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mahaggata의 용례

1 40 02.16 18:22

mahaggata의 용례


• mahaggata: become great; lofty. (adj.) 훌륭한 사람이 되다. 고귀한, 고결한. 오만한. 거만한.


1. 대표적 용례


1) 사무량심(四無量心) ―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크고 귀하고(확장-개발된) 무량한」


mettāsahagatena cetasā ekaṃ disaṃ pharitvā viharati. tathā dutiyaṃ. tathā tatiyaṃ. tathā catutthaṃ. iti uddhamadho tiriyaṃ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ṃ lokaṃ mett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pajjena pharitvā viharati. karuṇāsahagatena cetasā ... pe ... muditāsahagatena cetasā ... pe ... upekkhāsahagatena cetasā ekaṃ disaṃ pharitvā viharati. tathā dutiyaṃ. tathā tatiyaṃ. tathā catutthaṃ. iti uddhamadho tiriyaṃ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ṃ lokaṃ upekkh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pajjena pharitvā viharati.


자(慈)가 함께한 심(心)으로 한 방향을 두루 미치면서 머뭅니다. 그렇게 두 방향을, 그렇게 세 방향을, 그렇게 네 방향을. 이렇게 위로 아래로 중간방위로, 모든 곳에서 모두에게 펼쳐서 모든 세상을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자(慈)가 함께한 심(心)으로 두루 미치면서 머뭅니다. 비(悲)가 함께한 심(心)으로 … 희(喜)가 함께한 심(心)으로 … 사(捨)가 함께한 심(心)으로 한 방향을 두루 미치면서 머뭅니다. 그렇게 두 방향을, 그렇게 세 방향을, 그렇게 네 방향을. 이렇게 위로 아래로 중간방위로, 모든 곳에서 모두에게 펼쳐서 모든 세상을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사(捨)가 함께한 심(心)으로 두루 미치면서 머뭅니다.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크고 귀하고 무량한 --양적 의미의 번역 --양적 의미로 이해해야 하는 필요 : ‘크고 확장되어 무량해진mahaggata확장-개발된으로 해석


2) 심념처(心念處) 또는 타심통(他心通)


bhikkhu sarāgaṃ vā cittaṃ ‘sarāgaṃ cittan’ti pajānāti, vītarāgaṃvā cittaṃ ‘vītarāgaṃ cittan’ti pajānāti. sadosaṃ vā cittaṃ‘sadosaṃ cittan’ti pajānāti, vītadosaṃ vā cittaṃ ‘vītadosaṃcittan’ti pajānāti. samohaṃ vā cittaṃ ‘samohaṃ cittan’ti pajānāti, vītamohaṃ vā cittaṃ ‘vītamohaṃ cittan’ti pajānāti. saṅkhittaṃ vā cittaṃ ‘saṅkhittaṃ cittan’ti pajānāti, vikkhittaṃ vācittaṃ ‘vikkhittaṃ cittan’ti pajānāti. mahaggataṃ vā cittaṃ ‘mahaggataṃcittan’ti pajānāti, amahaggataṃ vā cittaṃ ‘amahaggataṃ cittan’ti pajānāti. sauttaraṃ vā cittaṃ ‘sauttaraṃ cittan’ti pajānāti, anuttaraṃvā cittaṃ ‘anuttaraṃ cittan’ti pajānāti. samāhitaṃ vā cittaṃ‘samāhitaṃ cittan’ti pajānāti, asamāhitaṃ vā cittaṃ ‘asamāhitaṃ cittan’ti pajānāti. vimuttaṃ vā cittaṃ ‘vimuttaṃ cittan’ti pajānāti. avimuttaṃ vā cittaṃ ‘avimuttaṃ cittan’ti pajānāti. 


