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진행중인 법회 > 합송경

합송경

지혜의 토대 경1(S12:33)[ñāṇavatthusuttaṃ] & 지혜의 토대경2(S12:34)[dutiyañāṇavatth…

0 458 2017.08.23 21:23
지혜의 토대 경1(S12:33)[ñāṇavatthusuttaṃ]
 
sāvatthiyaṃ ... pe ... “catucattārīsaṃ vo, bhikkhave, ñāṇavatthūni desessāmi,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사왓티에서.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44가지 앎의 토대를 설하겠다. 그것을 잘 듣고 잘 사유하라. 나는 설하겠다.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ㅡ
 
“katamāni, bhikkhave, catucattārīsaṃ ñāṇavatthūni? jarāmaraṇe ñāṇaṃ, jarāmaraṇasamudaye ñāṇaṃ, jarāmaraṇanirodhe ñāṇaṃ, jarāmaraṇ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jātiyā ñāṇaṃ, jātisamudaye ñāṇaṃ, jātinirodhe ñāṇaṃ, jāti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bhave ñāṇaṃ, bhavasamudaye ñāṇaṃ, bhavanirodhe ñāṇaṃ, bhav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upādāne ñāṇaṃ, upādānasamudaye ñāṇaṃ, upādānanirodhe ñāṇaṃ, upādān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taṇhāya ñāṇaṃ, taṇhāsamudaye ñāṇaṃ, taṇhānirodhe ñāṇaṃ, taṇhā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vedanāya ñāṇaṃ, vedanāsamudaye ñāṇaṃ, vedanānirodhe ñāṇaṃ, vedanā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phasse ñāṇaṃ ... pe ... saḷāyatane ñāṇaṃ... nāmarūpe ñāṇaṃ... viññāṇe ñāṇaṃ... saṅkhāresu ñāṇaṃ, saṅkhārasamudaye ñāṇaṃ, saṅkhāranirodhe ñāṇaṃ, saṅkhār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imāni vuccanti, bhikkhave, catucattārīsaṃ ñāṇavatthūn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44가지 앎의 토대인가? 노사(老死)에 대한 앎, 노사의 일어남에 대한 앎, 노사의 소멸에 대한 앎, 노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생(生)에 대한 앎, 생의 일어남에 대한 앎, 생의 소멸에 대한 앎, 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유(有)에 대한 앎, 유의 일어남에 대한 앎, 유의 소멸에 대한 앎, 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취(取)에 대한 앎, 취의 일어남에 대한 앎, 취의 소멸에 대한 앎, 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애(愛)에 대한 앎, 애의 일어남에 대한 앎, 애의 소멸에 대한 앎, 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수(受)에 대한 앎, 수의 일어남에 대한 앎, 수의 소멸에 대한 앎, 수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촉(觸)에 대한 앎, 촉의 일어남에 대한 앎, 촉의 소멸에 대한 앎, 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육입(六入)에 대한 앎, 육입의 일어남에 대한 앎, 육입의 소멸에 대한 앎, 육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명색(名色)에 대한 앎, 명색의 일어남에 대한 앎, 명색의 소멸에 대한 앎, 명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식(識)에 대한 앎, 식의 일어남에 대한 앎, 식의 소멸에 대한 앎, 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 행에 대한 앎, 행의 일어남에 대한 앎, 행의 소멸에 대한 앎, 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이다.
 
“katamañca, bhikkhave, jarāmaraṇaṃ?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arā jīraṇatā khaṇḍiccaṃ pāliccaṃ valittacatā āyuno saṃhāni  indriyānaṃ paripāko, ayaṃ vuccati jarā.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ā tamhā sattanikāyā cuti cavanatā bhedo antaradhānaṃ maccu maraṇaṃ kālakiriyā khandhānaṃ bhedo kaḷevarassa nikkhepo. idaṃ vuccati maraṇaṃ. iti ayañca jarā, idañca maraṇ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jarāmaraṇaṃ.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노(老)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 가운데서 이런저런 중생들의 늙음, 노쇠함, 부서진 [치아], 희어진 [머리털], 주름진 피부, 수명의 감소, 감각기능[根]의 쇠퇴 – 이를 일러 노(老)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사(死)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종말, 제거됨, 부서짐, 사라짐, 사망, 죽음, 서거, 오온의 부서짐, 시체를 안치함, 생명기능[命根]의 끊어짐 – 이를 일러 죽음이라 한다. 이것이 노(老)고 이것이 사(死)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노사(老死)라 불린다. 
 
