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주제의 확장 ― 「saṃvara 단속」

▣ 주제의 확장 ― 「saṃvara 단속」


saṃvara(단속)은 기본적으로 그름(→고)을 피하고 옳음(→락)을 지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ati-sampajañña[염(念)-정지(正知)] 즉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행하는 것입니다. sato-sampajāno(사띠를가진 자-삼빠잔냐를 가진 자) 또는 ātāpī sampajāno satimā(알아차려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그름은 버리고 옳음으로 돌아가고, 옳음은 유지-향상하는 노력)의 형태로도 나타납니다.


saṃvara(단속)은 삶의 메커니즘의 5자리에서 용례가 발견되는데, 이런 이해의 타당성을 확인하게 됩니다. 특히, 다섯 번째 자리는 사념처의 완성 즉 사띠토대 위에서 진행되는 염오의 과정(사마타)이라는 점은 주목해야 합니다.


1. 신업(身業)-구업(口業) ― 계목(戒目)의 단속 : 몸과 말의 행위의 단속 ― (DN 2-사문과경) 등


“so evaṃ pabbajito samāno pātimokkhasaṃvarasaṃvuto viharati ācāragocarasampanno, aṇumattesu vajjesu bhayadassāvī, samādāya sikkhati sikkhāpadesu, kāyakammavacīkammena samannāgato kusalena, parisuddhājīvo sīlasampanno, indriyesu guttadvāro, satisampajaññena samannāgato, santuṭṭho.

 

이렇게 출가한 그는 계목(戒目)의 단속으로 단속하고, 행동의 영역을 갖추어 작은 결점에 대해서도 두려움을 보면서 머뭅니다. 받아들인 뒤 학습 계목들 위에서 공부합니다. 유익한 몸의 업과 말의 업을 갖추고, 생활이 청정하고, 계를 갖추고, 기능에서 문을 보호하고, 사띠와 삼빠자나를 갖추고, 만족합니다.”


2.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의 단속 : 몸과 말과 의(意)의 행위의 단속 ― (DN 2-사문과경) 등


so evaṃ pabbajito samāno kāyena saṃvuto vihareyya, vācāya saṃvuto vihareyya, manasā saṃvuto vihareyya, ghāsacchādanaparamatāya santuṭṭho, abhirato paviveke


이렇게 출가자가 된 그는 몸으로 단속하면서 머물고, 말로 단속하면서 머물고, 의(意)로 단속하면서 머물 것입니다. 먹고 입는 것을 절제하여 만족하면서 머물고, 여읨을 기뻐하면서 머물 것입니다.


• saṃvuta : restrained; shut; covered. (pp. of saṃvarati)

→ saṃvarati의 과거분사이고, saṃvarati는 saṃvara의 동사형


3. 인식의 제어 ― ①기능의 단속 : 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의근(意根)의 단속 ― (DN 2-사문과경) 등


▣ 주제의 확장(AN-11) - 「근(根-기능)의 단속(indriyasaṃvara)」 참조


“kathañca, mahārāja, bhikkhu indriyesu guttadvāro hoti? idha, mahārāja, bhikkhu cakkhunā rūpaṃ disvā na nimittaggāhī hoti nānub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enaṃ cakkhundriyaṃ asaṃvutaṃ viharantaṃ abhijjhā 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ssaveyyuṃ, tassa saṃ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cakkhundriyaṃ, cakkhundriye saṃvaraṃ āpajjati. sotena saddaṃ sutvā ... pe ... ghānena gandhaṃ ghāyitvā ... pe ... jivhāya rasaṃ sāyitvā ... pe ... kāyena phoṭṭhabbaṃ phusitvā ... pe ...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na nimittaggāhī hoti nānub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enaṃ manindriyaṃ asaṃvutaṃ viharantaṃ abhijjhā 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ssaveyyuṃ, tassa saṃ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manindriyaṃ, manindriye saṃvaraṃ āpajjati. so iminā ariyena indriyasaṃvarena samannāgato ajjhattaṃ abyāsekasukhaṃ paṭisaṃvedeti. evaṃ kho, mahārāja, bhikkhu indriyesu guttadvāro hoti.