비구는 ①탐(貪)이 있는 심(心)을 ‘탐(貪)이 있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②탐(貪)이 없는 심(心)을 ‘탐(貪)이 없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③진(嗔)이 있는 심(心)을 ‘진(嗔)이 있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④진(嗔)이 없는 심(心)을 ‘진(嗔)이 없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⑤치(癡)가 있는 심(心)을 ‘치(癡)가 있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⑥치(癡)가 없는 심(心)을 ‘치(癡)가 없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⑦수축된 심(心)을 ‘수축된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⑧흩어진 심(心)을 ‘흩어진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⑨개발된 심(心)을 ‘개발된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⑩개발되지 않은 심(心)을 ‘개발되지 않은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⑪위가 있는 심(心)을 ‘위가 있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⑫위가 없는 심(心)을 ‘위가 없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⑬삼매를 닦는 심(心)을 ‘삼매를 닦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⑭삼매를 닦지 않는 심(心)을 ‘삼매를 닦지 않는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⑮해탈된 심(心)을 ‘해탈된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⑯해탈되지 않은 심(心)을 ‘해탈되지 않은 심(心)’이라고 분명히 안다. 


2. 기타 용례


1) (MN 21-톱의 비유 경)


tatrāpi vo, bhikkhave, evaṃ sikkhitabbaṃ — ‘na ceva no cittaṃ vipariṇataṃ bhavissati, na ca pāpikaṃ vācaṃ nicchāressāma, hitānukampī ca viharissāma mettacittā, na dosantarā. tañca puggalaṃ mettāsahagatena cetasā pharitvā viharissāma, tadārammaṇañca sabbāvantaṃ lokaṃ mettāsahagatena cittena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bajjhena pharitvā viharissāmā’ti. evañhi vo, bhikkhave, sikkhitabbaṃ.


거기서,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 ‘우리는 심(心)을 더럽히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악한 말을 내뱉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이익과 연민을 가지고 머물 것이다. 그리고 내면에 진(嗔)을 가지지 않고, 자심(慈心)을 가지고 머물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에게 자(慈)가 함께한 심(心)으로 두루 미치면서 머물 것이다. 세상의 그 모든 대상을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자(慈)가 함께한 심(心)으로 두루 미치면서 머물 것이다.’라고.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 pathavisam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bajjhena pharitvā viharissāmā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땅과 같은 심(心)으로 두루 미치면서 머물 것이다.


• ākāsasamena cetasā … gaṅgāsamena cetasā … biḷārabhastāsamena cetasā …


공간과 같은 심(心)으로 … 강가 강 같은 심(心)으로 … 고양이 가죽으로 만든 주머니 같은 심(心)으로 …


2) (MN 106-흔들리지 않는 경지에 적합함 경)


bhagavā etadavoca — “aniccā, bhikkhave, kāmā tucchā musā mosadhammā. māyākatame taṃ, bhikkhave, bālalāpanaṃ.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 ubhayametaṃ māradheyyaṃ, mārassesa visayo, mārassesa nivāpo, mārassesa gocaro. etthete pāpakā akusalā mānasā abhijjhāpi byāpādāpi sārambhāpi saṃvattanti. teva ariyasāvakassa idhamanusikkhato antarāyāya sambhavanti. tatra, bhikkhave,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 ubhayametaṃ māradheyyaṃ, mārassesa visayo, mārassesa nivāpo, mārassesa gocaro. etthete pāpakā akusalā mānasā abhijjhāpi byāpādāpi sārambhāpi saṃvattanti, teva ariyasāvakassa idhamanusikkhato antarāyāya sambhavanti. yaṃnūnāhaṃ vipulena mahaggatena cetasā vihareyyaṃ abhibhuyya lokaṃ adhiṭṭhāya manasā. vipulena hi me mahaggatena cetasā viharato abhibhuyya lokaṃ adhiṭṭhāya manasā ye pāpakā akusalā mānasā abhijjhāpi byāpādāpi sārambhāpi te na bhavissanti. tesaṃ pahānā aparittañca me cittaṃ bhavissati appamāṇaṃ subhāvitan’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neñj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neñjūpagaṃ. ayaṃ, bhikkhave, paṭhamā āneñj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 “비구들이여, 소유의 사유들은 무상(無常)하고, 헛되고, 거짓이고, 사실 아닌 것이다. 그것은, 비구들이여, 사기로 만들어진 것이고 어리석은 자의 읊조림이다. 지금여기에 속한 소유의 사유들과 다음 세상에 속한 소유의 사유들 그리고 지금여기에 속한 소유의 경향[욕상(慾想)]과 다음 세상에 속한 소유의 경향 — 이 두(네) 가지는 모두 마라의 왕국이고, 단지 마라의 경계이고, 단지 마라의 미끼이고, 단지 마라의 영역이다. 여기에서 악한 불선의 의(意)의 작용 때문에 이렇게 간탐도 진에도 격분도 있게 된다. 그것들은 여기에서 계속 노력하는 이 성스러운 제자에게 장애가 될 뿐이다. 거기서,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숙고한다. — ‘지금여기에 속한 소유의 사유들과 다음 세상에 속한 소유의 사유들 그리고 지금여기에 속한 소유의 경향[욕상(慾想)]과 다음 세상에 속한 소유의 경향 — 이 두(네) 가지는 모두 마라의 왕국이고, 단지 마라의 경계이고, 단지 마라의 미끼이고, 단지 마라의 영역이다. 여기에서 악한 불선의 의(意)의 작용 때문에 이렇게 간탐도 진에도 격분도 있게 된다. 그것들은 계속 노력하는 이 성스러운 제자에게 장애가 될 뿐이다. 나는 크고 귀한 심(心)으로 머물고, 의(意)를 확고히 해서 세상을 극복해야겠다. 참으로 크고 귀한 심(心)으로 머물고, 의(意)를 확고히 해서 세상을 극복하는 나에게 악한 불선의 의(意)의 작용 때문에 생기는 간탐도 진에도 격분도 없을 것이다. 그것들의 버려짐에 의해서 나의 심(心)은 커지고 무량하게 잘 닦아질 것이다.’라고. 이렇게 실천하고 그렇게 많이 머무는 그에게 심(心)은 그 경지에서 기뻐한다. 기뻐함이 있을 때 지혜로써 흔들리지 않는 경지를 현재에 증득하거나 기운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식(識)이 흔들리지 않는 경지로 갈 것이라는 경우는 있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첫 번째 흔들리지 않는 경지에 적합한 실천이라고 선언된다.


