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주제의 확장 > 맛지마 니까야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 「paccekabuddha 벽지불(辟支佛)의 용례」

주제의 확장 ― 「paccekabuddha 벽지불(辟支佛)의 용례

 

부처 즉 깨달은 자는 두 부류가 있는데, 여래-아라한-정등각과 벽지불입니다. 부처는 스승 없이 깨달은 아라한을 말하는데, 여래-아라한-정등각은 깨달음 이후 세상에 법을 설한 부처이고, 벽지불은 법을 설하지 않은 부처입니다.

 

세상에는 탑을 세울만한 네 부류의 사람이 있는데, 여래-아라한-정등각과 벽지불 그리고 여래의 제자와 전륜성왕입니다. 이때, 벽지불은 아라한과 여래-아라한-정등각의 중간 위치에 자리하는데, 공양받을만한 자 즉 복전(福田)에 속합니다.

 

벽지불은 공부 기준 안에서는 5개의 경에서 발견되는데, 쿳다까 니까야에는 51회 나타납니다. 후대의 교재들에서 그 비중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MN 116-이시길리 경)

 

2. puggalavaggo(AN 2.53-64 - 사람 품)

 

“dveme, bhikkhave, buddhā. katame dve? tathāgato ca arahaṃ sammāsambuddho, paccekabuddho ca. ime kho, bhikkhave, dve buddhā”ti.

 

비구들이여, 이런 두 가지 부처가 있다. 어떤 두 가지인가? 여래-아라한-정등각과 벽지불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두 가지 부처가 있다.

 

3. thūpārahasuttaṃ (AN 4.247-탑을 세울만함 경)

 

“cattārome, bhikkhave, thūpārahā. katame cattāro? tathāgato arahaṃ sammāsambuddho thūpāraho, paccekabuddho thūpāraho, tathāgatasāvako thūpāraho, rājā cakkavattī thūpāraho ime kho, bhikkhave, cattāro thūpārahā”ti.

 

4. velāmasuttaṃ (AN 9.20-웰라마 경)

 

“yañca, gahapati, velāmo brāhmaṇo dānaṃ adāsi mahādānaṃ, yo cekaṃ diṭṭhisampannaṃ bhojeyya... yo ca sataṃ diṭṭhisampannānaṃ bhojeyya, yo cekaṃ sakadāgāmiṃ bhojeyya... yo ca sataṃ sakadāgāmīnaṃ bhojeyya, yo cekaṃ anāgāmiṃ bhojeyya... yo ca sataṃ anāgāmīnaṃ bhojeyya, yo cekaṃ arahantaṃ bhojeyya... yo ca sataṃ arahantānaṃ bhojeyya, yo cekaṃ paccekabuddhaṃ bhojeyya... yo ca sataṃ paccekabuddhānaṃ bhojeyya, yo ca tathāgataṃ arahantaṃ sammāsambuddhaṃ bhojeyya... yo ca buddhappamukhaṃ bhikkhusaṅghaṃ bhojeyya, yo ca cātuddisaṃ saṅghaṃ uddissa vihāraṃ kārāpeyya... yo ca pasannacitto buddhañca dhammañca saṅghañca saraṇaṃ gaccheyya, yo ca pasannacitto sikkhāpadāni samādiyeyya pāṇātipātā veramaṇiṃ... surāmerayamajjapamādaṭṭhānā veramaṇiṃ, yo ca antamaso gandhohanamattampi mettacittaṃ bhāveyya, yo ca accharāsaṅghātamattampi aniccasaññaṃ bhāveyya, idaṃ tato mahapphalataran”ti.

 

그리고 장자여, 웰라마 장자가 한 그 큰 보시를 한 명의 견해를 갖춘 자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백 명의 견해를 갖춘 자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한 명의 일래자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백 명의 일래자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한 명의 불환자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백 명의 불환자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한 명의 아라한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백 명의 아라한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한 명의 벽지불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백 명의 벽지불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여래-아라한-정등각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부처님을 으뜸으로 하는 비구 상가에게 공양할 수 있었다면 사방상가를 위한 승원을 지을 수 있었다면 고운 심()을 가진 자로서 의지처인 부처님에게로 가고, 의지처인 가르침에게로 가고, 의지처인 성자들에게로 갈 수 있었다면 고운 심()을 가진 자로서 생명을 해치는 행위를 삼가고,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행위를 삼가고, 음행(淫行)에 대해 삿되게 행함을 삼가고, 거짓을 말하는 행위를 삼가고,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을 삼가는 학습계목을 지니고 살 수 있었다면 단지 스치는 향기만큼이라도[소젖을 한 번 짜는 만큼이라도] 자심(慈心)을 닦을 수 있었다면 손가락을 튀길 만큼의 시간이라도 무상(無常)의 상()을 닦을 수 있었다면 이것은 그것보다 더 큰 결실이 있었을 것이다.”

 

5. āhuneyyasuttaṃ (AN 10.16-공양받을만한 자 경)

 

“dasayime, bhikkhave, puggalā āhuneyyā pāhuneyyā dakkhiṇeyyā añjalikaraṇīyā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a. katame dasa? tathāgato arahaṃ sammāsambuddho, paccekabuddho, ubhatobhāgavimutto, paññāvimutto, kāyasakkhī, diṭṭhippatto, saddhāvimutto, saddhānusārī, dhammānusārī, gotrabhū ime kho, bhikkhave, dasa puggalā āhuneyyā. pe.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gotrabhū: one who destroys the lineage. (adj.)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