②[신행(身行) → 심행(心行) → 2번의 삼사화합 & 신-수-심-법념처 각각의 keyword](근본경전연구회) 04.22 19
261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17) 입출식념경(2) ‒ 호흡수행 16단계①[1차 인식에서 2차 인식으로의 전환→ 행복의 과정으로의 불교 수행](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20 18
260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16) 입출식념경(1) 수행경전 구조[대념처경 → 신념처경 → 입출식념경 & 입출식념경 도입 부분 ‒ 전후의 차이](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19 19
259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15) 신념처경(4) ‒ 열 가지 이익[총괄 정리](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19 21
258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14) 신념처경(3) ‒ 법이 드러난 자리[무상-고-무아의 관찰 자리 / 사띠토대가 있을 때 & 일본 방문 보고 / 맛지마 니까야 요약 독송] 04.19 18
257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04) 신념처경(2) ‒ 법의 드러남[내적인 心의 사마타 = 知와 見으로 이끄는 삼매 수행](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18 16
256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03) 신념처경(1) 대념처경과 신념처경의 구조 비교[후렴의 위치와 이끎](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18 20
255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02) 대념처경 마무리(팔정도 & 후렴)[삿된 생활/밀착된 사띠 & 오직 앎(正知)/깨달음에 소요되는 시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18 20
254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401) 활성화된 삶에서의 법(法)[오온=일체(십이처) & (식-명색)=활성화된 일체 & 사띠로 눈뜬 삶에서의 법의 의미](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4.18 18
253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331) 사념처의 대상 & 법(法)[신-수-심-법(4) → 소분류(16) → 구체적 대상(43조각) & 활성화된 삶에서의 법의 의미](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댓글+1 03.31 35
252 기타 (아침독송 발췌 250327) 법념처(장애-오온-족쇄-각지)[족쇄 & 자라나는 법-무너지는 법-자라나고 무너지는 법](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03.28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