3) (MN 127-아누룻다 경) ― mahaggatā cetovimutti 고귀한(확장에 의한) 해탈


4) (SN 1.32-인색 경)


atha kho aparā devatā bhagavantaṃ gāthāya ajjhabhāsi —


“kenesa yañño vipulo mahaggato,

samena dinnassa na agghameti.

kathaṃ sataṃ sahassānaṃ sahassayāginaṃ,

kalampi nāgghanti tathāvidhassa te”ti.


그러자 다른 천신이 세존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ㅡ


“왜 크고 광대한 이 제사가 

편벽되지 않게 주어진 것에게 미치지 못합니까?

어떻게 천의 가치가 있는 보시로 십만을 보시하는 사람도

이런 보시에 비해 오직 한 조각의 가치도 없습니까?”


5) (SN 46.26-애(愛)의 부서짐 경)


“yo, bhikkhave, maggo yā paṭipadā taṇhakkhayāya saṃvattati, taṃ maggaṃ taṃ paṭipadaṃ bhāvetha. katamo ca, bhikkhave, maggo katamā ca paṭipadā taṇhakkhayāya saṃvattati? yadidaṃ — satta bojjhaṅgā. katame satta? satisambojjhaṅgo ... pe ... upekkhāsambojjhaṅgo”ti. evaṃ vutte āyasmā udāyī bhagavantaṃ etadavoca — “kathaṃ bhāvitā nu kho, bhante, satta bojjhaṅgā, kathaṃ bahulīkatā taṇhakkhayāya saṃvattantī”ti?

 

“비구들이여, 애(愛)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길과 실천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애(愛)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길이고, 무엇이 실천인가? 그것은 칠각지(七覺支)이다. 어떤 일곱 가지인가? 염각지(念覺支) … 사각지(捨覺支)이다.” 이렇게 말했을 때, 우다이 존자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대덕이시여, 어떻게 닦고, 어떻게 많이 행한 칠각지가 애(愛)의 부서짐으로 이끕니까?”


