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진행중인 법회 > 합송경

합송경

ariyavaṃsasuttaṃ (AN 4.28)[성스러운 계보 경]

ariyavaṃsasuttaṃ (AN 4.28)[성스러운 계보 경]


“cattārome, bhikkhave, ariyavaṃsā aggaññā rattaññā vaṃsaññā porāṇā asaṃkiṇṇā asaṃkiṇṇapubbā, na saṃkīyanti na saṃkīyissanti, appaṭikuṭṭhā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katame cattāro? 


비구들이여, 네 가지 성스러운 계보가 있다. 그것은 최초의 것으로 알려졌고 전승된 것으로 알려졌고 계보(系譜)라고 알려졌고 오래된 것이고 순수한 것이고 이전에도 순수했고 의심받지 않고 의심받지 않을 것이고 지혜로운 사문들과 바라문들에 의해 비난받지 않는 것이다. 무엇이 넷인가?


idha, bhikkhave, bhikkhu santuṭṭho hoti itarītarena cīvarena, itarītaracīvarasantuṭṭhiyā ca vaṇṇavādī, na ca cīvarahetu anesanaṃ appatirūpaṃ āpajjati, aladdhā ca cīvaraṃ na paritassati, laddhā ca cīvaraṃ agadhito amucchito anajjhosanno ādīnavadassāvī nissaraṇapañño paribhuñjati; tāya ca pana itarītaracīvarasantuṭṭhiyā nevattānukkaṃseti, no paraṃ vambheti. yo hi tattha dakkho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ṃse ṭhito.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어떤 옷으로도 만족하고 어떤 옷으로도 만족하는 것을 칭찬한다. 그는 옷을 원인으로 하여 삿된 방법과 부적당함에 의존하지 않는다. 옷을 얻지 못하더라도 안달복달하지 않고 옷을 얻더라도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을 보고 벗어남을 통찰하면서 사용한다. 그리고 어떤 옷으로도 만족한다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아 정지(正知)하면서 알아차리는 이런 자에게, 비구들이여, 이 비구는 오래되었고 최초의 것으로 알려진 성스러운 계보에 서 있다고 한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 santuṭṭho hoti itarītarena piṇḍapātena, itarītarapiṇḍapātasantuṭṭhiyā ca vaṇṇavādī, na ca piṇḍapātahetu anesanaṃ appatirūpaṃ āpajjati, aladdhā ca piṇḍapātaṃ na paritassati, laddhā ca piṇḍapātaṃ agadhito amucchito anajjhosanno ādīnavadassāvī nissaraṇapañño paribhuñjati; tāya ca pana itarītarapiṇḍapātasantuṭṭhiyā nevattānukkaṃseti, no paraṃ vambheti. yo hi tattha dakkho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ṃse ṭhito.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어떤 탁발음식으로도 만족하고 어떤 탁발음식으로도 만족하는 것을 칭찬한다. 그는 탁발음식을 원인으로 하여 삿된 방법과 부적당함에 의존하지 않는다. 탁발음식을 얻지 못하더라도 안달복달하지 않고 탁발음식을 얻더라도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을 보고 벗어남을 통찰하면서 사용한다. 그리고 어떤 탁발음식으로도 만족한다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아 정지(正知)하면서 알아차리는 이런 자에게, 비구들이여, 이 비구는 오래되었고 최초의 것으로 알려진 성스러운 계보에 서 있다고 한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 santuṭṭho hoti itarītarena senāsanena, itarītarasenāsanasantuṭṭhiyā ca vaṇṇavādī, na ca senāsanahetu anesanaṃ appatirūpaṃ āpajjati, aladdhā ca senāsanaṃ na paritassati, laddhā ca senāsanaṃ agadhito amucchito anajjhosanno ādīnavadassāvī nissaraṇapañño paribhuñjati; tāya ca pana itarītarasenāsanasantuṭṭhiyā nevattānukkaṃseti, no paraṃ vambheti. yo hi tattha dakkho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ṃse ṭhito.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어떤 거처로도 만족하고 어떤 거처로도 만족하는 것을 칭찬한다. 그는 거처를 원인으로 하여 삿된 방법과 부적당함에 의존하지 않는다. 거처를 얻지 못하더라도 안달복달하지 않고 거처를 얻더라도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을 보고 벗어남을 통찰하면서 사용한다. 그리고 어떤 거처로도 만족한다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아 정지(正知)하면서 알아차리는 이런 자에게, 비구들이여, 이 비구는 오래되었고 최초의 것으로 알려진 성스러운 계보에 서 있다고 한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 bhāvanārāmo hoti bhāvanārato, pahānārāmo hoti pahānarato; tāya ca pana bhāvanārāmatāya bhāvanāratiyā pahānārāmatāya pahānaratiyā nevattānukkaṃseti, no paraṃ vambheti. yo hi tattha dakkho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ṃse ṭhito.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수행을 즐기고 수행을 기뻐한다. 버림을 즐기고 버림을 기뻐한다. 그가 수행을 즐기고 수행을 기뻐허며 버림을 즐기고 버림을 기뻐한다고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아 정지(正知)하면서 알아차리는 이런 자에게, 비구들이여, 이 비구는 오래되었고 최초의 것으로 알려진 성스러운 계보에 서 있다고 한다.


