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을 가진 자」

▣ 주제의 확장 ―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을 가진 자」


1. sampasādanīyasuttaṃ, iddhividhadesanā (DN 28.16-믿음을 고양하는 경, 신통(神通)을 구성하는 것들에 대한 법문)


“aparaṃ pana, bhante, etadānuttariyaṃ, yathā bhagavā dhammaṃ deseti iddhividhāsu. dvemā, bhante, iddhividhāyo — atthi, bhante, iddhi sāsavā saupadhikā, ‘no ariyā’ti vuccati. atthi, bhante, iddhi anāsavā anupadhikā ‘ariyā’ti vuccati. “katamā ca, bhante, iddhi sāsavā saupadhikā, ‘no ariyā’ti vuccati? idha, bhante, ekacco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ātappamanvāya ... pe ... tathārūpaṃ cetosamādhiṃ phusati(*), yathāsamāhite citte anekavihitaṃ iddhividhaṃ paccanubhoti. ekopi hutvā bahudhā hoti, bahudhāpi hutvā eko hoti; āvibhāvaṃ tirobhāvaṃ tirokuṭṭaṃ tiropākāraṃ tiropabbataṃ asajjamāno gacchati seyyathāpi ākāse. pathaviyāpi ummujjanimujjaṃ karoti, seyyathāpi udake. udakepi abhijjamāne gacchati, seyyathāpi pathaviyaṃ. ākāsepi pallaṅkena kamati, seyyathāpi pakkhī sakuṇo. imepi candimasūriye evaṃmahiddhike evaṃmahānubhāve pāṇinā parāmasati parimajjati. yāva brahmalokāpi kāyena vasaṃ vatteti. ayaṃ, bhante, iddhi sāsavā saupadhikā, ‘no ariyā’ti vuccati.

 

(*) ātappamanvāya padhānamanvāya anuyogamanvāya appamādamanvāya sammāmanasikāramanvāya tathārūpaṃ cetosamādhiṃ phusati

 

나아가, 대덕이시여, 세존께서 신통(神通)을 구성하는 것들에 대한 법을 설하신 이것은 위없는 것입니다. 대덕이시여, 이런 두 가지로 구성된 신통이 있습니다. ― 대덕이시여, 번뇌들과 함께하고 재생의 조건에 속한 것들과 함께한 신통이 있는데, ‘성스럽지 않은 것’이라고 불립니다. 대덕이시여, 번뇌들과 함께하지 않고 재생의 조건에 속한 것들과 함께하지 않는 신통이 있는데, ‘성스러운 것’이라고 불립니다. 대덕이시여, 무엇이 번뇌들과 함께하고 재생의 조건에 속한 것들과 함께한 신통이어서 ‘성스럽지 않은 것’이라고 불립니까? 여기, 대덕이시여,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은 노력하고 정진하고 실천하고 불방일하고 바르게 작의 한 것을 원인으로, 삼매를 닦을 때 다양한 신통을 구성하는 것들을 실현하는 그런 심(心)의 삼매[심삼매(心三昧)]를 성취합니다. 하나였다가 여럿이 되기도 하고, 여럿이었다가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드러내기도 하고 숨기도 하고, 분말과 성벽과 산을 가로지르기를 허공에서처럼 닿지 않고 갑니다. 땅에서도 물에서처럼 떠오르고 들어갑니다. 물에서도 땅에서처럼 빠지지 않고 갑니다. 허공에서도 가부좌하고 날개 달린 새처럼 갑니다. 이렇게 강력하고 웅장한 저 달과 해를 손으로 닿아 쓰다듬습니다. 범천의 세상까지도 몸으로 나아갑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번뇌들과 함께하고 재생의 조건에 속한 것들과 함께한 신통이어서 ‘성스럽지 않은 것’이라고 불립니다.


“katamā pana, bhante, iddhi anāsavā anupadhikā, ‘ariyā’ti vuccati? idha, bhante, bhikkhu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añca ap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 ayaṃ, bhante, iddhi anāsavā anupadhikā ‘ariyā’ti vuccati. etadānuttariyaṃ, bhante, iddhividhāsu. taṃ bhagavā asesamabhijānāti, taṃ bhagavato asesamabhijānato uttari abhiññeyyaṃ natthi, yadabhijānaṃ añño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bhagavatā bhiyyobhiññataro assa yadidaṃ iddhividhāsu.