“idha, udāyi, bhikkhu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vipulaṃ mahaggataṃ appamāṇaṃ abyāpajjaṃ. tassa satisambojjhaṅgaṃ bhāvayato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vipulaṃ mahaggataṃ appamāṇaṃ abyāpajjaṃ taṇhā pahīyati. taṇhāya pahānā kammaṃ pahīyati. kammassa pahānā dukkhaṃ pahīyati ... pe ...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vipulaṃ mahaggataṃ appamāṇaṃ abyāpajjaṃ. tassa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ayato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vipulaṃ mahaggataṃ appamāṇaṃ abyāpajjaṃ taṇhā pahīyati taṇhāya pahānā kammaṃ pahīyati. kammassa pahānā dukkhaṃ pahīyati. iti kho, udāyi, taṇhakkhayā kammakkhayo, kammakkhayā dukkhakkhayo”ti.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떨침[무관심]의 과정이고, 이탐(離貪)의 과정이고, 소멸(消滅)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크고 귀하고 무량하고 거슬림 없는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離貪)의 과정이고, 소멸(消滅)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크고 귀하고 무량하고 거슬림 없는 염각지(念覺支)를 닦는 그에게 애(愛)가 버려진다. 애(愛)가 버려질 때 업(業)이 버려지고, 업(業)이 버려질 때 고(苦)가 버려진다. …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離貪)의 과정이고, 소멸(消滅)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크고 귀하고 무량하고 거슬림 없는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離貪)의 과정이고, 소멸(消滅)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크고 귀하고 무량하고 거슬림 없는 사각지(捨覺支)를 닦는 그에게 애(愛)가 버려진다. 애(愛)의 버림에서 업(業)이 버려지고, 업(業)의 버림에서 고(苦)가 버려진다. 이렇게, 우다이여, 애(愛)의 부서짐에서 업(業)의 부서짐이 있고, 업(業)의 부서짐에서 고(苦)의 부서짐이 있다.”


6) (SN 46.28-꿰뚫음과 연결됨 경)


“nibbedhabhāgiyaṃ vo, bhikkhave, maggaṃ desessāmi; taṃ suṇātha. katamo ca, bhikkhave, nibbedhabhāgiyo maggo? yadidaṃ — satta bojjhaṅgā. katame satta? satisambojjhaṅgo ... pe ... upekkhāsambojjhaṅgo”ti. evaṃ vutte āyasmā udāyī bhagavantaṃ etadavoca — “kathaṃ bhāvitā nu kho, bhante, satta bojjhaṅgā kathaṃ bahulīkatā nibbedhāya saṃvattantī”ti?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꿰뚫음과 연결된 길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꿰뚫음과 연결된 길인가? 그것은 칠각지(七覺支)이다. 어떤 일곱인가? 염각지(念覺支), 택법각지(擇法覺支), 정진각지(精進覺支), 희각지(喜覺支), 경안각지(輕安覺支), 정각지(定覺支), 사각지(捨覺支)이다.” 이렇게 말했을 때, 우다이 존자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대덕이시여, 어떻게 닦고 어떻게 많이 행한 칠각지(七覺支)가 꿰뚫음으로 이끕니까?”라고.


“idha, udāyi, bhikkhu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vipulaṃ mahaggataṃ appamāṇaṃ abyāpajjaṃ. so satisambojjhaṅgaṃ bhāvitena cittena anibbiddhapubbaṃ appadālitapubbaṃ lobhakkhandhaṃ nibbijjhati padāleti; anibbiddhapubbaṃ appadālitapubbaṃ dosakkhandhaṃ nibbijjhati padāleti; anibbiddhapubbaṃ appadālitapubbaṃ mohakkhandhaṃ nibbijjhati padāleti ... pe ...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vipulaṃ mahaggataṃ appamāṇaṃ abyāpajjaṃ. so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itena cittena anibbiddhapubbaṃ appadālitapubbaṃ lobhakkhandhaṃ nibbijjhati padāleti; anibbiddhapubbaṃ appadālitapubbaṃ dosakkhandhaṃ nibbijjhati padāleti; anibbiddhapubbaṃ appadālitapubbaṃ mohakkhandhaṃ nibbijjhati padāleti. evaṃ bhāvitā kho, udāyi, satta bojjhaṅgā evaṃ bahulīkatā nibbedhāya saṃvattantī”ti.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떨침[무관심]의 과정이고, 이탐(離貪)의 과정이고, 소멸(消滅)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크고 귀하고 무량하고 거슬림 없는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그는 염각지(念覺支)를 닦은 심(心)으로 이전에 꿰뚫지 못하고, 이전에 부수지 못한 탐(貪)의 무더기[탐온(貪蘊)]를 꿰뚫고 부순다. 이전에 꿰뚫지 못하고, 이전에 부수지 못한 진(嗔)의 무더기[진온(嗔蘊)]를 꿰뚫고 부순다. 이전에 꿰뚫지 못하고, 이전에 부수지 못한 치(癡)의 무더기[치온(癡蘊)]를 꿰뚫고 부순다.…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離貪)의 과정이고, 소멸(消滅)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크고 귀하고 무량하고 거슬림 없는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그는 사각지(捨覺支)를 닦은 심(心)으로 이전에 꿰뚫지 못하고, 이전에 부수지 못한 탐(貪)의 무더기[탐온(貪蘊)]를 꿰뚫고 부순다. 이전에 꿰뚫지 못하고, 이전에 부수지 못한 진(嗔)의 무더기[진온(嗔蘊)]를 꿰뚫고 부순다. 이전에 꿰뚫지 못하고, 이전에 부수지 못한 치(癡)의 무더기[치온(癡蘊)]를 꿰뚫고 부순다.우다이여, 이렇게 닦고, 이렇게 많이 행한 칠각지(七覺支)가 꿰뚫음으로 이끈다.”