 

어떻게, 대왕이여, 비구는 기능에서 문을 보호하는 자입니까? 여기, 대왕이여, 비구는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상(相)을 붙잡지 않고 뒤따르는 것(受)을 붙잡지 않습니다. 안근(眼根)을 단속하지 않고 머물면 간탐과 불만과 악한 불선법들이 흘러들어 올 것이기 때문에 그것의 단속을 위해 실천합니다. 안근을 보호하고, 안근에서 단속합니다. 이(耳)로 성(聲)을 들으면서 … 비(鼻)로 향(香)을 맡으면서 … 설(舌)로 미(味)를 맛보면서 … 신(身)으로 촉(觸)을 닿으면서 …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면서 상을 붙잡지 않고 뒤따르는 것을 붙잡지 않습니다. 의근(意根)을 단속하지 않고 머물면 간탐과 불만과 악한 불선법들이 흘러들어 올 것이기 때문에 그것의 단속을 위해 실천합니다. 의근을 보호하고, 의근에서 단속합니다. 이 성스러운 기능의 단속을 갖춘 그는 안으로 뿌려지지 않는 행복을 경험합니다. 이렇게, 대왕이여, 비구는 기능에서 문을 보호하는 자입니다.


4. 인식의 제어 ― ②육촉처(六觸處)의 단속 ― (SN 35.246-류트 비유 경)


“seyyathāpi, bhikkhave, kiṭṭhaṃ sampannaṃ. kiṭṭhārakkho ca pamatto, goṇo ca kiṭṭhādo aduṃ kiṭṭhaṃ otaritvā yāvadatthaṃ madaṃ āpajjeyya pamādaṃ āpajjeyya; evameva kho, bhikkhave, assutavā puthujjano chasu phassāyatanesu asaṃvutakārī pañcasu kāmaguṇesu yāvadatthaṃ madaṃ āpajjati pamādaṃ āpajjati.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옥수수가 무르익었고, 옥수수 지킴이는 방일하다. 옥수수를 먹는 소가 그런 익은 옥수수에 내려가면 원하는 만큼 먹을 것이고 주의하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배우지 못한 범부는 육촉처(六觸處)에서 단속을 행하지 않고,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에 대해 원하는 만큼 취할 것이고 주의하지 않을 것이다.


~


“seyyathāpi, bhikkhave, kiṭṭhaṃ sampannaṃ kiṭṭhārakkho ca appamatto goṇo ca kiṭṭhādo aduṃ kiṭṭhaṃ otareyya. tamenaṃ kiṭṭhārakkho nāsāyaṃ suggahitaṃ gaṇheyya. nāsāyaṃ suggahitaṃ gahetvā uparighaṭāyaṃ suniggahitaṃ niggaṇheyya. uparighaṭāyaṃ suniggahitaṃ niggahetvā daṇḍena sutāḷitaṃ tāḷeyya. daṇḍena sutāḷitaṃ tāḷetvā osajjeyya. dutiyampi kho, bhikkhave ... pe ... tatiyampi kho, bhikkhave, goṇo kiṭṭhādo aduṃ kiṭṭhaṃ otareyya. tamenaṃ kiṭṭhārakkho nāsāyaṃ suggahitaṃ gaṇheyya. nāsāyaṃ suggahitaṃ gahetvā uparighaṭāyaṃ suniggahitaṃ niggaṇheyya. uparighaṭāyaṃ suniggahitaṃ niggahetvā daṇḍena sutāḷitaṃ tāḷeyya. daṇḍena sutāḷitaṃ tāḷetvā osajjeyya. evañhi so, bhikkhave, goṇo kiṭṭhādo gāmagato vā araññagato vā, ṭhānabahulo vā assa nisajjabahulo vā na taṃ kiṭṭhaṃ puna otareyya — tameva purimaṃ daṇḍasamphassaṃ samanussaranto. evameva kho, bhikkhave, yato kho bhikkhuno chasu phassāyatanesu cittaṃ udujitaṃ hoti sudujitaṃ, ajjhattameva santiṭṭhati, sannisīdati, ekodi hoti, samādhiyati.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옥수수가 무르익었고, 옥수수 지킴이는 방일하지 않다. 옥수수를 먹는 소가 그런 익은 옥수수에 내려가면 그 옥수수 지킴이는 고삐를 단단히 잡을 것이다. 고삐를 단단히 잡은 뒤에 두 뿔 사이를 조일 것이다. 두 뿔 사이를 조인 뒤에 몰이 막대로 때릴 것이다. 몰이 막대로 때린 뒤에 몰아낼 것이다. 비구들이여, 두 번째도 … 비구들이여, 세 번째도 옥수수를 먹는 소가 그런 익은 옥수수에 내려가면 그 옥수수 지킴이는 고삐를 단단히 잡을 것이다. 고삐를 단단히 잡은 뒤에 두 뿔 사이를 조일 것이다. 두 뿔 사이를 조인 뒤에 몰이 막대로 때릴 것이다. 몰이 막대로 때린 뒤에 몰아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옥수수를 먹는 소는 마을로 가거나 숲으로 가거나 오래 서 있거나 오래 앉아 있거나 이전에 몰이 막대에 맞은 것을 기억하면서 그 익은 옥수수에 내려가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비구가 육촉처에서 심(心)을 올곧게 정복하고 잘 정복할 때 안으로 진정되고 가라앉고 집중되고 삼매에 들어진다.


