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진행중인 법회 > 해피스님의 경전해설2 주제별

해피스님의 경전해설2 주제별

경전해설(201029) - 배우지 못한 범부 1.아(我)[삿된 견해의 숫자 수정 - 5x4(x) - 5x3(O)](근본경전연구…

경전해설(201029) - 배우지 못한 범부 1.()[삿된 견해의 숫자 수정 - 5x4(x) - 5x3(O)](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EvgmcOi583s

 

배우지 못한 범부는 ()을 아()로부터 관찰합니다. ()을 가진 자로서의 아()를 관찰하거나, ()에서 색()을 관찰하거나, ()에서 아()를 관찰합니다. ()-()-()-()에 반복 …」

 

이 내용은 색()-()-()-()-()을 아()로부터 즉 ()라는 관점을 전제하고서 세 가지로 관찰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그간의 해석은 ()로부터를 전제된 관점으로 이해하지 않고 뒤의 세 가지에 더해 모두 네 가지로 관찰한다고 설명하는데, ()-()-()-()-() 각각에 대한 네 가지의 관찰이어서 ‘5×4=20’개의 삿된 견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장의 빠알리 원전은 rūpaṃ attato samanupassati, rūpavantaṃ attānaṃ, attani rūpaṃ, rūpasmiṃ attānaṃ 인데, 빠알리 문법에서 가 세 번이면 또는(or)’으로 연결되는 숫자가 셋이기 때문에 이 경우는 5×3=15개의 경우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43으로 수정하면 4의 이해에서는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는데, 무아(無我)를 선언하는 다른 경들과의 연결입니다. (SN 22.59-무아상(無我相) ) 등은 무상(無常)하고 고()이고 변하는 것인 색()-()-()-()-()에 대해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은 나다. 이것은 나의 아().’라고 관찰하는 것이 타당한가?’라고 묻는데, () 아닌 것에 대해 아()를 전제한 이런 관찰이 타당한지의 질문입니다.

 

경은 다시 모든 색()-()-()-()-()에 대해 이것은 나의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가 아니다. 이것은 나의 아()가 아니다.’라고 바른 지혜로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고 관찰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하고 락()이고 영원한 것 즉 아()라면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은 나다. 이것은 나의 아().’라고 관찰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그러나 존재하는 것은 모두 무아(無我)이기 때문에[제법무아(諸法無我)] 어떠한 것이든 ()라고 설정된 것[거짓]에게 부여된 성질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은 나다. 이것은 나의 아().’라고 관찰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설명입니다.

 

즉 무상(無常)하고 고()이고 변하는 것인 오온(五蘊)을 아()라고 잘못 보면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은 나다. 이것은 나의 아().’라고 관찰하게 되는데, ()라는 관점의 전제 위에서 관찰되는 세 가지 방법입니다. 이런 점에서 관찰 방법과 관련한 두 가지 용례는 ()을 가진 자로서의 아()이것은 나의 것이다.’, ()에서 색()을 관찰하는 것은 이것은 나다.’, ()에서 아()를 관찰하는 것은 이것은 나의 아().’와 동치(同値)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관찰하는 자는 배우지 못한 범부이고, 이렇게 관찰하지 않는 자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라고 경들은 말하는 것입니다.

 

()라는 설정[사견(邪見)] 위에서 세상을 보는 배우지 못한 범부는 이런 세 가지 방법으로 관찰합니다. 그러나 아()라는 설정을 가지지 않은[정견(正見)]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이런 세 가지 방법으로 세상을 관찰하지 않습니다. 여실지견(如實知見)이고 깨달음에 의해 얻어지는 해탈(解脫)된 삶입니다.

 

「불교입문(Ⅱ) 사실」에서는 무아(無我)를 몇 가지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오늘 수업에서 규명한 이런 내용을 더 보충하게 될 것입니다.

Comments

2020.10.30 19:49
[그림] 배우지 못한 범부의 아(我)를 전제한 관찰 ㅡ> 답글 참조
혜덕 2021.01.08 11:38
o 무아상경에서 "아트만"의 특성을 배워알고 갑니다.
 1) 결점(괴로움?)으로 이끌리지 않고,
 2) 의도대로 되는 것
으로 두가지 특성만 나타납니다.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영원불변' 특성은 언급이 없네요.
붓다께서 말씀하신 아트만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몰라 답답했는데 스님 법문에서 해결합니다.
혜덕 2021.01.08 11:47
O 무아상경의 논리 구조 (4단계 구조) - 존재를 대표해 오온(나)을 예로 설명
  I. 오온은 무아다!  무아 선언
  II. 오온은 무상한가 상한가? 무상합니다. (사실 관찰)
 III. 오온은 즐거움인가 괴로움인가? 괴로움입니다. (사실 관찰)
IV.  앞의 아트만의 특성 두 가지(1,2)에 위배되므로, 오온은 무아이다! (반증으로써 결론)

스님, 아직까지 붓다께서 말씀하신 "무상"과 "고"라는 용어를 정확히 잘 모르겠어요.
위의 아트만 특성으로 유추하면, 무상은 '의도대로 되는 것'과 관련이 있어야 정확하게 논리적으로 맞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번역 용어 문제일 수도 있겠구요... 공부를 할수록 궁금증만 늘어 납니다.

무아상경 논리구조상 I. 무아 선언이 없어도, II & III 에 의해 아트만의 특성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오온이 무아임이 증명되네요.
2021.01.08 14:02
네, 법우님. 이 주제는 불교입문(2-사실) 미리보기 수업의 중심 주제입니다. 어제부터 본 주제가 시작되었으니 조금 시간을 가지고 함께 보시지요. 고맙습니다, 법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