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Re: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의 용례 분석

1 64 06.01 21:32

【용례】


[1] 맛지마 니까야


1. mahātaṇhāsaṅkhayasuttaṃ (MN 38-애(愛)의 부서짐의 큰 경)  


“so cakkhunā rūpaṃ disvā piyarūpe rūpe sārajjati, appiyarūpe rūpe byāpajjati, anupaṭṭhitakāyasati ca viharati parittacetaso. t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yathābhūtaṃ nappajānāti — yatthassa t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arisesā nirujjhanti. so evaṃ anurodhavirodhaṃ samāpanno yaṃ kiñci vedanaṃ vedeti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so taṃ vedanaṃ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vedan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uppajjati nandī. yā vedanāsu nandī tadupādānaṃ, tass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08&wr_id=6

 

그는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사랑스러운 색(色)들을 친밀하고, 사랑스럽지 않은 색(色)들에 대해 거슬린다. 몸에 대한 사띠를 확립하지 못한 채 작은 심(心)으로 머문다. 그리고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남김없이 소멸하는 곳인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이렇게 해서 그는 장애를 따르게 된다. 즐겁거나 괴롭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어떤 느낌을 경험하더라도 그는 그 느낌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문다. 그 느낌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무는 그에게 소망이 생긴다. 느낌에 대한 소망이 있는 그에게 집착[취(取)]이 있다. 그에게 집착을 조건으로 존재[유(有)]가 있고,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생(生)]이 있고,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노사(老死)]과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이 생긴다. 이렇게 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의 자라남[고집(苦集)]이 있다.(여섯에 반복)


“so cakkhunā rūpaṃ disvā piyarūpe rūpe na sārajjati, appiyarūpe rūpe na byāpajjati, upaṭṭhitakāyasati ca viharati appamāṇacetaso. t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yathābhūtaṃ pajānāti — yatthassa te pāpakā akusalā dhammā aparisesā nirujjhanti. so evaṃ anurodhavirodhavippahīno yaṃ kiñci vedanaṃ vedeti,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so taṃ vedanaṃ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vedanaṃ anabhinandato anabhivadato anajjhosāya tiṭṭhato yā vedanāsu nandī sā nirujjhati. tassa nandī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bhavanirodhā jātinirodho, jātinirodh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nirujjh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i.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08&wr_id=7

 

그는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사랑스러운 색(色)들을 친밀하지 않고, 사랑스럽지 않은 색(色)들에 대해 거슬리지 않는다. 몸에 대한 사띠를 확립하여 무량한 심(心)으로 머문다. 그리고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남김없이 소멸하는 곳인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렇게 해서 그는 장애를 따르지 않게 된다. 즐겁거나 괴롭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어떤 느낌을 경험하더라도 그는 그 느낌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다. 그 느낌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 그에게 느낌에 대한 소망이 소멸한다. 그에게 소망이 소멸할 때 집착[취(取)]이 소멸하고, 집착이 소멸할 때 존재[유(有)]가 소멸하고, 존재가 소멸할 때 태어남[생(生)]이 소멸하고, 태어남이 소멸할 때 늙음-죽음[노사(老死)]과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이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


2. puṇṇovādasuttaṃ (MN 145-뿐나를 위한 가르침 경) ≒ puṇṇasuttaṃ (SN 35.88-뿐나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5_03&wr_id=1

 

 

“santi kho, puṇṇ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ṃ 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uppajjati nandī. ‘nandīsamudayā dukkhasamudayo, puṇṇā’ti vadāmi.


“뿐나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무는 그에게 소망이 생긴다. ‘뿐나여, 소망이 자라날 때 괴로움이 자라난다.’라고 나는 말한다.(여섯에 반복)


“santi ca kho, puṇṇ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ṃ 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nabhinandato anabhivadato anajjhosāya tiṭṭhato nandī nirujjhati. ‘nandīnirodhā dukkhanirodho, puṇṇā’ti vadāmi.


