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진행중인 법회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cetosamatha의 용례

cetosamatha의 용례

한 번의 게송을 제외하면 모든 용례가 ajjhattaṃ cetosamatha로 나타남


모든 용례가 ①ajjhattaṃ cetosamathamanuyutto(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는 자), ②a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다)/nā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지 않다), ③lābhī ajjhattaṃ cetosamathassa(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얻은 자)/na lābhī ajjhattaṃ cetosamathassa(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얻지 못한 자)를 주제로 나타남.


또한, ajjhattaṃ cetosamatha는 「ajjhattameva cittaṃ saṇṭhapeti sannisādeti ekodiṃ karoti samādahati(안으로 심(心)을 진정시키고 가라앉게 하고 집중되게 하고 삼매에 든다)」로 의미가 연결되는데, dvedhāvitakkasuttaṃ (MN 19-두 부분의 떠오름 경)/mahāsaccakasuttaṃ (MN 36-삿짜까 큰 경)/mahāsuññatasuttaṃ (MN 122-공(空)의 큰 경)/tatiyasamādhisuttaṃ (AN 4.94-삼매 경3)입니다. 


또는 「ajjhattameva cittaṃ santiṭṭhati sannisīdati ekodi hoti samādhiyati(심(心)은 안으로 진정되고 가라앉고 집중되고 삼매에 들어진다)」로도 나타나는데, vitakkasaṇṭhānasuttaṃ (MN 20-떠오름의 구성 경)/kāyagatāsatisuttaṃ ((MN 119-신념처경)/upakkilesasuttaṃ (MN 128-오염원 경)/vīṇopamasuttaṃ (SN 35.199-류트 비유 경)/paṃsudhovakasuttaṃ (AN 3.102-흙을 씻는 사람 경)/yuganaddhasuttaṃ (AN 4.170-쌍 경)입니다.


• santiṭṭhati → Caus. saṇṭhapeti

• sannisīdati → Caus. sannisādeti

• samādhiyati → Passive of samādahati


1. ākaṅkheyyasuttaṃ (MN 6-원한다면 경)/ākaṅkhasuttaṃ (AN 10.71-원함 경) ― 「sīlesvevassa paripūrakārī ajjhattaṃ cetosamathamanuyutto anirākatajjhāno vipassanāya samannāgato brūhetā suññāgārānaṃ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고, 선(禪)을 멀리하지 말고, 위빳사나를 닦으면서 더욱 빈집에 머물러야 한다.」


2. mahāgosiṅgasuttaṃ (MN 32-고싱가 큰 경) ― “어떤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출 수 있습니까?”라는 사리뿟따 존자의 질문에 대한 라와따 존자의 대답 → 「“idhāvuso sāriputta, bhikkhu paṭisallānārāmo hoti paṭisallānarato, ajjhattaṃ cetosamathamanuyutto anirākatajjhāno, vipassanāya samannāgato, brūhetā suññāgārānaṃ. evarūpena kho, āvuso sāriputta, bhikkhunā gosiṅgasālavanaṃ sobheyyā”ti. 여기, 도반 사리뿟따여, 비구는 홀로 머묾을 좋아하고, 홀로 머묾을 기뻐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고, 선(禪)을 멀리하지 말고, 위빳사나를 닦으면서 더욱 빈집에 머뭅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출 수 있습니다.“」


• anirākatajjhāno와 vipassanāya samannāgato와 brūhetā suññāgārānaṃ은 모두 앞의 두 용례 세 개의 경 외에는 다른 용례 없음


3. sīlasuttaṃ (AN 4.12) ― 「samavekkhitā ca dhammānaṃ, khandhānaṃ udayabbayaṃ. “cetosamathasāmīciṃ, sikkhamānaṃ sadā sataṃ. satataṃ pahitattoti, āhu bhikkhuṃ tathāvidhan”ti. 법들의 무더기의 생김과 사라짐을 숙고하고, 항상 사띠를 가지고 바르게 심(心)의 사마타를 수행하는 자, 그러한 비구를 언제나 단호한 의지를 가진 자라고 말한다.」