5. 친밀의 단속 = 염오 :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음 ― (SN 35.98-단속 경)


kathañca, bhikkhave, asaṃvaro hoti?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 pe ... santi, bhikkhave, jivhāviññeyyā rasā ... pe ... santi, bhikkhave, manoviññeyyā dhamm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evaṃ kho, bhikkhave, asaṃvaro hoti.

 

비구들이여, 무엇이 단속 아님인가?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는 유익한 법들로부터 쇠퇴한다. 이것이 쇠퇴라고 세존은 말씀하셨다.’라고 알아야 한다. … 비구들이여, … 설(舌)로 인식되는 미(味)들이 있다. …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의(意)로 인식되는 법(法)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는 유익한 법들로부터 쇠퇴한다. 이것이 쇠퇴라고 세존은 말씀하셨다.’라고 알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단속 아님이 있다.


“kathañca, bhikkhave, saṃvaro hoti? santi, bhikkhave,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na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a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 pe ... santi, bhikkhave, jivhāviññeyyā rasā ... pe ... santi, bhikkhave, manoviññeyyā dhamm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tañce bhikkhu nābhinandati nābhivadati nājjhosāya tiṭṭhati, veditabbametaṃ bhikkhunā — ‘na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a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evaṃ kho, bhikkhave, saṃvaro hotī”ti. pañcamaṃ.

 

비구들이여, 무엇이 단속인가?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는 유익한 법들로부터 쇠퇴하지 않는다. 이것이 쇠퇴 아님이라고 세존은 말씀하셨다.’라고 알아야 한다. … 비구들이여, … 설(舌)로 인식되는 미(味)들이 있다. … 비구들이여,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좋아하기 마련인 의(意)로 인식되는 법(法)들이 있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기뻐하지 않고 드러내지 않고 묶여 머물지 않으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는 유익한 법들로부터 쇠퇴하지 않는다. 이것이 쇠퇴 아님이라고 세존은 말씀하셨다.’라고 알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단속이 있다.


6. 기타 ― ①몸에 대한 사띠와 단속 ― (SN 35.247-여섯 동물 비유 경)


“seyyathāpi, bhikkhave, puriso arugatto pakkagatto saravanaṃ paviseyya. tassa kusakaṇṭakā ceva pāde vijjheyyuṃ, sarapattāni ca gattāni vilekheyyuṃ. evañhi so, bhikkhave, puriso bhiyyosomattāya tatonidānaṃ dukkhaṃ domanassaṃ paṭisaṃvediyetha. evameva kho, bhikkhave, idhekacco bhikkhu gāmagato vā araññagato vā labhati vattāraṃ — ‘ayañca so āyasmā evaṃkārī evaṃsamācāro asucigāmakaṇṭako’ti. taṃ kaṇṭakoti iti viditvā saṃvaro ca asaṃvaro ca veditabbo.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몸에 상처가 있고 쇠약한 사람이 갈대숲에 들어갈 것이다. 그러면 꾸사 풀의 가시가 발을 찌를 것이고, 갈댓잎이 몸을 할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사람은 더욱 심하게 그로 인해 괴로움과 고뇌를 경험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여기 마을이나 숲에 간 어떤 비구는 이런 말을 듣는다. ― ‘이 존자는 이렇게 행동하는 자이고, 이런 품행을 가진 자이고, 마을의 오염된 가시이다.’라고. 그것은 가시라고 이렇게 안 뒤에 단속과 단속 아님이 알려져야 한다.