“jātisamudayā jarāmaraṇasamudayo; jātinirodhā jarāmaraṇ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jarāmaraṇ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생(生)이 일어나면 노사(老死)가 일어나고, 생(生)이 소멸하면 노사(老死)가 소멸한다. 팔지성도(八支聖道)[팔정도(八正道)]가 노사(老死)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이니 그것은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이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jarāmaraṇ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idamassa dhamme ñāṇaṃ. so iminā dhammena diṭṭhena viditena akālikena pattena pariyogāḷhena atītānāgatena yaṃ neti.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이와 같이 노사(老死)를 꿰뚫어 알고, 노사(老死)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안다. 이것이 법에 대한 앎이다. 그가 보고 알고 시간을 넘어서고 얻고 꿰뚫은 이러한 법으로 과거와 미래로 이끈다. 
 
“ye kho keci atītamaddhānaṃ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jarāmaraṇaṃ abbhaññaṃsu, jarāmaraṇasamudayaṃ abbhaññaṃsu, jarāmaraṇanirodhaṃ abbhaññaṃsu,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abbhaññaṃsu, sabbe te evameva abbhaññaṃsu, seyyathāpāhaṃ etarahi.
 
과거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도 노사(老死)를 실다운 지혜로 알고, 노사(老死)의 일어남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실다운 지혜로 알았던 것은 모두 마치 지금의 내가 실다운 지혜로 아는 것과 같다. 
 
“yepi hi keci anāgatamaddhānaṃ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jarāmaraṇaṃ abhijānissanti, jarāmaraṇasamudayaṃ abhijānissanti, jarāmaraṇanirodhaṃ abhijānissanti,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abhijānissanti, sabbe te evameva abhijānissanti, seyyathāpāhaṃ etarahīti. idamassa anvaye ñāṇaṃ.
 
미래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이 노사(老死)를 실다운 지혜로 알고, 노사(老死)의 일어남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실다운 지혜로 알게 될 것은 모두 마치 지금의 내가 실다운 지혜로 아는 것과 같이 될 것이다. 이것이 수반되는 앎이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assa imāni dve ñāṇāni parisuddhāni honti pariyodātāni — dhamme ñāṇañca anvaye ñāṇañca.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asāvako diṭṭhisampanno itipi, dassanasampanno itipi, āgato imaṃ saddhammaṃ itipi, passati imaṃ saddhammaṃ itipi, sekkhena ñāṇena samannāgato itipi, sekkhāya vijjāya samannāgato itipi, dhammasotaṃ samāpanno itipi, ariyo nibbedhikapañño itipi, amatadvāraṃ āhacca tiṭṭhati itipīti. 
 
   (*) anvaya: course; conformity; tradition. (m.)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에게는 법에 대한 앎과 수반되는 앎이라는 이러한 아주 순일하고 아주 청정한 두 가지 앎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성스러운 제자는 견해를 구족했다고도, 봄을 구족했다고도, 정법에 도달했다고도, 정법을 보았다고도, 유학의 앎을 구족했다고도, 유학의 명(明)를 구족했다고도, 법의 흐름을 얻었다고도, 성스러운 꿰뚫는 지혜라고도 하고, 불사(不死)의 문에 도달하여 머문다고도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jāti ... pe ... katamo ca, bhikkhave, bhavo... katamañca, bhikkhave, upādānaṃ... katamā ca, bhikkhave taṇhā... katamā ca, bhikkhave, vedanā... katamo ca, bhikkhave, phasso... katamañca, bhikkhave, saḷāyatanaṃ... katamañca, bhikkhave, nāmarūpaṃ ... katamañca, bhikkhave, viññāṇaṃ... katame ca, bhikkhave, saṅkhārā? tayome, bhikkhave, saṅkhārā — kāyasaṅkhāro, vacīsaṅkhāro, cittasaṅkhāroti. ime vuccanti, bhikkhave, saṅkhārā.
 
