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진행중인 법회 > 합송경

합송경

사여의족(四如意足)-사신족(四神足)-성취수단의 정의 ㅡ 용의(用意)의 삼매 경(S51:13)

0 906 2017.08.23 20:13

 사여의족(四如意足)-사신족(四神足)-성취수단의 정의

chandasamādhisuttaṃ (SN 51.13)[용의(用意)의 삼매 경(S51:13)]


“chandaṃ ce, bhikkhave, bhikkhu nissāya labhati samādhiṃ, labhati cittassa ekaggataṃ — ayaṃ vuccati chandasamādhi. so anuppannān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anuppād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an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uppād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ṭhitiyā asammosāya bhi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ime vuccanti ‘padhānasaṅkhārā’ti. iti ayañca chando, ayañca chandasamādhi, ime ca padhānasaṅkhārā — ayaṃ vuccati, bhikkhave, ‘chandasamādhip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o iddhipādo’”.

비구들이여, 비구가 chanda의 도움으로 삼매를 얻고 심일경성(心一境性)을 얻으면 이것을 chandasamādhi라고 부른다. 그는 일어나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버리기 위하여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나지 않은 선법(善法)들을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선법(善法)들을 유지하고 혼란 없게 하고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닦아서 완성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것이 padhānasaṅkhārā라고 불린다. 이렇게 이것 chanda와 이것 chandasamādhi와 이것 padhānasaṅkhārā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chandasamādhip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o iddhipādo’라고 불린다.

• chanda – 용의(用意)
• chandasamādhi – 용의(用意)의 삼매
• padhānasaṅkhārā - 정근(精勤)의 행(行)
• chandasamādhip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o iddhipādo – 용의(用意)의 삼매와 정근(精勤)의 행(行)을 갖춘 성취수단[여의족(如意足)-신족(神足)]

• iddhipāda: basis of psychic power. (m.)
• iddhi: prosperity; potency; psychic power. (f.)
• pāda: the foot; leg; a base; one-fourth of any measure or of a stanza. (m.; nt.)

“vīriyaṃ ce, bhikkhave, bhikkhu nissāya labhati samādhiṃ, labhati cittassa ekaggataṃ — ayaṃ vuccati ‘vīriyasamādhi’. so anuppannānaṃ ... pe ... 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ṭhitiyā asammosāya bhi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ime vuccanti ‘padhānasaṅkhārā’ti. iti idañca vīriyaṃ, ayañca vīriyasamādhi, ime ca padhānasaṅkhārā — ayaṃ vuccati, bhikkhave, ‘vīriyasamādhip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o iddhipādo’”.

비구들이여, 비구가 노력의 도움으로 삼매를 얻고 심일경성(心一境性)을 얻으면 이것을 노력의 삼매라고 부른다. 그는 일어나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버리기 위하여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나지 않은 선법(善法)들을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선법(善法)들을 유지하고 혼란 없게 하고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닦아서 완성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것이 정근(精勤)의 행(行)라고 불린다. 이렇게 이것 노력과 이것 노력의 삼매와 이것 정근(精勤)의 행(行)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노력의 삼매와 정근(精勤)의 행(行)을 갖춘 상취수단[여의족(如意足)-신족(神足)]이라고 불린다.

“cittaṃ ce, bhikkhave, bhikkhu nissāya labhati samādhiṃ, labhati cittassa ekaggataṃ — ayaṃ vuccati ‘cittasamādhi’. so anuppannānaṃ pāpakānaṃ ... pe ... 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ṭhitiyā asammosāya bhi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ime vuccanti ‘padhānasaṅkhārā’ti. iti idañca cittaṃ, ayañca cittasamādhi, ime ca padhānasaṅkhārā — ayaṃ vuccati, bhikkhave, ‘cittasamādhip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o iddhipādo’”.

비구들이여, 비구가 심(心)의 도움으로 삼매를 얻고 심일경성(心一境性)을 얻으면 이것을 심(心)의 삼매[심삼매(心三昧)]라고 부른다. 그는 일어나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버리기 위하여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나지 않은 선법(善法)들을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선법(善法)들을 유지하고 혼란 없게 하고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닦아서 완성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것이 정근(精勤)의 행(行)라고 불린다. 이렇게 이것 심(心)과 이것 심(心)의 삼매와 이것 정근(精勤)의 행(行)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심(心)의 삼매와 정근(精勤)의 행(行)을 갖춘 상취수단[여의족(如意足)-신족(神足)]이라고 불린다.

“vīmaṃsaṃ ce, bhikkhave, bhikkhu nissāya labhati samādhiṃ, labhati cittassa ekaggataṃ — ayaṃ vuccati ‘vīmaṃsāsamādhi’. so anuppannān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anuppād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 pe ... 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ṭhitiyā asammosāya bhi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ime vuccanti ‘padhānasaṅkhārā’ti. iti ayañca vīmaṃsā, ayañca vīmaṃsāsamādhi, ime ca padhānasaṅkhārā — ayaṃ vuccati, bhikkhave, ‘vīmaṃsāsamādhip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o iddhipādo’”ti.

• vīmaṃsā: consideration; experiment; investigation. (f.)

비구들이여, 비구가 숙고-조사-검증-관찰의 도움으로 삼매를 얻고 심일경성(心一境性)을 얻으면 이것을 숙고-조사-검증-관찰의 삼매라고 부른다. 그는 일어나지 않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버리기 위하여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나지 않은 선법(善法)들을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일어난 선법(善法)들을 유지하고 혼란 없게 하고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닦아서 완성하기 위해서 chanda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노력하고 시도하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것이 정근(精勤)의 행(行)라고 불린다. 이렇게 이것 숙고-조사-검증-관찰과 이것 숙고-조사-검증-관찰의 삼매와 이것 정근(精勤)의 행(行)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숙고-조사-검증-관찰의 삼매와 정근(精勤)의 행(行)을 갖춘 상취수단[여의족(如意足)-신족(神足)]이라고 불린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