“kathañca, bhikkhave, asaṃvar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cakkhunā rūpaṃ disvā piyarūpe rūpe adhimuccati, appiyarūpe rūpe byāpajjati, anupaṭṭhitakāyassati ca viharati parittacetaso. t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yathābhūtaṃ nappajānāti, yatthassa te uppann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parisesā nirujjhanti. sotena saddaṃ sutvā... ghānena gandhaṃ ghāyitvā... jivhāya rasaṃ sāyitvā... kāyena phoṭṭhabbaṃ phusitvā...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piyarūpe dhamme adhimuccati, appiyarūpe dhamme byāpajjati, anupaṭṭhitakāyassati ca viharati parittacetaso, t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yathābhūtaṃ nappajānāti, yatthassa te uppann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parisesā nirujjhan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단속 아님이 있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안(眼)으로 색(色)을 보고서 사랑스러운 색(色)에 대해 기울고, 사랑스럽지 않은 색(色)에 대해 거부한다. 몸에 대한 사띠를 확립하지 않고 작은 심(心)으로 머문다. 그는 생겨난 그 악한 불선법들이 남김없이 소멸하는 자리인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 이(耳)로 성(聲)을 듣고서 … 비(鼻)로 향(香)을 맡고서 … 설(舌)로 미(味)를 맛보고서 … 신(身)으로 촉(觸)을 느끼고서 …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고서 사랑스러운 법(法)에 대해 기울고, 사랑스럽지 않은 법(法)에 대해 거부한다. 몸에 대한 사띠를 확립하지 않고 작은 심(心)으로 머문다. 그는 생겨난 그 악한 불선법들이 남김없이 소멸하는 자리인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seyyathāpi, bhikkhave, puriso chappāṇake gahetvā nānāvisaye nānāgocare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ahi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susumāra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pakkhi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kukkura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siṅgāla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makkaṭa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daḷhāya rajjuyā bandhitvā majjhe gaṇṭhiṃ karitvā ossajjeyya. atha kho, te, bhikkhave, chappāṇakā nānāvisayā nānāgocarā sakaṃ sakaṃ gocaravisayaṃ āviñcheyyuṃ — ahi āviñcheyya ‘vammikaṃ pavekkhāmī’ti, susumāro āviñcheyya ‘udakaṃ pavekkhāmī’ti, pakkhī āviñcheyya ‘ākāsaṃ ḍessāmī’ti, kukkuro āviñcheyya ‘gāmaṃ pavekkhāmī’ti, siṅgālo āviñcheyya ‘sīvathikaṃ pavekkhāmī’ti, makkaṭo āviñcheyya ‘vanaṃ pavekkhāmī’ti. yadā kho te, bhikkhave, chappāṇakā jhattā assu kilantā, atha kho yo nesaṃ pāṇakānaṃ balavataro assa tassa te anuvatteyyuṃ, anuvidhāyeyyuṃ vasaṃ gaccheyyuṃ. evameva kho, bhikkhave, yassa kassaci bhikkhuno kāyagatāsati abhāvitā abahulīkatā, taṃ cakkhu āviñchati manāpiyesu rūpesu, amanāpiyā rūpā paṭikūlā honti ... pe ... mano āviñchati manāpiyesu dhammesu, amanāpiyā dhammā paṭikūlā honti. evaṃ kho, bhikkhave, asaṃvaro hoti.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여러 대상과 여러 영역을 가진 여섯 생명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다. 뱀을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고, 악어를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고, 새를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고, 개를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고, 자칼을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고, 원숭이를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다. 튼튼한 밧줄로 묶은 뒤 가운데에서 묶은 뒤에 풀어줄 것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여러 대상과 여러 영역을 가진 그 여섯 생명은 제각각의 영역과 대상으로 잡아끌 것이다. 뱀은 ‘나는 개미탑으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악어는 ‘나는 물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새는 ‘나는 허공으로 날아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개는 ‘나는 마을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자칼은 ‘나는 묘지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원숭이는 ‘나는 숲으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 여섯 동물이 지치고 피곤해질 때, 그 가운데서 더 힘이 센 생명에게 그들은 따를 것이고 그가 끄는 대로 끌려갈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몸에 속한 사띠를 닦고 많이 행하지 않은 비구에게 그 안(眼)은 마음에 드는 색(色)들에 대해 잡아끌고, 마음에 들지 않는 색(色)들로부터는 싫어하여 꺼림이 있다. … 의(意)는 마음에 드는 법(法)들에 대해 잡아끌고, 마음에 들지 않는 법(法)들로부터는 싫어하여 꺼림이 있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단속 아님이 있다.


