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nikāmalābhī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의 용례

【nikāmalābhī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의 용례


4부 니까야에 총 86번 나타나는데, 몇 가지 용례로 구분됩니다.


[1] 사선(四禪-catunnaṃ jhānānaṃ)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


예] sekhasuttaṃ (MN 53-유학(有學) 경)


atha kho āyasmā ānando mahānāmaṃ sakkaṃ āmantesi — “idha, mahānāma, ariyasāvako sīlasampanno hoti, indriyesu guttadvāro hoti, bhojane mattaññū hoti, jāgariyaṃ anuyutto hoti, sattahi saddhammehi samannāgato hoti,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hot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그러자 아난다 존자는 삭까 사람 마하나마에게 ”여기, 마하나마여, 성스러운 제자는 계(戒)를 갖추고, 기능들에서 문을 보호하고, 음식의 적당량을 알고, 깨어있음을 실천하고, 일곱 가지 정법(正法)을 갖추고,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을 위한 높은 심(心)인 네 가지 선(禪)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습니다.


용례


1. DN 3, 5. sampasādanīyasuttaṃ, aññathāsatthuguṇadassanaṃ (DN 28)

2. MN 1, 1. mūlapariyāyavaggo, 6. ākaṅkheyyasuttaṃ (MN 6.1)

3. MN 2, 1. gahapativaggo, 3. sekhasuttaṃ (MN 53.1)

4. MN 3, 1. devadahavaggo, 8. gopakamoggallānasuttaṃ (MN 108.1)

5. MN 3, 2. anupadavaggo, 9. kāyagatāsatisuttaṃ (MN 119.1)

6. SN 2, 10. bhikkhusaṃyuttaṃ, 4. navasuttaṃ (SN 21.4)

7. AN 4,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3. uruvelavaggo, 2. dutiyauruvelasuttaṃ (AN 4.22)

8. AN 4,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4. cakkavaggo, 5. vassakārasuttaṃ (AN 4.35)

9. AN 4, 2. dutiyapaṇṇāsakaṃ, (9) 4. macalavaggo, 7. puttasuttaṃ (AN 4.87)

10. AN 5, 2. dutiyapaṇṇāsakaṃ, (9) 4. theravaggo, 7. sīlavantasuttaṃ (AN 5.87)

11. AN 5, 2. dutiyapaṇṇāsakaṃ, (9) 4. theravaggo, 10. dutiyasekhasuttaṃ (AN 5.90)

12. AN 5, 3. tatiyapaṇṇāsakaṃ, (11) 1. phāsuvihāravaggo, 4. samaṇasukhumālasuttaṃ (AN 5.104)

13. AN 5, 3. tatiyapaṇṇāsakaṃ, (11) 1. phāsuvihāravaggo, 6. ānandasuttaṃ (AN 5.106)

14. AN 5, 3. tatiyapaṇṇāsakaṃ, (11) 1. phāsuvihāravaggo, 9. cātuddisasuttaṃ (AN 5.109)

15. AN 5, 3. tatiyapaṇṇāsakaṃ, (11) 1. phāsuvihāravaggo, 10. araññasuttaṃ (AN 5.110)

16. AN 5, 4. catutthapaṇṇāsakaṃ, (17) 2. āghātavaggo, 6. nirodhasuttaṃ (AN 5.166)

17. AN 5, 4. catutthapaṇṇāsakaṃ, (18) 3. upāsakavaggo, 9. gihisuttaṃ (AN 5.179)

18. AN 5, 5. pañcamapaṇṇāsakaṃ, (24) 4. āvāsikavaggo, 2. piyasuttaṃ (AN 5.232)

19. AN 5, 5. pañcamapaṇṇāsakaṃ, (24) 4. āvāsikavaggo, 3. sobhanasuttaṃ (AN 5.233)

20. AN 5, 5. pañcamapaṇṇāsakaṃ, (24) 4. āvāsikavaggo, 4. bahūpakārasuttaṃ (AN 5.234)

21. AN 7, 7. mahāvaggo, 3. nagaropamasuttaṃ (AN 7.67)[다른 용례도 포함] → 비유를 통해 네 가지 음식을 설명함.

22. AN 7, 8. vinayavaggo, 1. paṭhamavinayadharasuttaṃ (AN 7.75)

23. AN 7, 8. vinayavaggo, 2. dutiyavinayadharasuttaṃ (AN 7.76)

24. AN 7, 8. vinayavaggo, 3. tatiyavinayadharasuttaṃ (AN 7.77)

25. AN 7, 8. vinayavaggo, 5. paṭhamavinayadharasobhanasuttaṃ (AN 7.79)

26. AN 7, 8. vinayavaggo, 6. dutiyavinayadharasobhanasuttaṃ (AN 7.80)

27. AN 7, 8. vinayavaggo, 7. tatiyavinayadharasobhanasuttaṃ (AN 7.81)

