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11)[께시 품1) 업-과-보(엮여서 익은 값) & 무상조어장부(믿음 - 여래구덕으로의 깨달…

0 174 05.26 09:26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11)[께시 품1) --(엮여서 익은 값) & 무상조어장부(믿음 - 여래구덕으로의 깨달음)](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523)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Y9RYhwGMo5U

 

(AN 4.111-께시 경)은 여래구덕 중 무상조어장부가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경입니다. 말 조련사인 께시가 말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람을 부드럽게-거칠게-부드럽고 거칠게 말을 조련하고, 조련되지 않는 말은 죽여버린다고 말하는데, 성스러운 율에서 가르침을 배제하는 것이 죽이는 것입니다. 이때, 가르침은 업과 보와 태어남의 자리로 설해지는데, 과와 보에 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 행위의 결과, () 과가 다른 조건들과 엮여서 익은 값으로서 경험되는 것. 한편, 무상조어장부는 한역에서는 무상사와 조어장부로 나누어 여래십호를 구성하지만, 테라와다불교에서는 무상조어장부의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하여 여래구덕을 구성합니다.

 

(AN 4.111-께시 경)은 여래구덕(如來九德) 가운데 무상조어장부(無上調御丈夫)가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두 개의 경 중 하나입니다.

 

무상조어장부(無上調御丈夫)를 개별적으로 지시하는 용례

 

실천행을 위한 무상조어장부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4_07&wr_id=10

 

세존께서는 어떻게 사람을 길들이십니까? (AN 4.111-께시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8_02&wr_id=4

 

()-()-() ()에 대한 이해

 

경은 말 조련사인 께시가 부드럽게-거칠게-부드럽고 거칠게 말을 조련하고, 조련되지 않는 말은 죽여버린다고 말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람을 부드럽게-거칠게-부드럽고 거칠게 말을 조련하고, 조련되지 않는 말은 죽여버린다고 말하는데, 성스러운 율에서 가르침을 배제하는 것이 죽이는 것입니다.

 

이때, 가르침은 업()과 보()와 태어남의 자리로 설해지는데, ()와 보()에 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phala) 행위의 결과

(-vipāka) ()가 다른 조건들과 엮여서 익은 값으로서 경험되는 것

 

(AN 3.101-소금 종지 경)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 사람이 업을 거듭 지은 만큼 거듭 그것을 경험한다.’라고. 비구들이여, 이런 존재에게는 범행(梵行)의 삶이 없고, 바르게 괴로움을 끝내기 위한 기회가 알려지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다시 어떤 사람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 사람이 경험되어야 하는 업을 거듭 지은 만큼 보()를 경험한다.’라고. 비구들이여, 이런 존재에게는 범행(梵行)의 삶이 있고, 바르게 괴로움을 끝내기 위한 기회가 알려진다.라고 하는데, ()의 의미 위에서 이해되는 말씀입니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5_10&wr_id=1

 

이렇게 과()와 보()를 구별하여 이해할 때, 이 주제는 업()에는 과()와 보()가 따른다는 법칙성 그리고 업장소멸(業障消滅) 등 삶을 설명하는 중요한 주제들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나는 불교를 믿는다(231128) - 3장 가르침[--(업장소멸) & 십악업과 십선업](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참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6&wr_id=121

 

2. 무상조어장부(無上調御丈夫-anuttaro purisadammasārathi)

 

한역(漢譯)에서는 무상사(無上士-anuttaro)와 조어장부(調御丈夫-purisadammasārathi)로 나누어 여래십호(如來十號)를 구성하지만, 테라와다불교에서는 무상조어장부(無上調御丈夫-anuttaro purisadammasārathi)의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하여 여래구덕(如來九德)을 구성합니다.

 

부처님의 아홉 가지 덕성[여래구덕(如來九德)] ― ①아라한(阿羅漢-모든 번뇌 떠나신 분)-정등각(正等覺-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명행족(明行足-밝음과 실천을 갖추신 분)-선서(善逝-진리의 길 보이신 분)-세간해(世間解-세상일을 모두 훤히 아시는 분)-무상조어장부(無上調御丈夫-어리석은 이도 잘 이끄시는 위없는 분)-천인사(天人師-천상과 인간의 스승)-(-깨달으신 분)-세존(世尊-존귀하신 분)

 

여래구덕(如來九德)에 대해 『나는 불교를 믿는다』 책의 내용을 소개하였는데, 3개의 동영상으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 나는 불교를 믿는다(221213) - 삼귀의 & 아라한-정등각-명행족(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6&wr_id=49

 

• 나는 불교를 믿는다(221227) - 여래구덕(선서-세간해-무상조어장부)(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6&wr_id=51

 

• 나는 불교를 믿는다(230103) - 여래구덕[천인사-불-세존] & 법의 정형구(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6&wr_id=52

 

 

특히, 여래구덕(如來九德)으로의 부처님의 깨달음을 믿는 것이 불교 신자이 믿음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 「해피스님과의 대화(서울 240511) ― 세상2-1)[믿음 - 원초적 바른 견해(공부의 기준 & 스승의 영역에 속하는 것)](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참조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09&wr_id=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