비구들이여, 무엇이 생(生)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유(有)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취(取)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애(愛)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수(受)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촉(觸)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육입(六入)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명색(名色)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식(識)인가? … 비구들이여, 무엇이 생(生)인가? 비구들이여, 세 사지 행(行)이 있으니, 신행(身行), 구행(口行), 심행(心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행(行)이라 불린다.
 
“avijjāsamudayā saṅkhārasamudayo; avijjānirodhā saṅkhār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aṅkhār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무명(無明) 일어나면 행(行)이 일어나고, 무명(無明)이 소멸하면 행(行)이 소멸한다. 팔지성도(八支聖道)[팔정도(八正道)]가 행(行)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이니 그것은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이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evaṃ saṅkhāre pajānāti, evaṃ saṅkhār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saṅkhār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saṅk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idamassa dhamme ñāṇaṃ. so iminā dhammena diṭṭhena viditena akālikena pattena pariyogāḷhena atītānāgatena yaṃ neti.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이와 같이 행(行)을 꿰뚫어 알고, 행(行)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행(行)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행(行)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안다. 이것이 법에 대한 그의 앎이다. 그가 보고 알고 시간을 넘어서고 얻고 꿰뚫은 이러한 법으로 과거와 미래로 이끈다. 
 
“ye kho keci atītamaddhānaṃ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saṅkhāre abbhaññaṃsu, saṅkhārasamudayaṃ abbhaññaṃsu, saṅkhāranirodhaṃ abbhaññaṃsu, saṅk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abbhaññaṃsu, sabbe te evameva abbhaññaṃsu, seyyathāpāhaṃ etarahi.
 
과거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도 행(行)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행(行)의 일어남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행(行)의 소멸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행(行)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실다운 지혜로 알았던 것은 모두 마치 지금의 내가 실다운 지혜로 아는 것과 같다. 
 
“yepi hi keci anāgatamaddhānaṃ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saṅkhāre abhijānissanti, saṅkhārasamudayaṃ abhijānissanti, saṅkhāranirodhaṃ abhijānissanti, saṅk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abhijānissanti, sabbe te evameva abhijānissanti, seyyathāpāhaṃ etarahi. idamassa anvaye ñāṇaṃ.
 
미래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이 행(行)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행(行)의 일어남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행(行)의 소멸을 실다운 지혜로 알고, 행(行)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실다운 지혜로 알게 될 것은 모두 마치 지금의 내가 실다운 지혜로 아는 것과 같이 될 것이다. 이것이 수반되는 앎이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assa imāni dve ñāṇāni parisuddhāni honti pariyodātāni — dhamme ñāṇañca anvaye ñāṇañca.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asāvako diṭṭhisampanno itipi, dassanasampanno itipi, āgato imaṃ saddhammaṃ itipi, passati imaṃ saddhammaṃ itipi, sekkhena ñāṇena samannāgato itipi, sekkhāya vijjāya samannāgato itipi, dhammasotaṃ samāpanno itipi, ariyo nibbedhikapañño itipi, amatadvāraṃ āhacca tiṭṭhati itipī”ti.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에게는 법에 대한 앎과 수반되는 앎이라는 이러한 아주 순일하고 아주 청정한 두 가지 앎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성스러운 제자는 견해를 구족했다고도, 봄을 구족했다고도, 정법에 도달했다고도, 정법을 보았다고도, 유학의 앎을 구족했다고도, 유학의 명(明)를 구족했다고도, 법의 흐름을 얻었다고도, 성스러운 꿰뚫는 지혜라고도 하고, 불사(不死)의 문에 도달하여 머문다고도 불린다.”