28. AN 8,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3. gahapativaggo, 10. anuruddhamahāvitakkasuttaṃ (AN 8.30)

29. AN 8, 2. dutiyapaṇṇāsakaṃ, (6) 1. gotamīvaggo, 7. paṭhamāahuneyyasuttaṃ (AN 8.57)

30. AN 8, 2. dutiyapaṇṇāsakaṃ, (6) 1. gotamīvaggo, 8. dutiyāahuneyyasuttaṃ (AN 8.58)

31. AN 8, 2. dutiyapaṇṇāsakaṃ, (8) 3. yamakavaggo, 1. paṭhamasaddhāsuttaṃ (AN 8.71)

32. AN 10,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1. ānisaṃsavaggo, 8. jhānasuttaṃ (AN 10.8)

33. AN 10,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3. mahāvaggo, 10. dutiyakosalasuttaṃ (AN 10.30)[다른 용례도 포함]

    → 엄격한 번뇌의 말살과 마음을 맑히는 데 도움이 되는 이야기

34. AN 10, 2. dutiyapaṇṇāsakaṃ, (8) 3. ākaṅkhavaggo, 1. ākaṅkhasuttaṃ (AN 10.71)

35. AN 10, 2. dutiyapaṇṇāsakaṃ, (10) 5. upālivaggo, 8. therasuttaṃ (AN 10.98)

36. AN 11, 2. anussativaggo, 4. subhūtisuttaṃ (AN 11.14)


[2] 출리(出離)의 즐거움, 여읨의 즐거움, 가라앉음의 즐거움, 깨달음의 즐거움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


예] MN 3, 3. suññatavaggo, 2. mahāsuññatasuttaṃ (MN 122-공(空)에 대한 큰 경)


“na kho, ānanda, bhikkhu sobhati saṅgaṇikārāmo saṅgaṇikarato saṅgaṇikārāmataṃ anuyutto gaṇārāmo gaṇarato gaṇasammudito. so vatānanda, bhikkhu saṅgaṇikārāmo saṅgaṇikarato saṅgaṇikārāmataṃ anuyutto gaṇārāmo gaṇarato gaṇasammudito yaṃ taṃ nekkhammasukhaṃ pavivekasukhaṃ upasamasukhaṃ sambodhisukhaṃ tassa sukhassa nikāmalābhī bhavissat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ti — netaṃ ṭhānaṃ vijjati. yo ca kho so, ānanda, bhikkhu eko gaṇasmā vūpakaṭṭho viharati tassetaṃ bhikkhuno pāṭikaṅkhaṃ yaṃ taṃ nekkhammasukhaṃ pavivekasukhaṃ upasamasukhaṃ sambodhisukhaṃ tassa sukhassa nikāmalābhī bhavissat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ti — ṭhānametaṃ vijjati.


아난다여, 교제하기를 즐기고, 교제하기를 좋아하고, 교제하는 즐거움에 묶이고, 무리 짓기를 즐기고, 무리 짓기를 좋아하고, 무리 짓기를 기뻐하는 비구는 빛나지 않는다. 참으로, 아난다여, 교제하기를 즐기고, 교제하기를 좋아하고, 교제하는 즐거움에 묶이고, 무리 짓기를 즐기고, 무리 짓기를 좋아하고, 무리 짓기를 기뻐하는 비구가 출리(出離)의 즐거움, 여읨의 즐거움, 가라앉음의 즐거움, 깨달음의 즐거움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을 것이라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아난다여, 무리를 가까이 않고 머무는 어떤 비구가 출리(出離)의 즐거움, 여읨의 즐거움, 가라앉음의 즐거움, 깨달음의 즐거움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는 것을 바란다면, 그런 경우는 있다.


용례


1. MN 3, 3. suññatavaggo, 2. mahāsuññatasuttaṃ (MN 122.1)

2. AN 5,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3. pañcaṅgikavaggo, 10. nāgitasuttaṃ (AN 5.30)

3. AN 6,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4. devatāvaggo, 12. nāgitasuttaṃ (AN 6.42)

4. AN 8, 2. dutiyapaṇṇāsakaṃ, (9) 4. sativaggo, 6. yasasuttaṃ (AN 8.86)



[3] 삼매를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


예] SN 5, 10. ānāpānasaṃyuttaṃ, 1. ekadhammavaggo, 7. mahākappinasuttaṃ (SN 54.7-마하깝삐나 경)


“passatha no tumhe, bhikkhave, etassa bhikkhuno kāyassa iñjitattaṃ vā phanditattaṃ vā”ti? “yadāpi mayaṃ, bhante, taṃ āyasmantaṃ passāma saṅghamajjhe vā nisinnaṃ ekaṃ vā raho nisinnaṃ, tadāpi mayaṃ tassa āyasmato na passāma kāyassa iñjitattaṃ vā phanditattaṃ vā”ti.


