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진행중인 법회 > 해피스님의 경전해설2 주제별

해피스님의 경전해설2 주제별

경전해설(201105) - 배우지 못한 범부 1. 아(我)[마음은 병들지 말 것 & 집착과 동요의 자리](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

경전해설(201105) - 배우지 못한 범부 1. ()[마음은 병들지 말 것 & 집착과 동요의 자리](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8_OZwkWMro

 

1. [()가 전제된 관찰]4번째 용례는 (SN 22.1-나꿀라삐따 경)(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3_01&wr_id=53&sca=nakulapitu)인데, 몸은 병들어도 심()은 병들지 말 것을 아()가 전제된 관찰의 여부로써 설명합니다. ― 「어떻게 몸도 병들고 심()도 병듭니까? 어떻게 몸은 병들어도 심()은 병들지 않습니까?

 

그런데 이 경은 한 가지 특징을 보여줍니다. 지난 수업에서 보았지만, ()가 전제된 관찰은 색()을 가진 자로서의 아()를 관찰하거나, ()에서 색()을 관찰하거나, ()에서 아()를 관찰하는 세 가지 방식이 그대로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은 나다. 이것은 나의 아().’라는 세 가지와 동치되어 무아(無我)를 설명합니다. 그런데 이 경은 아()를 관찰하는 세 가지 방식 위에서 나는 색()이다. ()은 나의 것이다.’라는 두 가지만을 대비하면서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의 생김과 연결합니다.

 

여기에서 나의 아().’라는 관찰은 생()-노사(老死)의 윤회하는 근본 괴로움과 대응하고, ‘나는 색()이다. ()은 나의 것이다.’라는 관찰은 윤회하는 삶 위에 수반되는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의 괴로움과 대응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답글 그림 참조

 

2. [()가 전제된 관찰]3번째와 5번째 용례는 (MN 138-대강의 분석 경)(SN 22.7-집착에 따르는 동요 경)입니다. 이 경들은 집착[()-upādāna-연기의 9번 지분]과 동요(paritassanā)에 대한 연결된 상황을 설명합니다.

 

(MN 138-대강의 분석 경)은 집착하지 않으면서 동요함과 집착하지 않으면서 동요하지 않음을 설명하고, (SN 22.7-집착에 따르는 동요 경)집착하여 동요함과 집착하지 않으면서 동요하지 않음을 설명합니다.

 

 

집착

동요

(MN 138-대강의 분석 경)

×

×

×

(SN 22.7-집착에 따르는 동요 경)

×

×

 

이때, 두 경을 함께 정리하면 「①집착하여 동요함 → ②집착하지 않으면서 동요함 → ③집착하지 않으면서 동요하지 않음3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집착은 표면의 법이고, 동요는 내면의 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omments

아빈뇨 2020.12.04 15:23
감사합니다.
대원행 04.14 21:08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4_08&wr_id=6 참조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38. 개요의 분석 경[깨달음의 길의 개요 = 수행지도(修行地圖)의 골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