7) (AN 4.57-숩빠와사 경)


“susaṅkhataṃ bhojanaṃ yā dadāti,

suciṃ paṇītaṃ rasasā upetaṃ.

sā dakkhiṇā ujjugatesu dinnā,

caraṇūpapannesu mahaggatesu.

puññena puññaṃ saṃsandamānā,

mahapphalā lokavidūna vaṇṇitā.


올바름에 도달한 분들, 실천을 이루신 분들, 위대함에 도달한 분들에 대해 주어지는

깨끗하고 뛰어나고 맛있는 잘 요리한 음식을 드리는 그 보시는

공덕에 의해 공덕이 함께하고, 큰 결실이 있다고 세간해(世間解)는 설명한다.


“etādisaṃ yaññamanussarantā,

ye vedajātā vicaranti loke.

vineyya maccheramalaṃ samūlaṃ,

aninditā saggamupenti ṭhānan”ti. 


이러한 제사를 계속해서 기억하는 자들은

세상에서 기쁨 가득히 살아간다.

인색의 때를 뿌리로부터 제거할 것이고,

비난할 점이 없는 그들은 천상의 토대를 얻는다.


8) (AN 6.26-마하깟짜나 경) ― 계속해서 기억해야 하는 여섯 가지


“idhāvuso, ariyasāvako tathāgataṃ anussarati — ‘‘itipi so bhagavā arahaṃ sammāsambuddho vijjācaraṇasampanno sugato lokavidū anuttaro purisadammasārathi satthā devamanussānaṃ buddho bhagavā’ti. yasmiṃ, āvuso, samaye ariyasāvako tathāgataṃ anussarati nevassa tasmiṃ samaye rāgapariyuṭṭhitaṃ cittaṃ hoti, na dosapariyuṭṭhitaṃ cittaṃ hoti, na mohapariyuṭṭhitaṃ cittaṃ hoti; ujugatamevassa tasmiṃ samaye cittaṃ hoti, nikkhantaṃ muttaṃ vuṭṭhitaṃ gedhamhā. ‘gedho’ti kho, āvuso, pañcannetaṃ kāmaguṇānaṃ adhivacanaṃ. sa kho so, āvuso, ariyasāvako sabbaso ākāsasamena cetasā viharati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pajjena. idampi kho, āvuso, ārammaṇaṃ karitvā evamidhekacce sattā visuddhidhammā bhavanti.


“도반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여래(如來)를 계속해서 기억합니다. ㅡ ‘이렇게 그분 세존께서는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 밝음과 실천을 갖추신 분, 진리의 길 보이신 분, 세상일을 모두 훤히 아시는 분, 어리석은 이도 잘 이끄시는 위없는 분, 모든 천상과 인간의 스승, 깨달으신 분, 존귀하신 분이시다.’라고.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여래(如來)를 계속해서 기억할 때 심(心)은 탐(貪)이 스며들지 않고, 진(嗔)이 스며들지 않고 치(癡)가 스며들지 않습니다. 그때 심(心)은 올곧아지고, 갈망으로부터 떠나고, 풀려나고, 벗어납니다. 도반들이여, ‘갈망’이란 것은 이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도반들이여, 이런 성스러운 제자는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공간과 같은 심(心)으로 머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여기 어떤 중생들은 청정한 존재들이 됩니다.”