뿐나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 그에게 소망이 소멸한다. ‘뿐나여, 소망이 소멸할 때 괴로움이 소멸한다.’라고 나는 말한다.(여섯에 반복)


3. chachakkasuttaṃ (MN 148-육육(六六)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5_06&wr_id=2

 

“cakkhuñca, bhikkhave, paṭicca rūpe ca uppajjati cakkhuviññāṇaṃ, tiṇṇaṃ saṅgati phasso, 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so sukhāya vedanāya phuṭṭho samāno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rāgānusayo anuseti. dukkhāya vedanāya phuṭṭho samāno socati kilamati paridevati urattāḷiṃ kandati sammohaṃ āpajjati. tassa paṭighānusayo anuseti. adukkhamasukhāya vedanāya phuṭṭho samāno tassā vedanāya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nappajānāti. tassa avijjānusayo anuseti. so vata, bhikkhave, sukhāya vedanāya rāgānusayaṃ appahāya dukkhāya vedanāya paṭighānusayaṃ appaṭivinodetvā adukkhamasukhāya vedanāya avijjānusayaṃ asamūhanitvā avijjaṃ appahāya vijjaṃ anuppādetvā diṭṭheva dhamme dukkhassantakaro bhavissatīti — netaṃ ṭhānaṃ vijjati.


비구들이여, 안(眼)과 색(色)들을 조건으로 안식(眼識)이 생기며, 셋의 만남이 촉(觸)이고, 촉(觸)을 조건으로 즐겁거나 괴롭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 생긴다. 그 즐거운 느낌에 닿아있는 자는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문다. 그에게 탐(貪)의 잠재성향이 잠재한다. 괴로운 느낌에 닿아있는 자는 슬퍼하고 힘들어하고 비탄에 빠지고 가슴을 치며 울부짖고 당황한다. 그에게 저항의 잠재성향이 잠재한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에 닿아있는 자는 그 느낌의 자라남과 줄어듦과 매력과 위험과 해방을 꿰뚫어 알지 못한다. 그에게 무명의 잠재성향이 잠재한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그가 즐거운 느낌에 대한 탐의 잠재성향을 버리지 못하고, 괴로운 느낌에 대한 저항의 잠재성향을 제거하지 못하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무명의 잠재성향을 뿌리 뽑지 못하고, 무명을 버리지 못하고 명을 일으키지 못한 채 지금여기에서 괴로움의 끝을 만들 것이라는 그런 경우는 없다.(여섯에 반복)


“cakkhuñca, bhikkhave, paṭicca rūpe ca uppajjati cakkhuviññāṇaṃ, tiṇṇaṃ saṅgati phasso, 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so sukhāya vedanāya phuṭṭho samāno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tassa rāgānusayo nānuseti. dukkhāya vedanāya phuṭṭho samāno na socati na kilamati paridevati na urattāḷiṃ kandati na sammohaṃ āpajjati. tassa paṭighānusayo nānuseti. adukkhamasukhāya vedanāya phuṭṭho samāno tassā vedanāya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tassa avijjānusayo nānuseti. so vata, bhikkhave, sukhāya vedanāya rāgānusayaṃ pahāya dukkhāya vedanāya paṭighānusayaṃ paṭivinodetvā adukkhamasukhāya vedanāya avijjānusayaṃ samūhanitvā avijjaṃ pahāya vijjaṃ uppādetvā diṭṭheva dhamme dukkhassantakaro bhavissatīti — ṭhānametaṃ vijjati.


비구들이여, 안(眼)과 색(色)들을 조건으로 안식(眼識)이 생기며, 셋의 만남이 촉(觸)이고, 촉(觸)을 조건으로 즐겁거나 괴롭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 생긴다. 그 즐거운 느낌에 닿은 자는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다. 그에게 탐의 잠재성향이 잠재하지 않는다. 괴로운 느낌에 닿은 자는 슬퍼하지 않고 힘들어하지 않고 비탄에 빠지지 않고 가슴을 치며 울부짖지 않고 당황하지 않는다. 그에게 저항의 잠재성향이 잠재하지 않는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에 닿은 자는 그 경험의 자라남과 줄어듦과 매력과 위험과 해방을 꿰뚫어 안다. 그에게 무명의 잠재성향이 잠재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그가 즐거운 느낌에 대한 탐의 잠재성향을 버리고, 괴로운 느낌에 대한 저항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무명의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무명을 버리고 명을 일으킨 뒤에 지금여기에서 괴로움의 끝을 만들 것이라는 그런 경우는 있다.(여섯에 반복)