“yassa, bhikkhave, samādhissa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neva kāy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na citt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tassa so, bhikkhave, bhikkhu samādhissa nikāmalābhī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katamassa ca, bhikkhave, samādhissa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neva kāy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na citt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ānāpānassatisamādhissa, bhikkhave,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neva kāy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na cittassa iñjitattaṃ vā hoti phanditattaṃ vā.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 비구에게서 몸의 흔들림이나 동요를 보는가?” “대덕이시여, 저희가 보고 있는 상가 가운데 앉아 있거나 외딴곳에 혼자 앉아 있는 저 비구에게서 몸의 흔들림이나 동요를 보지 못합니다.”


“비구들이여, 어떤 삼매를 닦고 많이 행할 때 몸의 흔들림이나 동요가 없고, 심(心)의 흔들림이나 동요가 없다. 비구들이여, 그런 삼매를 닦고 많이 행하는 그 비구는 삼매를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는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어떤 삼매를 닦고 많이 행할 때 몸의 흔들림이나 동요가 없고, 심(心)의 흔들림이나 동요가 없는가?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의 삼매를,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할 때 몸의 흔들림이나 동요가 없고, 심(心)의 흔들림이나 동요가 없다.”


[4] 신(神)의 높고 큰 침상, 범천(梵天)의 높고 큰 침상, 성자(聖者)의 높고 큰 침상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


예] AN 3, 2. dutiyapaṇṇāsakaṃ, (7) 2. mahāvaggo, 3. venāgapurasuttaṃ (AN 3.64-웨나가뿌라 경)


“tīṇi kho, imāni, brāhmaṇa, uccāsayanamahāsayanāni, yesāhaṃ etarahi nikāmalābhī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katamāni tīṇi? dibbaṃ uccāsayanamahāsayanaṃ, brahmaṃ uccāsayanamahāsayanaṃ, ariyaṃ uccāsayanamahāsayanaṃ. imāni kho, brāhmaṇa, tīṇi uccāsayanamahāsayanāni, yesāhaṃ etarahi nikāmalābhī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ti. 


“바라문이여, 이런 세 가지 높고 큰 침상이 있습니다. 그것들을 나는 지금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습니다. 어떤 셋입니까? 신(神)의 높고 큰 침상, 범천(梵天)의 높고 큰 침상, 성자(聖者)의 높고 큰 침상입니다. 바라문이여, 이런 세 가지 높고 큰 침상이 있습니다. 그것들을 나는 지금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습니다.”


[5] 열린 심(心)을 위해 도움이 되는 금욕적인 이야기를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


예] AN 5, 2. dutiyapaṇṇāsakaṃ, (9) 4. theravaggo, 10. dutiyasekhasuttaṃ (AN 5.90-유학(有學) 경2)


“puna caparaṃ, bhikkhave, sekho bhikkhu yāyaṃ kathā ābhisallekhikā cetovivaraṇasappāyā, seyyathidaṃ — appicchakathā santuṭṭhikathā pavivekakathā asaṃsaggakathā vīriyārambhakathā sīlakathā samādhikathā paññākathā vimuttikathā vimuttiñāṇadassanakathā, evarūpiyā kathāya na nikāmalābhī hoti na akicchalābhī na akasiralābhī; riñcati paṭisallānaṃ, nā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ayaṃ, bhikkhave, pañcamo dhammo sekhassa bhikkhuno parihānāya saṃvattati. ime kho, bhikkhave, pañca dhammā sekhassa bhikkhuno parihānāya saṃvattanti.


다시, 비구들이여, 유학인 비구가 바라는 것이 적음에 대한 이야기, 만족에 대한 이야기, 여읨에 대한 이야기, 교류 않음에 대한 이야기, 정진의 시작[열심히 정진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 계(戒)에 대한 이야기, 삼매에 대한 이야기, 지혜에 대한 이야기, 해탈에 대한 이야기, 해탈지견(解脫知見)에 대한 이야기 등 열린 심(心)을 위해 도움이 되는 금욕적인 이야기를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지 못한다. 홀로 머묾을 도외시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지 않는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유학(有學)인 비구를 쇠퇴로 이끄는 다섯 번째 법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법은 유학인 비구를 쇠퇴로 이끈다.