9) (AN 9.11-사자후 경)


“seyyathāpi, bhante, pathaviyaṃ sucimpi nikkhipanti asucimpi nikkhipanti gūthagatampi nikkhipanti muttagatampi nikkhipanti kheḷagatampi nikkhipanti pubbagatampi nikkhipanti lohitagatampi nikkhipanti, na ca tena pathavī aṭṭīyati vā harāyati vā jigucchati vā; evamevaṃ kho ahaṃ, bhante, pathavīsamena cetasā viharāmi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pajjena. yassa nūna, bhante, kāye kāyagatāsati anupaṭṭhitā assa, so idha aññataraṃ sabrahmacāriṃ āsajja appaṭinissajja cārikaṃ pakkameyya.


예를 들면, 대덕이시여, 그들이 땅에 깨끗한 것을 버려도, 더러운 것을 버려도, 똥 무더기를 버려도, 오줌 무더기를 버려도, 침 무더기를 버려도, 고름 무더기를 버려도, 피 무더기를 버려도 그것 때문에 땅은 곤란해지지 않고, 부끄러워지지 않고, 피하지 않습니다. 이처럼, 대덕이시여, 저는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땅과 같은 심(心)으로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참으로 어떤 사람에게 몸에서 몸에 속한 사띠가 확립되지 않았다면, 그는 여기 어떤 동료수행자를 모욕한 뒤에 용서받지 않고서 돌아다니는 삶을 떠날 것입니다.


• āpasmiṃ … tejo … vāyo … rajoharaṇaṃ … caṇḍālakumārako vā caṇḍālakumārikā vā … usabho chinnavisāṇo … itthī vā puriso vā daharo yuvā maṇḍanakajātiko …


물에 … 불은 … 바람은 … 먼지 닦는 걸레는 … 천민의 사내아이나 천민의 딸아이는 … 뿔이 잘린 황소는 … 장식을 좋아하는 여인이나 남자나 소년이나 젊은이가 … 


“seyyathāpi, bhante, puriso medakathālikaṃ parihareyya chiddāvachiddaṃ uggharantaṃ paggharantaṃ; evamevaṃ kho ahaṃ, bhante, imaṃ kāyaṃ pariharāmi chiddāvachiddaṃ uggharantaṃ paggharantaṃ. yassa nūna, bhante, kāye kāyagatāsati anupaṭṭhitā assa, so idha aññataraṃ sabrahmacāriṃ āsajja appaṭinissajja cārikaṃ pakkameyyā”ti.


예를 들면, 대덕이시여, 사람이 터지고 금가고 기름이 스며 나오고 뚝뚝 떨어지는 기름단지를 가지고 갈 것입니다. 이처럼, 대덕이시여, 저는 터지고 금가고 오염원이 스며 나오고 뚝뚝 떨어지는 이 몸을 가지고 다닙니다. 대덕이시여, 참으로 어떤 사람에게 몸에서 몸에 속한 사띠가 확립되지 않았다면, 그는 여기 어떤 동료수행자를 모욕한 뒤에 용서받지 않고서 돌아다니는 삶을 떠날 것입니다.”라고.


10) (AN 10.29-꼬살라 경1)


“catasso imā, bhikkhave, saññā. katamā catasso? parittameko sañjānāti, mahaggatameko sañjānāti, appamāṇameko sañjānāti,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meko sañjānāti — imā kho, bhikkhave, catasso saññā.


비구들이여, 네 가지 이런 상(想)이 있다. 어떤 넷인가? 어떤 자는 제한된 것을 상(想)한다. 어떤 자는 확장된 것을 상(想)한다. 어떤 자는 무한한 것을 상(想)한다. 어떤 자는 ‘아무 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를 상(想)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상(想)이 있다.


paritta(제한된 것) mahaggata( ? ) appamāṇa(무한한 것) 사무량심의 궁극 = 사심해탈(捨心解脫) = 무소유처(無所有處) 또는 상()의 증득의 완성 = 무소유처(無所有處)의 상()

 

; 양적 확장 제한된 것이 확장되어 무량(무한)한 것에 이르러 무소유처를 성취함 mahaggata = 확장된 것

Comments

대원행 02.16 22:31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3_07&wr_id=2 참조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27. 아누룻다 경[무량심해탈과 확장에 의한 심해탈 & 까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