[2] 상윳따 니까야


1. (SN 22-온(蘊) 상윳따) ― samādhisuttaṃ (SN 22.5-삼매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3_01&wr_id=13

 

“ko ca, bhikkhave, rūpassa samudayo, ko vedanāya samudayo, ko saññāya samudayo, ko saṅkhārānaṃ samudayo, ko viññāṇassa samudayo? idha, bhikkhav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색(色)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수(受)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상(想)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행(行)들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식(識)의 자라남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문다.


“kiñca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rūpaṃ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rūp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uppajjati nandī. yā rūpe nandī tadupādānaṃ. tassupādānapaccayā bhavo; bhavapaccayā jā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그러면 무엇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무는가? 색(色)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문다. 색(色)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무는 그에게 소망(所望)이 생긴다. 색(色)에 대한 소망이 있는 그에게 집착[취(取)]이 있다. 그에게 집착을 조건으로 존재[유(有)]가 있고,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생(生)]이 있고,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노사(老死)]과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이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고집(苦集)].(다섯에 반복)


“ko ca, bhikkhave, rūpassa atthaṅgamo, ko vedanāya... ko saññāya... ko saṅkhārānaṃ... ko viññāṇassa atthaṅgamo? idha, bhikkhave,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색(色)의 줄어듦이고, 무엇이 수(受)의 줄어듦이고, 무엇이 상(想)의 줄어듦이고, 무엇이 행(行)들의 줄어듦이고, 무엇이 식(識)의 줄어듦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다.


“kiñca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rūpaṃ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tassa rūpaṃ anabhinandato anabhivadato anajjhosāya tiṭṭhato yā rūpe nandī sā nirujjhati. tassa nandīnirodhā upādānanirodh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 pe ...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i.


그러면 무엇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가? 색(色)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다. 색(色)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 그에게 색(色)에 대한 소망이 소멸한다. 그에게 소망이 소멸할 때 집착[취(取)]이 소멸한다. 집착이 소멸할 때 존재[유(有)]가 소멸하고, 존재가 소멸할 때 태어남[생(生)]이 소멸하고, 태어남이 소멸할 때 늙음-죽음[노사(老死)]과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이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고멸(苦滅)].(다섯에 반복)


2. (SN 35-육처(六處) 상윳따)


1) paṭhamamigajālasuttaṃ (SN 35.63-미가잘라 경1)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24

 

“santi kho, migajāl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uppajjati nandī. nandiyā sati sārāgo hoti; sārāge sati saṃyogo hoti. nandisaṃyojanasaṃyutto kho, migajāla, bhikkhu sadutiyavihārīti vuccati … evaṃvihārī ca, migajāla, bhikkhu kiñcāpi araññavanapatthāni pantāni senāsanāni paṭisevati appasaddāni appanigghosāni vijanavātāni manussarāhasseyyakāni paṭisallānasāruppāni; atha kho sadutiyavihārīti vuccati. taṃ kissa hetu? taṇhā hissa dutiyā, sāssa appahīnā. tasmā sadutiyavihārī”ti vuccati.


“미가잘라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무는 비구에게 소망이 생긴다. 소망이 있을 때 친밀이 있고, 친밀이 있을 때 속박이 있다. 미가잘라여, 소망의 족쇄에 묶인 비구가 짝과 함께 머무는 자라고 불린다.(여섯에 반복) … 비구여, 이렇게 머무는 비구는 조용하고 소음이 없고 외로운 곳, 사람들로부터 멀고 혼자 머묾에 적합한 외딴 거처, 숲이나 밀림의 깊은 곳에 머문다 하더라도 짝과 함께 머무는 자라고 불린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참으로 짝인 애(愛)가 버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짝과 함께 머무는 자라고 불린다.