 

대덕이시여, 무엇이 번뇌들과 함께하지 않고 재생의 조건에 속한 것들과 함께하지 않는 신통이어서 ‘성스러운 것’이라고 불립니까? 대덕이시여, 여기 비구는 만약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의 들 모두를 버린 뒤에 평정과 사띠와 삼빠잔냐를 가지고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평정과 사띠와 삼빠잔냐를 가지고 거기에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번뇌들과 함께하지 않고 재생의 조건에 속한 것들과 함께하지 않는 신통이어서 ‘성스러운 것’이라고 불립니다. 대덕이시여, 신통(神通)을 구성하는 것들에 대한 이것도 위없는 것입니다. 세존께서는 그것을 남김없이 실답게 아십니다. 그것을 남김없이 실답게 아시는 세존에게, 신통(神通)을 구성하는 것들에 대해 더욱 실다운 지혜로써 세존을 넘어선 실답게 아는 어떤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이 있을 것이어서, 이 이상 더 실답게 알아야 하는 것은 없습니다. 


2. indriyabhāvanāsuttaṃ (MN 152-기능수행 경)


“kathañcānanda, ariyo hoti bhāvitindriyo? idhānanda,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uppajjati manāpaṃ, uppajjati amanāpaṃ, uppajjati manāpāmanāpaṃ. so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añca ap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여섯에 반복)


"아난다여, 그러면 어떻게 성자(聖者)는 기능을 닦은 자인가? 아난다여, 비구에게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마음에 드는 것이 생기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 생기고, 마음에 들기도 하고 마음에 들지 않기도 한 것이 생긴다. 만약 그가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혐오하지 않음과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의 들 모두를 버린 뒤에 평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가지고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평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가지고 거기에 머문다.


3. mettāsahagatasuttaṃ (SN 46.54-자(慈)와 함께함 경)


“kathaṃ bhāvitā ca, bhikkhave, mettācetovimutti, kiṃgatikā hoti, kiṃparamā, kiṃphalā, kiṃpariyosānā? idha, bhikkhave, bhikkhu mettāsahagataṃ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 pe ... mettāsahagataṃ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so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añca 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ca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 subhaṃ vā kho pana vimokkhaṃ upasampajja viharati. subhaparamāhaṃ, bhikkhave, mettācetovimuttiṃ vadāmi, idhapaññassa bhikkhuno uttarivimuttiṃ appaṭivijjhato.


그러면 비구들이여, 자심해탈(慈心解脫)은 어떻게 닦여진 것인가? 어디로 이끌고, 무엇이 최상이고, 무엇이 과(果)이고, 무엇이 완성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 자(慈)가 함께한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자(慈)가 함께한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만약 그가 ①‘혐오않음에서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②‘혐오에서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③‘혐오않음과 혐오에서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④‘혐오와 혐오않음에서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⑤‘혐오않음과 혐오에서 둘 모두를 피하면서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거기에 머문다. 또는 ⑥깨끗함[정(淨)]의 해탈을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여기서 지혜를 가진 비구가 더 높은 해탈을 꿰뚫지 못할 때 자심해탈(慈心解脫)은 깨끗함[정(淨)]이 궁극이라고 나는 말한다. 


“kathaṃ bhāvitā ca, bhikkhave, karuṇācetovimutti, kiṃgatikā hoti, kiṃparamā, kiṃphalā, kiṃpariyosānā? idha, bhikkhave, bhikkhu karuṇāsahagataṃ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 pe ... karuṇāsahagataṃ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so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 pe ...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añca 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 sabbaso vā pana rūpasaññānaṃ samatikkamā paṭighasaññānaṃ atthaṅgamā nānattasaññānaṃ amanasikārā ‘ananto ākāso’ti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ākāsānañcāyatanaparamāhaṃ, bhikkhave, karuṇācetovimuttiṃ vadāmi, idhapaññassa bhikkhuno uttarivimuttiṃ appaṭivijjhato.


그러면 비구들이여, 비심해탈(悲心解脫)은 어떻게 닦여진 것인가? 어디로 이끌고, 무엇이 최상이고, 무엇이 과(果)이고, 무엇이 완성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 비(悲)가 함께한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비(悲)가 함께한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만약 그가 ①‘혐오않음에서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 ⑤‘혐오않음과 혐오에서 둘 모두를 피하면서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거기에 머문다. 또는 ⑥색상(色想)들의 완전한 초월로부터, 저항의 상(想)들의 줄어듦으로부터, 다양함의 상(想)들을 작의(作意) 않음으로부터 ‘무한한 공간’이라는 공무변처(空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여기서 지혜를 가진 비구가 더 높은 해탈을 꿰뚫지 못할 때 비심해탈(悲心解脫)은 공무변처(空無邊處)가 궁극이라고 나는 말한다. 


“kathaṃ bhāvitā ca, bhikkhave, muditācetovimutti, kiṃgatikā hoti, kiṃparamā, kiṃphalā, kiṃpariyosānā? idha, bhikkhave, bhikkhu muditāsahagataṃ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 pe ... muditāsahagataṃ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so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 pe ...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añca 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 sabbaso vā pana ākāsānañcāyatanaṃ samatikkamma ‘anantaṃ viññāṇan’ti viññāṇ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viññāṇañcāyatanaparamāhaṃ, bhikkhave, muditācetovimuttiṃ vadāmi, idhapaññassa bhikkhuno uttarivimuttiṃ appaṭivijjhato.