“kathañca, bhikkhave, saṃvar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cakkhunā rūpaṃ disvā piyarūpe rūpe nādhimuccati, appiyarūpe rūpe na byāpajjati, upaṭṭhitakāyassati ca viharati appamāṇacetaso, t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yathābhūtaṃ pajānāti, yatthassa te uppann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parisesā nirujjhanti ... pe ... jivhā rasaṃ sāyitvā ... pe ...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piyarūpe dhamme nādhimuccati, appiyarūpe dhamme na byāpajjati, upaṭṭhitakāyassati ca viharati appamāṇacetaso, t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yathābhūtaṃ pajānāti yatthassa te uppann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parisesā nirujjhan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단속이 있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안(眼)으로 색(色)을 보고서 사랑스러운 색(色)에 대해 기울지 않고, 사랑스럽지 않은 색(色)에 대해 거부하지 않는다. 몸에 대한 사띠를 확립하고 무량한 심(心)으로 머문다. 그는 생겨난 그 악한 불선법들이 남김없이 소멸하는 자리인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 설(舌)로 미(味)를 맛보고서 …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고서 사랑스러운 법(法)에 대해 기울지 않고, 사랑스럽지 않은 법(法)에 대해 거부하지 않는다. 몸에 대한 사띠를 확립하고 무량한 심(心)으로 머문다. 그는 생겨난 그 악한 불선법들이 남김없이 소멸하는 자리인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seyyathāpi, bhikkhave, puriso chappāṇake gahetvā nānāvisaye nānāgocare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ahi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susumāra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pakkhiṃ gahetvā ... pe ... kukkuraṃ gahetvā... siṅgālaṃ gahetvā... makkaṭaṃ gahetvā daḷhāya rajjuyā bandheyya. daḷhāya rajjuyā bandhitvā daḷhe khīle vā thambhe vā upanibandheyya. atha kho te, bhikkhave, chappāṇakā nānāvisayā nānāgocarā sakaṃ sakaṃ gocaravisayaṃ āviñcheyyuṃ — ahi āviñcheyya ‘vammikaṃ pavekkhāmī’ti, susumāro āviñcheyya ‘udakaṃ pavekkhāmī’ti, pakkhī āviñcheyya ‘ākāsaṃ ḍessāmī’ti, kukkuro āviñcheyya ‘gāmaṃ pavekkhāmī’ti, siṅgālo āviñcheyya ‘sīvathikaṃ pavekkhāmī’ti, makkaṭo āviñcheyya ‘vanaṃ pavekkhāmī’ti. yadā kho te, bhikkhave, chappāṇakā jhattā assu kilantā, atha tameva khīlaṃ vā thambhaṃ vā upatiṭṭheyyuṃ, upanisīdeyyuṃ, upanipajjeyyuṃ. evameva kho, bhikkhave, yassa kassaci bhikkhuno kāyagatāsati bhāvitā bahulīkatā, taṃ cakkhu nāviñchati manāpiyesu rūpesu, amanāpiyā rūpā nappaṭikūlā honti ... pe ... jivhā nāviñchati manāpiyesu rasesu ... pe ... mano nāviñchati manāpiyesu dhammesu, amanāpiyā dhammā nappaṭikūlā honti. evaṃ kho, bhikkhave, saṃvaro hoti.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여러 대상과 여러 영역을 가진 여섯 생명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다. 뱀을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고, 악어를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고, 새를 잡아 … 개를 잡아 … 자칼을 잡아 … 원숭이를 잡아 튼튼한 밧줄로 묶을 것이다. 튼튼한 밧줄로 묶은 뒤 튼튼한 말뚝이나 기둥에 묶을 것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여러 대상과 여러 영역을 가진 그 여섯 생명은 제각각의 영역과 대상으로 잡아끌 것이다. 뱀은 ‘나는 개미탑으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악어는 ‘나는 물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새는 ‘나는 허공으로 날아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개는 ‘나는 마을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자칼은 ‘나는 묘지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고, 원숭이는 ‘나는 숲으로 들어갈 것이다.’라고 잡아끌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 여섯 동물이 지치고 피곤해질 때, 그 말뚝이나 기둥 가까이에 서고, 가까이 앉고, 가까이 눕게 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몸에 속한 사띠를 닦고 많이 행한 비구에게 그 안(眼)은 마음에 드는 색(色)들에 대해 잡아끌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색(色)들로부터는 싫어하여 꺼림이 없다. … 의(意)는 마음에 드는 법(法)들에 대해 잡아끌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법(法)들로부터는 싫어하여 꺼림이 없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단속이 있다.