“santi ca kho, migajāl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nabhinandato anabhivadato anajjhosāya tiṭṭhato nandī nirujjhati. nandiyā asati sārāgo na hoti; sārāge asati saṃyogo na hoti. nandisaṃyojanavisaṃyutto kho, migajāla, bhikkhu ekavihārīti vuccati … evaṃvihārī ca, migajāla, bhikkhu kiñcāpi gāmante viharati ākiṇṇo bhikkhūhi bhikkhunīhi upāsakehi upāsikāhi rājūhi rājamahāmattehi titthiyehi titthiyasāvakehi. atha kho ekavihārīti vuccati. taṃ kissa hetu? taṇhā hissa dutiyā, sāssa pahīnā. tasmā ekavihārīti vuccatī”ti.


미가잘라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 비구에게 소망이 소멸한다. 소망이 없을 때 친밀이 없고, 친밀이 없을 때 속박이 없다. 미가잘라여, 소망의 족쇄로부터 풀려난 비구가 혼자 머무는 자라고 불린다.(여섯에 반복) … 비구여, 이렇게 머무는 비구는 비구, 비구니, 남신자, 여신자, 왕, 왕의 으뜸 신하, 외도, 외도의 제자들로 붐비는 마을 안에 머문다 하더라도 혼자 머무는 자라고 불린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참으로 짝인 애(愛)가 버려졌다. 그래서 혼자 머무는 자라고 불린다.

 

2) dutiyamigajālasuttaṃ (SN 35.64-미가잘라 경2)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25

 

“santi kho, migajāl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uppajjati nandī. nandisamudayā dukkhasamudayo, migajālāti vadāmi


미가잘라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무는 비구에게 소망이 생긴다. 미가잘라여, 소망이 자라날 때 괴로움이 자라난다고 나는 말한다.(여섯에 반복)


“santi ca kho, migajāl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nabhinandato anabhivadato anajjhosāya tiṭṭhato nandī nirujjhati. nandinirodhā dukkhanirodho, migajālāti vadāmi 


“미가잘라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 비구에게 소망이 소멸한다. 미가잘라여, 소망이 소멸할 때 괴로움이 소멸한다고 나는 말한다.(여섯에 반복)


3) saṃvarasuttaṃ (SN 35.98-단속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38 


“saṃvarañca vo, bhikkhave, desessāmi, asaṃvarañca. taṃ suṇātha. kathañca, bhikkhave, asaṃvaro hoti?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 evaṃ kho, bhikkhave, asaṃvaro hoti.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단속과 단속 아님을 설하겠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무엇이 단속 아님인가?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는 유익한 법들로부터 쇠퇴한다. 이것이 쇠퇴라고 세존은 말씀하셨다.’라고 알아야 한다.(여섯에 반복) … 비구들이여, 이렇게 단속 아님이 있다.


“kathañca, bhikkhave, saṃvaro hoti?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na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a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 evaṃ kho, bhikkhave, saṃvaro hotī”ti. pañcamaṃ. 


비구들이여, 무엇이 단속인가?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는 유익한 법들로부터 쇠퇴하지 않는다. 이것이 쇠퇴 아님이라고 세존은 말씀하셨다.’라고 알아야 한다.(여섯에 반복) … 비구들이여, 이렇게 단속이 있다.


4) paṭhamamārapāsasuttaṃ (SN 35.114-마라의 올가미 경1)/dutiyamārapāsasuttaṃ (SN 35.115-마라의 올가미 경2)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1&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2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āvāsagato mārassa, mārassa vasaṃ gato, paṭimukkassa mārapāso. baddho so mārabandhanena yathākāmakaraṇīyo pāpimato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비구들이여, 이것이 ‘비구는 마라의 집으로 들어갔고, 마라의 영향력 안으로 들어갔고, 마라의 올가미에 조여졌고, 마라의 족쇄에 의해 구속된 그는 빠삐만이 원하는 대로 해야 한다.’라고 불린다.(여섯에 반복)