그러면 비구들이여, 희심해탈(喜心解脫)은 어떻게 닦여진 것인가? 어디로 이끌고, 무엇이 최상이고, 무엇이 과(果)이고, 무엇이 완성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 희(喜)가 함께한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희(喜)가 함께한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만약 그가 ①‘혐오않음에서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 ⑤‘혐오않음과 혐오에서 둘 모두를 피하면서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거기에 머문다. 또는 ⑥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무한한 식(識)’이라는 식무변처(識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여기서 지혜를 가진 비구가 더 높은 해탈을 꿰뚫지 못할 때 희심해탈(悲心解脫)은 식무변처(識無邊處)가 궁극이라고 나는 말한다. 


“kathaṃ bhāvitā ca, bhikkhave, upekkhācetovimutti, kiṃgatikā hoti, kiṃparamā, kiṃphalā, kiṃpariyosānā? idha, bhikkhave, bhikkhu upekkhāsahagataṃ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 pe ... upekkhāsahagataṃ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so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appaṭikūlañca 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 sabbaso vā pana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ākiñcaññāyatanaparamāhaṃ, bhikkhave, upekkhācetovimuttiṃ vadāmi, idhapaññassa bhikkhuno uttarivimuttiṃ appaṭivijjhato”ti. catutthaṃ. 


그러면 비구들이여, 사심해탈(捨心解脫)은 어떻게 닦여진 것인가? 어디로 이끌고, 무엇이 최상이고, 무엇이 과(果)이고, 무엇이 완성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사(捨)가 함께한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사(捨)가 함께한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만약 그가 ①‘혐오않음에서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②‘혐오에서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③‘혐오않음과 혐오에서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④‘혐오와 혐오않음에서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혐오않음의 상(想)을 가진 자로 거기에 머문다. 만약 ⑤‘혐오않음과 혐오에서 둘 모두를 피하면서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머물리라.’라고 바라면 염(念)-정지(正知)하며 평정하게 거기에 머문다. 또는 ⑥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아무 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여기서 지혜를 가진 비구가 더 높은 해탈을 꿰뚫지 못할 때 사심해탈(捨心解脫)은 무소유처(無所有處)가 궁극이라고 나는 말한다. 


4. paṭhamarahogatasuttaṃ (SN 52.1-외딴곳에 감 경1)


atha kho āyasmā mahāmoggallāno āyasmantaṃ anuruddhaṃ etadavoca — “kittāvatā nu kho, āvuso anuruddha, bhikkhuno cattāro satipaṭṭhānā āraddhā hontī”ti?


마하목갈라나 존자는 아누룻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 “도반 아누룻다여, 얼마만큼 비구가 사념처에 확고합니까?”


“idhāvuso, bhikkhu ajjhattaṃ kāye samudayadhammānupassī viharati, ajjhattaṃ kāye vayadhammānupassī viharati, ajjhattaṃ kāye samudayavaya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bahiddhā kāye samudayadhammānupassī viharati, bahiddhā kāye vayadhammānupassī viharati, bahiddhā kāye samudayavaya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ajjhattabahiddhā kāye samudayadhammānupassī viharati, ajjhattabahiddhā kāye vayadhammānupassī viharati, ajjhattabahiddhā kāye samudayavaya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도반이여, 여기 비구는 안으로 자라나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안으로 무너지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안으로 자라나고 무너지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밖으로 자라나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밖으로 무너지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밖으로 자라나고 무너지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안팎으로 자라나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안팎으로 무너지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안팎으로 자라나고 무너지는 법을 이어보면서 몸에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so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ppaṭikūlasaññī tattha viharati; sace ākaṅkhati — ‘appaṭikūlañca 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upekkhako tattha viharati sato sampajāno.


만약 그가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하지 않음과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거기에 머뭅니다. 만약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의 둘 모두를 버린 뒤에 평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가지고 머물러야겠다.’라고 원하면, 평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가지고 거기에 머뭅니다.


… (신-수-심-법에 반복) …


5. padīpopamasuttaṃ (SN 54.8-등불 비유 경)


“tasmātiha, bhikkhave, bhikkhu cepi ākaṅkheyya —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yameva ānāpānassatisamādhi sādhukaṃ manasi kātabbo.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기를!’이라고 바란다면, 오직 이것,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의 삼매를 잘 사고해야 한다.


“tasmātiha, bhikkhave, bhikkhu cepi ākaṅkheyya —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yameva ānāpānassatisamādhi sādhukaṃ manasi kātabbo.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기를!’이라고 바란다면, 오직 이것,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의 삼매를 잘 사고해야 한다.