4. paṭhamasamādhisuttaṃ (AN 4.92)/dutiyasamādhisuttaṃ (AN 4.93)/tatiyasamādhisuttaṃ (AN 4.94) ― lābhī ajjhattaṃ cetosamathassa(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얻은 자)/na lābhī ajjhattaṃ cetosamathassa(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얻지 못한 자) ― 「“cattārome, bhikkhave, puggalā santo saṃvijjamānā lokasmiṃ.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ekacco puggalo lābhī hoti ajjhattaṃ cetosamathassa, na lābhī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a. idha pana, bhikkhave, ekacco puggalo lābhī hoti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a, na lābhī ajjhattaṃ cetosamathassa. idha pana, bhikkhave, ekacco puggalo na ceva lābhī hoti ajjhattaṃ cetosamathassa na ca lābhī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a. idha pana, bhikkhave, ekacco puggalo lābhī ceva hoti ajjhattaṃ cetosamathassa lābhī ca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a. ime kho, bhikkhave, cattāro puggalā santo saṃvijjamānā lokasmin”ti. 비구들이여, 세상에는 이런 네 가지 사람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는 얻었지만 높은 지혜의 법의 위빳사나는 얻지 못한 자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높은 지혜의 법의 위빳사나는 얻었지만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는 얻지 못한 자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도 얻지 못하고 높은 지혜의 법의 위빳사나도 얻지 못한 자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도 얻었고 높은 지혜의 법의 위빳사나도 얻은 자이다. 비구들이여, 세상에는 이런 네 가지 사람이 있다.」


「“tatra, bhikkhave, yvāyaṃ puggalo lābhī ceva hoti ajjhattaṃ cetosamathassa lābhī ca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a, tena, bhikkhave, puggalena tesuyeva kusalesu dhammesu patiṭṭhāya uttari āsavānaṃ khayāya yogo karaṇīyo. ime kho, bhikkhave, cattāro puggalā santo saṃvijjamānā lokasmin”ti. 비구들이여, 그 중에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도 얻었고 높은 지혜의 법의 위빳사나도 얻은 사람은, 비구들이여, 그 법들에서 확고히 선 후 더 나아가 번뇌들을 부수기 위한 수행을 행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세상에는 이런 네 가지 사람이 있다.」


• 심(心)의 사마타 ― 「‘kathaṃ nu kho, āvuso, cittaṃ saṇṭhapetabbaṃ? kathaṃ cittaṃ sannisādetabbaṃ? kathaṃ cittaṃ ekodi kātabbaṃ? kathaṃ cittaṃ samādahātabban’ti? 도반이여, 참으로 심(心)을 어떻게 진정해야 합니까? 심(心)을 어떻게 가라앉혀야 합니까? 심(心)을 어떻게 집중해야 합니까? 심(心)을 어떻게 삼매에 들게 해야 합니까?」


• 높은 지혜의 법의 위빳사나 ― 「‘kathaṃ nu kho, āvuso, saṅkhārā daṭṭhabbā? kathaṃ saṅkhārā sammasitabbā? kathaṃ saṅkhārā vipassitabbā’ ti? 도반이여, 참으로 행(行)들을 어떻게 보아야 합니까? 행(行)들을 어떻게 철저히 알아야 합니까? 행(行)들을 어떻게 꿰뚫어 보아야 합니까?」


5. paṭhamadhammavihārīsuttaṃ (AN 5.73-법에 머무는 자 경1) ― 「“idha, bhikkhu, bhikkhu dhammaṃ pariyāpuṇāti — suttaṃ, geyyaṃ, veyyākaraṇaṃ, gāthaṃ, udānaṃ, itivuttakaṃ, jātakaṃ, abbhutadhammaṃ, vedallaṃ. so tāya dhammapariyattiyā na divasaṃ atināmeti, nāpi riñcati paṭisallānaṃ, a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evaṃ kho, bhikkhu, bhikkhu dhammavihārī hoti. 비구여, 여기 비구는 경(經), 응송(應頌), 상세한 설명[수기(授記)], 게송(偈頌), 감흥어(感興語), 여시어(如是語), 본생담(本生譚), 미증유법(未曾有法), 문답(問答)[방등(方等)]의 법을 철저히 배운다. 그는 그 법의 숙달을 위해 낮시간을 보내지 않고, 홀로 머묾을 도외시 하지 않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한다. 비구여, 이렇게 비구는 법에 머무는 자가 된다.