지혜의 토대경2(S12:34)[dutiyañāṇavatthusuttaṃ ]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sattasattari vo, bhikkhave, ñāṇavatthūni desessāmi.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사왓티에서.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77가지 앎의 토대를 설하겠다. 그것을 잘 듣고 잘 사유하라. 나는 설하겠다.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ㅡ
 
“katamāni, bhikkhave, sattasattari ñāṇavatthūni? jātipaccayā jarāmaraṇanti ñāṇaṃ; asati jātiyā natthi jarāmaraṇanti ñāṇaṃ; atītampi addhānaṃ jātipaccayā jarāmaraṇanti ñāṇaṃ, asati jātiyā natthi jarāmaraṇanti ñāṇaṃ; anāgatampi addhānaṃ jātipaccayā jarāmaraṇanti ñāṇaṃ, asati jātiyā natthi jarāmaraṇanti ñāṇaṃ; yampissa taṃ dhammaṭṭhitiñāṇaṃ tampi khayadhammaṃ vayadhammaṃ virāgadhammaṃ nirodhadhammanti ñāṇaṃ.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77가지 앎의 토대인가?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가 있다는 앎, 생이 없으면 노사가 없다는 앎, 과거에도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가 있다는 앎, 생이 없으면 노사가 없다는 앎, 미래에도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가 있다는 앎, 생이 없으면 노사가 없다는 앎, 그 법(法)의 유지에 대한 앎도 부서지는 법이고 사라지는 법이고 빛바래는 법이고 소멸하는 법이라는 앎이다.
 
“bhavapaccayā jātīti ñāṇaṃ ... pe ... upādānapaccayā bhavoti ñāṇaṃ... taṇhāpaccayā upādānanti ñāṇaṃ... vedanāpaccayā taṇhāti ñāṇaṃ... phassapaccayā vedanāti ñāṇaṃ... saḷāyatanapaccayā phassoti ñāṇaṃ... nāmarūpapaccayā saḷāyatananti ñāṇaṃ... viññāṇapaccayā nāmarūpanti ñāṇaṃ... saṅkhārapaccayā viññāṇanti ñāṇaṃ; avijjāpaccayā saṅkhārāti ñāṇaṃ, asati avijjāya natthi saṅkhārāti ñāṇaṃ; atītampi addhānaṃ avijjāpaccayā saṅkhārāti ñāṇaṃ, asati avijjāya natthi saṅkhārāti ñāṇaṃ; anāgatampi addhānaṃ avijjāpaccayā saṅkhārāti ñāṇaṃ, asati avijjāya natthi saṅkhārāti ñāṇaṃ; yampissa taṃ dhammaṭṭhitiñāṇaṃ tampi khayadhammaṃ vayadhammaṃ virāgadhammaṃ nirodhadhammanti ñāṇaṃ. imāni vuccanti, bhikkhave, sattasattari ñāṇavatthūnī”ti.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있다는 앎 …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있다는 앎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있다는 앎 … 수(受))를 조건으로 애(愛)가 있다는 앎 … 촉(觸)을 조건으로 수(受)가 있다는 앎 … 육입(六入)을 조건으로 촉(觸)이 있다는 앎 … 명색(名色)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있다는 앎 … 식(識)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있다는 앎 … 행(行)을 조건으로 식(識)이 있다는 앎 …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이 있다는 앎, 무명(無明)이 없으면 행(行) 없다는 앎, 과거에도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이 있다는 앎, 무명(無明)이 없으면 행(行) 없다는 앎, 미래에도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이 있다는 앎, 무명(無明)이 없으면 행(行) 없다는 앎, 그 법(法)의 유지에 대한 앎도 부서지는 법이고 사라지는 법이고 빛바래는 법이고 소멸하는 법이라는 앎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77가지 앎의 토대라고 불린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