“puna caparaṃ, bhikkhave, sekho bhikkhu yāyaṃ kathā ābhisallekhikā cetovivaraṇasappāyā, seyyathidaṃ — appicchakathā santuṭṭhikathā pavivekakathā asaṃsaggakathā vīriyārambhakathā sīlakathā samādhikathā paññākathā vimuttikathā vimuttiñāṇadassanakathā, evarūpiyā kathāya nikāmalābhī hot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na riñcati paṭisallānaṃ, a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ayaṃ, bhikkhave, pañcamo dhammo sekhassa bhikkhuno aparihānāya saṃvattati. ime kho, bhikkhave, pañca dhammā sekhassa bhikkhuno aparihānāya saṃvattantī”ti.


다시, 비구들이여, 유학인 비구가 바라는 것이 적음에 대한 이야기, 만족에 대한 이야기, 여읨에 대한 이야기, 교류 않음에 대한 이야기, 정진의 시작[열심히 정진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 계(戒)에 대한 이야기, 삼매에 대한 이야기, 지혜에 대한 이야기, 해탈에 대한 이야기, 해탈지견(解脫知見)에 대한 이야기 등 열린 심(心)을 위해 도움이 되는 금욕적인 이야기를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는다. 홀로 머묾을 도외시하지 않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유학(有學)인 비구를 쇠퇴로 이끌지 않는 다섯 번째 법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법은 유학인 비구를 쇠퇴로 이끌지 않는다.


용례


1. AN 5, 2. dutiyapaṇṇāsakaṃ, (9) 4. theravaggo, 10. dutiyasekhasuttaṃ (AN 5.90)

2. AN 5, 2. dutiyapaṇṇāsakaṃ, (10) 5. kakudhavaggo, 7. kathāsuttaṃ (AN 5.97)

3. AN 9,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1. sambodhivaggo, 1. sambodhisuttaṃ (AN 9.1)

4. AN 9,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1. sambodhivaggo, 3. meghiyasuttaṃ (AN 9.3)

5. AN 10,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3. mahāvaggo, 10. dutiyakosalasuttaṃ (AN 10.30)


[6] 높은 심(心)에 속하는 네 가지를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


예] AN 5, 4. catutthapaṇṇāsakaṃ, (18) 3. upāsakavaggo, 9. gihisuttaṃ (AN 5.179-재가자 경)


“yaṃ kañci, sāriputta, jāneyyātha gihiṃ odātavasanaṃ pañcasu sikkhāpadesu saṃvutakammantaṃ catun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iṃ akicchalābhiṃ akasiralābhiṃ, so ākaṅkhamāno attanāva attānaṃ byākareyya — ‘khīṇanirayomhi khīṇatiracchānayoni khīṇapettivisayo khīṇāpāyaduggativinipāto, sotāpannohamasmi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


 “사리뿟따여, 그대들은 다섯 가지 학습계율 위에서 행위를 단속하고,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을 위한 네 가지 높은 심(心)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는 흰옷을 입은 어떤 재가자를 볼 수 있는데, 그가 원할 때면 누구든지 오직 자신에 의해 자신을 설명할 수 있다. ― ‘나에게 지옥은 다했고 축생의 모태는 다했고 아귀의 영역은 다했고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는 다했다. 나는 예류자(預流者)여서 떨어지지 않는 자, 확실한 자, 깨달음을 겨냥한 자이다.’라고


[7] 위없는 해탈락(解脫樂)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음


예] AN 5, 4. catutthapaṇṇāsakaṃ, (18) 3. upāsakavaggo, 10. gavesīsuttaṃ (AN 5.180-가웨시 경)


“atha kho, ānanda, gavesissa bhikkhuno etadahosi — ‘ahaṃ kho imassa anuttarassa vimuttisukhassa nikāmalābhī hom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aho vatimānipi pañca bhikkhusatāni imassa anuttarassa vimuttisukhassa nikāmalābhino assu akicchalābhino akasiralābhino’ti. atha kho, ānanda, tāni pañca bhikkhusatāni vūpakaṭṭhā appamattā ātāpino pahitattā viharantā nacirasseva — yassatthāya kulaputtā sammadeva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anti, tadanuttaraṃ — brahmacariyapariyosāna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iṃsu.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abbhaññiṃsu”. 


그러자 아난다여, 가웨시 비구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나는 이 위없는 해탈락(解脫樂)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는다. 이 오백 명의 비구들도 이 위없는 해탈락(解脫樂)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을 것이다.’라고. 그때, 아난다여, 홀로 외딴곳에서 방일하지 않고 노력하고 단호한 의지로써 머문 그 오백 명의 비구들은 오래지 않아 좋은 가문의 아들들이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한 목적인 위없는 범행(梵行)의 완성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물렀다. “태어남은 다했다. 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을 했다. 다음에는 현재 상태[유(有)]가 되지 않는다.”라고 실답게 알았다. 



Comments

대원행 04.01 20:35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o&wr_id=95 참조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401)] ― (AN 5.179-재가자 경)[재가자 신행의 줄기 = 오계 & 예류의 4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