6. dutiyasekhasuttaṃ (AN 5.90-유학(有學) 경2) ― 「riñcati paṭisallānaṃ, nā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홀로 머묾을 도외시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지 않는다.(유학(有學)인 비구를 쇠퇴로 이끄는 법) na riñcati paṭisallānaṃ, a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홀로 머묾을 도외시하지 않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한다.(유학(有學)인 비구를 쇠퇴로 이끌지 않는 법)」


7. nakulapitusuttaṃ (AN 6.16-나꿀라삐따의 경) ― 「“siyā kho pana te, gahapati, evamassa — ‘na nakulamātā gahapatānī lābhinī ajjhattaṃ cetosamathassā’ti. na kho panetaṃ, gahapati, evaṃ daṭṭhabbaṃ. yāvatā kho, gahapati, tassa bhagavato sāvikā gihī odātavasanā lābhiniyo ajjhattaṃ cetosamathassa, ahaṃ tāsaṃ aññatarā. 장자여, 그대는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ㅡ ‘나의 아내 나꿀라마따는 안으로 심(心)의 사마타를 얻지 못할 것이다.’라고. 그러나 장자여, 그것은 그렇게 보지 않아야 합니다. 장자여, 그분 세존에게 안으로 심(心)의 사마타를 얻은 흰옷을 입은 재가의 여제자가 있는 한 나는 그중의 한 사람입니다.」


8. samathasuttaṃ (AN 10.54-사마타 경)[자기의 심(心)의 길에 대한 능숙] ― 「evamevaṃ kho, bhikkhave, bhikkhuno paccavekkhaṇā bahukārā hoti kusalesu dhammesu — ‘lābhī nu khomhi ajjhattaṃ cetosamathassa, na nu khomhi lābhī ajjhattaṃ cetosamathassa, lābhī nu khomhi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a, na nu khomhi lābhī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ā’ti. 이처럼, 비구들이여, 비구는 선법(善法)들에 대한 반조(反照)[돌이켜 살펴봄]을 많이 행한다. ㅡ ‘나는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얻었는가, 나는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얻지 못했는가, 나는 높은 지혜의 법(法)의 위빳사나를 얻었는가, 나는 높은 지혜의 법(法)의 위빳사나를 얻지 못했는가?’라고. … “sace pana, bhikkhave,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lābhīmhi ajjhattaṃ cetosamathassa, lābhī adhipaññādhammavipassanāyā’ti, tena, bhikkhave, bhikkhunā tesuyeva kusalesu dhammesu patiṭṭhāya uttari āsavānaṃ khayāya yogo karaṇīyo. 만약, 비구들이여, 반조하는 비구가 ‘나는 높은 지혜의 법의 위빳사나는 얻었고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도 얻었다.’라고 알면, 비구들이여, 그 비구는 그 선법(善法)들에 확고히 선 후 더 나아가 번뇌들을 부수기 위한 수행을 행해야 한다.」


9. parihānasuttaṃ (AN 10.55-쇠퇴 경) ―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sabbepime kusale dhamme attani samanupassati, tenāvuso, bhikkhunā sabbesveva imesu kusalesu dhammesu patiṭṭhāya uttari āsavānaṃ khayāya yogo karaṇīyo”ti. 도반들이여, 만약 반조하는 비구가 이런 선법(善法)들 모두를 자신에게서 보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이런 선법들 모두에 확고히 선 뒤 더 나아가 번뇌들의 부서짐을 위해 수행해야 합니다.」

Comments

아빈뇨 2020.12.08 13:05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2.04.30 21:22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3&wr_id=30&page=3 참조 (心의 사마타(cetosamat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