“tasmātiha, bhikkhave, bhikkhu cepi ākaṅkheyya —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yameva ānāpānassatisamādhi sādhukaṃ manasi kātabbo.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기를!’이라고 바란다면, 오직 이것,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의 삼매를 잘 사고해야 한다.


“tasmātiha, bhikkhave, bhikkhu cepi ākaṅkheyya —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n’ti, ayameva ānāpānassatisamādhi sādhukaṃ manasi kātabbo.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기를!’이라고 바란다면, 오직 이것,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의 삼매를 잘 사고해야 한다.


“tasmātiha, bhikkhave, bhikkhu cepi ākaṅkheyya — ‘appaṭikūlañca 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ṃ sato sampajāno’ti, ayameva ānāpānassatisamādhi sādhukaṃ manasi kātabbo.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혐오하지 않음과 혐오함의 둘 모두를 버린 뒤에 평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가지고 머물기를!’이라고 바란다면, 오직 이것,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의 삼매를 잘 사고해야 한다.


6. tikaṇḍakīsuttaṃ (AN 5.144-띠깐다끼 경)


“sādhu, bhikkhave, bhikkhu kālena kālaṃ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sādhu, bhikkhave, bhikkhu kālena kālaṃ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sādhu, bhikkhave, bhikkhu kālena kālaṃ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sādhu, bhikkhave, bhikkhu kālena kālaṃ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sādhu, bhikkhave, bhikkhu kālena kālaṃ paṭikūlañca ap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 sato sampajāno.


“비구들이여, 비구는 때때로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때때로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때때로 혐오하지 않음과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때때로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때때로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의 들 모두를 버린 뒤에 염(念)-정지(正知)하여 평정하게 머물러야 한다.


“kiñca,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mā me rajanīyesu dhammesu rāgo udapādī’ti — idaṃ kho,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appaṭikūle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떤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하는가? ‘ 탐(貪)하기 마련[유쾌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탐(貪)이 일어나지 말기를’이라고,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kiñca,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mā me dosanīyesu dhammesu doso udapādī’ti — idaṃ kho,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paṭikūle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떤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하는가? ‘거부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진(嗔)이 일어나지 말기를’이라고,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kiñca,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mā me rajanīyesu dhammesu rāgo udapādi, mā me dosanīyesu dhammesu doso udapādī’ti — idaṃ kho,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appaṭikūle ca paṭikūle ca 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떤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하지 않음과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하는가? ‘탐(貪)하기 마련[유쾌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탐(貪)이 일어나지 말기를. 거부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진(嗔)이 일어나지 말기를’이라고,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하지 않음과 혐오함에 대해 혐오하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kiñca,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mā me dosanīyesu dhammesu doso udapādi, mā me rajanīyesu dhammesu rāgo udapādī’ti — idaṃ kho,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paṭikūle ca appaṭikūle ca appaṭikūlasaññī vihareyya.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떤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하는가? ‘거부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진(嗔)이 일어나지 말기를. 탐(貪)하기 마련[유쾌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탐(貪)이 일어나지 말기를’이라고,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에 대해 혐오하지 않는 상(想)으로 머물러야 한다.


“kiñca,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paṭikūlañca ap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 ‘sato sampajāno mā me kvacani katthaci kiñcanaṃ rajanīyesu dhammesu rāgo udapādi, mā me kvacani katthaci kiñcanaṃ dosanīyesu dhammesu doso udapādi, mā me kvacani katthaci kiñcanaṃ mohanīyesu dhammesu moho udapādī’ti — idaṃ kho, bhikkhave, bhikkhu atthavasaṃ paṭicca paṭikūlañca appaṭikūlañca tadubhayaṃ abhinivajjetvā upekkhako vihareyya sato sampajāno”ti. catutthaṃ.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떤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의 들 모두를 버린 뒤에 평정과 사띠와 삼빠자나를 가지고 머물러야 하는가? ‘어디라도, 언제라도, 무엇이라도 탐(貪)하기 마련[유쾌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탐(貪)이 일어나지 말기를. 어디라도, 언제라도, 무엇이라도 거부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진(嗔)이 일어나지 말기를. 어디라도, 언제라도, 무엇이라도 열중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나에게 치(癡)가 일어나지 말기를.’이라고,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이유를 연(緣)하여 혐오함과 혐오하지 않음의 들 모두를 버린 뒤에 염(念)-정지(正知)하여 평정하게 머물러야 한다.”

Comments

대원행 07.24 20:02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5_10&wr_id=4 참조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마무리 수업) ― 152. 기능수행 경 & 관통 축하 인사[행하지 않음이 아니라 최선의 행위로 완성하는 불교]
아빈뇨 07.24 21:5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