ime kho, bhikkhave, cattāro ariyavaṃsā aggaññā rattaññā vaṃsaññā porāṇā asaṃkiṇṇā asaṃkiṇṇapubbā, na saṃkīyanti na saṃkīyissanti, appaṭikuṭṭhā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비구들이여, 이것이 네 가지 성스러운 계보이니, 이것은 최초의 것으로 알려졌고 전승된 것으로 알려졌고 계보(系譜)라고 알려졌고 오래된 것이고 순수한 것이고 이전에도 순수했고 의심받지 않고 의심받지 않을 것이고 지혜로운 사문들과 바라문들에 의해 비난받지 않는 것이다.


“imehi ca pana, bhikkhave, catūhi ariyavaṃsehi samannāgato bhikkhu puratthimāya cepi disāya viharati sveva aratiṃ sahati, na taṃ arati sahati; pacchimāya cepi disāya viharati sveva aratiṃ sahati, na taṃ arati sahati; uttarāya cepi disāya viharati sveva aratiṃ sahati, na taṃ arati sahati; dakkhiṇāya cepi disāya viharati sveva aratiṃ sahati, na taṃ arati sahati. taṃ kissa hetu? aratiratisaho hi, bhikkhave, dhīro”ti.


비구들이여, 그런데 이러한 네 가지 성자들의 계보를 구족한 비구가 만약 동쪽에서 머물더라도 그는 불쾌를 극복하고 머문다. 불쾌를 극복하지 못한 채 머물지 않는다. 만약 서쪽에서 머물더라도 그는 불쾌를 극복하고 머문다. 불쾌를 극복하지 못한 채 머물지 않는다. 만약 북쪽에서 머물더라도 그는 불쾌를 극복하고 머문다. 불쾌를 극복하지 못한 채 머물지 않는다. 만약 남쪽에서 머물더라도 그는 불쾌를 극복하고 머문다. 불쾌를 극복하지 못한 채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참으로 그는 불쾌와 쾌의 극복에 확고하기 때문이다.


“nārati sahati dhīraṃ, nārati dhīraṃ sahati.
dhīrova aratiṃ sahati, dhīro hi aratissaho.
“sabbakammavihāyīnaṃ, panuṇṇaṃ ko nivāraye.
nekkhaṃ jambonadasseva, ko taṃ ninditumarahati.
devāpi naṃ pasaṃsanti, brahmunāpi pasaṃsito”ti.



불쾌가 확고한 자를 극복하지 못하니 불쾌가 확고한 님을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확고한 자는 불쾌를 극곱하니 확고함이 참으로 불쾌를 극복하기 때문이다.

모든 업을 끊어버린 자, 모든 욕망을 제거한 자를 제지할 수 있으랴.

잠부 강의 황금과 같은 님을 누가 비난할 수 있으리.

하늘 사람들도 찬탄하고 범천들조차 찬탄하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