“santi ca kho,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nāvāsagato mārassa, na mārassa vasaṃ gato, ummukkassa mārapāso. mutto so mārabandhanena na yathākāmakaraṇīyo pāpimato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비구들이여, 이것이 ‘비구는 마라의 집으로 들어가지 않았고, 마라의 영향력 안으로 들어가지 않았고, 마라의 올가미에서 머리를 빼내었고, 마라의 족쇄에서 풀려난 그는 빠삐만이 원하는 대로 해야 하지 않는다.’라고 불린다.(여섯에 반복)


5) sakkapañhasuttaṃ (SN 35.118-삭까의 질문 경)/pañcasikhasuttaṃ (SN 35.119-빤짜시카 경)/vesālīsuttaṃ (SN 35.124-웨살리 경)/vajjīsuttaṃ (SN 35.125-왓지 경)/nāḷandasuttaṃ (SN 35.126-날란다 경)/soṇasuttaṃ (SN 35.128-소나 경)/nakulapitusuttaṃ (SN 35.131-나꿀라삐따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3/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4/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5/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6/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7/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8/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9

 

“santi kho, devānamind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tannissitaṃ viññāṇaṃ hoti tadupādānaṃ. saupādāno, devānaminda, bhikkhu no parinibbāyati 


“신들의 왕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무는 그에게 식(識)은 그것을 의지하고 그것을 집착한다. 신들의 왕이여, 집착이 있는 비구는 완전히 열반하지 못한다.(여섯에 반복)


“santi ca kho, devānamind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anabhinandato anabhivadato anajjhosāya tiṭṭhato na tannissitaṃ viññāṇaṃ hoti, na tadupādānaṃ. anupādāno, devānaminda, bhikkhu parinibbāyati 


신들의 왕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는 그에게 식(識)은 그것을 의지하지 않고 그것을 집착하지 않는다. 신들의 왕이여, 집착이 없는 비구는 완전히 열반한다.(여섯에 반복)


5) bāḷisikopamasuttaṃ (SN 35.230-낚시꾼 비유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

 

“seyyathāpi, bhikkhave, bāḷisiko āmisagatabaḷisaṃ gambhīre udakarahade pakkhipeyya. tamenaṃ aññataro āmisacakkhu maccho gileyya. evañhi so, bhikkhave, maccho gilitabaḷiso bāḷisikassa anayaṃ āpanno byasanaṃ āpanno yathākāmakaraṇīyo bāḷisikassa.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낚시꾼이 미끼 달린 낚싯바늘을 깊은 호수에 던질 것이다. 그것을 미끼를 본 어떤 물고기가 삼킬 것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미끼를 삼킨 그 물고기는 낚시꾼을 위해 곤경에 처하고 불행에 떨어지고 낚시꾼이 원하는 대로 해야 한다.


evameva kho, bhikkhave, chayime baḷisā lokasmiṃ anayāya sattānaṃ vadhāya pāṇinaṃ. katame cha?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gilitabaḷiso, mārassa anayaṃ āpanno byasanaṃ āpanno yathākāmakaraṇīyo pāpimato 


이처럼, 비구들이여, 세상에는 중생들의 곤경을 위하고, 생명의 파멸을 위한 이런 여섯 가지 낚싯바늘이 있다. 무엇이 여섯인가?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비구들이여, 이것이 ‘낚싯바늘을 삼킨 비구는 마라를 위해 곤경에 처하고 불행에 떨어지고 빠삐만이 원하는 대로 해야 한다.’라고 불린다.(여섯에 반복)

 

“santi ca,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na gilitabaḷiso mārassa abhedi baḷisaṃ paribhedi baḷisaṃ na anayaṃ āpanno na byasanaṃ āpanno na yathākāmakaraṇīyo pāpimato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비구들이여, 이것이 ‘낚싯바늘을 삼키지 않은 비구는 마라의 낚싯바늘을 부수었다. 낚싯바늘을 완전히 부수어 곤경에 처하지 않고 불행에 떨어지지 않고 빠삐만이 원하는 대로 해야 하지 않는다.’라고 불린다.(여섯에 반복)

Comments

아빈뇨 06.10 00:2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