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1-15)[열심히 정진하는 자 - 네 가지 노력 - 아수라의 왕 라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

1 204 2023.08.19 17:45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1-15)[열심히 정진하는 자 - 네 가지 노력 - 아수라의 왕 라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817)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OiORl7HzO8w

 

(AN 4.11-움직임 경)(AN 4.12-계 경)노력하고, 남의 책망을 두려워하며, 언제나 항상 확고한 의지로써 열심히 정진하는 자를 설명합니다. (AN 4.13-노력 경)은 네 가지 바른 노력을, (AN 4.14-단속 경)은 단속-버림-수행-보호의 -네 가지 노력을 설명합니다. (AN 4.15-알려진 것 경)은 네 가지 으뜸이라고 알려진 것들을 소개하는데, ()를 피할 수 없는 자들 가운데는 아수라 왕 라후가 으뜸이고, 소유하고자 하는 자들 가운데는 만다따 왕이 으뜸이며, 지배력을 가진 자들 가운데는 마라 빠삐만뜨가 으뜸이고,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 그리고 사문-바라문과 신과 사람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여래-아라한-정등각이 으뜸입니다

 

2. caravaggo 움직임 품

 

(11) (AN 4.11-움직임 경)

 

노력하지 않고 타책을 두려워하지 않고 언제나 항상 게으르고 노력이 저열한 자 움직일 때-서 있을 때-앉아있을 때-누워있을 때 소유의 생각-분노의 생각-폭력의 생각이 떠오르고, 그것을 허락하고 버리지 않고 제거하지 않고 끝내지 않고 없애지 않는 자

 

노력하고, 남의 책망을 두려워하며, 언제나 항상 확고한 의지로써 열심히 정진하는 자 움직일 때-서 있을 때-앉아있을 때-누워있을 때 소유의 생각-분노의 생각-폭력의 생각이 떠오르고, 그것을 허락하지 않고 버리고 제거하고 끝내고 없애는 자

 

(12) (AN 4.12-() ) ()를 갖추고, 계목(戒目)을 갖추어 머물 것

 

노력하지 않고 타책을 두려워하지 않고 언제나 항상 게으르고 노력이 저열한 자 움직일 때-서 있을 때-앉아있을 때-누워있을 때 다섯 가지 장애가 버려지고, 게으르지 않아 열심히 정진하고, 사띠는 확립되어 잊히지 않고, 몸은 진정되어 흔들리지 않고, ()은 집중되어 삼매를 닦는

 

(13) (AN 4.13-노력 경) 네 가지 바른 노력[사정근(四正勤)]

 

마라의 이름 ― ①빠삐만뜨, 두시, 나무찌

 

(14) (AN 4.14-단속 경) 네 가지 노력 단속의 노력, 버림의 노력, 수행의 노력, 보호의 노력

 

단속의 노력 기능의 단속

 

버림의 노력 불선(不善)의 위딱까를 떠오르게 두지 않고 버리고 제거하고 끝내고 없앰

 

버림의 노력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離貪)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칠각지(七覺支)를 닦음

 

버림의 노력 일어난 행운의 삼매의 상()을 보호함 해골의 상(), 벌레들이 버글거리는 상(), 검푸른 빛을 띤 상(), 구멍이 숭숭 뚫린 상(), 부푼 상().

 

(15) (AN 4.15-알려진 것 경) 네 가지 으뜸이라고 알려진 것들

 

()를 피할 수 없는 자들 가운데는 아수라 왕 라후가 으뜸

소유하고자 하는 자들 가운데는 만다따 왕이 으뜸

지배력을 가진 자들 가운데는 마라 빠삐만뜨가 으뜸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 그리고 사문-바라문과 신과 사람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여래-아라한-정등각이 으뜸

 

()를 피할 수 없는 자(attabhāvī)

 

bhāvī: going to be; inevitable. (adj.)

bhāvin (adj.) [fr. bhāva, Epic Sk. bhāvin "imminent"] "having a being," going to be, as -- ˚ in avassa˚; sure to come to pass, inevitable

 

; attabhāvī는 주석에 의하면 몸을 가진 자입니다. 그래서 ‘etadaggaṃ, bhikkhave, attabhāvīnaṃ yadidaṃ rāhu asurindo’몸을 가진 자들 가운데는 아수라의 왕 라후가 으뜸이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몸을 가지는 것은 욕계(慾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를 포괄하는 중생의 특성이기 때문에 그 가운데 으뜸은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신들이라고 해야 하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때, bhāvī를 사전적 의미 그대로 피할 수 없는 자라고 해석하면 attabhāvī는 아()를 피할 수 없는 자가 됩니다.

 

부처님이 천인사(天人師) 즉 신과 인간의 스승인 이유는 인간보다 낮은 삶에 속하는 존재들은 삶의 향상을 실천하여 윤회에서 벗어나기 위한 인지 조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아수라는 오도윤회(五道輪廻)의 한 갈래를 차지하지는 않지만, 아귀보다는 높고 인간보다는 낮은 존재라는 이해 위에서 이 문장을 해석하면 그 삶에 의해서는 윤회에서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고, 그런 존재 가운데서는 가장 높기 때문에 그들의 왕 라후가 아()를 피할 수 없는 자 가운데 으뜸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Comments

대원행 2023.10.26 21:23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7_02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