“‘daḷhe khīle vā thambhe vā’ti kho, bhikkhave, kāyagatāya satiyā etaṃ adhivacanaṃ. tasmātiha vo, bhikkhave, evaṃ sikkhitabbaṃ — ‘kāyagatā no sati bhāvitā bhavissati bahulīkatā yānīkatā vatthukatā anuṭṭhitā paricitā susamāraddhā’ti. evañhi kho, bhikkhave, sikkhitabban”ti. dasamaṃ.


"비구들이여, ‘튼튼한 말뚝이나 기둥에’라는 이 말은 몸에 속한 사띠를 위한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그대들은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 '우리는 몸에 속한 사띠를 닦고 많이 행하고 수레로 삼고 기초로 삼고 확립하고 쌓고 잘 실천하리라.'라고. 참으로,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7. 기타 ― ②퇴보하는 법과 퇴보하지 않는 법과 육처(六處)의 지배 ― (SN 35.96-퇴보하는 법 경)


“parihānadhammañca vo, bhikkhave, desessāmi aparihānadhammañca cha ca abhibhāyatanāni. taṃ suṇātha. kathañca, bhikkhave, parihānadhamm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uppajjanti pāpakā akusalā sarasaṅkappā saṃyojaniyā. tañce bhikkhu adhivāseti nappajahati na vinodeti na byantīkaroti na anabhāvaṃ game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 pe ....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퇴보하는 법과 퇴보하지 않는 법과 육처(六處)의 지배를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그러면 어떻게, 비구들이여, 퇴보하는 법이 있는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긴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허락하고 버리지 않고 제거하지 않고 끝내지 않고 없애지 않는다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것에 대해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한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라고 말했다.’라고 알아야 한다. …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jivhāya rasaṃ sāyitvā uppajjanti ... pe ...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uppajjanti pāpakā akusalā sarasaṅkappā saṃyojaniyā. tañce bhikkhu adhivāseti nappajahati na vinodeti na byantīkaroti na anabhāvaṃ game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evaṃ kho, bhikkhave, parihānadhammo hoti.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설(舌)로 미(味)를 맛보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긴다 …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긴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허락하고 버리지 않고 제거하지 않고 끝내지 않고 없애지 않는다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것에 대해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한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라고 말했다.’라고 알아야 한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퇴보하는 법이 있다.


“kathañca, bhikkhave, aparihānadhamm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uppajjanti pāpakā akusalā sarasaṅkappā saṃyojaniyā. tañce bhikkhu nādhivāseti pajahati vinodeti byantīkaroti anabhāvaṃ game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na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a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 pe ....

 

그러면 어떻게, 비구들이여, 퇴보하지 않는 법이 있는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긴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허락하지 않고 버리고 제거하고 끝내고 없앤다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것에 대해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하지 않는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하지 않음이라 말했다.’라고 알아야 한다. …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jivhāya rasaṃ sāyitvā uppajjanti ... pe ...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uppajjanti pāpakā akusalā sarasaṅkappā saṃyojaniyā. tañce bhikkhu nādhivāseti pajahati vinodeti byantīkaroti anabhāvaṃ gameti,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na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aparihā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evaṃ kho, bhikkhave, aparihānadhammo hoti.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설(舌)로 미(味)를 맛보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긴다 …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긴다. 만약 비구가 그것을 허락하지 않고 버리고 제거하고 끝내고 없앤다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것에 대해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하지 않는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하지 않음이라 말했다.’라고 알아야 한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퇴보하지 않는 법이 있다.


“katamāni ca, bhikkhave, cha abhibhāyatanāni? idha, bhikkhave, bhikkhuno cakkhunā rūpaṃ disvā nuppajjanti pāpakā akusalā sarasaṅkappā saṃyojaniyā.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abhibhūtametaṃ āyatanaṃ’. abhibhāyata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 pe ...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nuppajja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rasaṅkappā saṃyojaniyā. veditabbametaṃ, bhikkhave, bhikkhunā — ‘abhibhūtametaṃ āyatanaṃ’. abhibhāyatanañhetaṃ vuttaṃ bhagavatāti. imāni vuccanti, bhikkhave, cha abhibhāyatanānī”ti. tatiyaṃ.

 

그러면 비구들이여, 육처(六處)의 지배는 무엇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기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것에 대해 ‘이 경지는 지배되었다. 세존은 이것을 육처의 지배라고 말했다.’라고 알아야 한다. …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면서 족쇄에 묶이기 마련인 기억과 사유의 악한 불선법들이 생기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것에 대해 ‘이 경지는 지배되었다. 세존은 이것을 육처의 지배라고 말했다.’라고 알아야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