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63~65)[불교의 효 - 운반되듯 놓임 - 모습-소리-거친 삶-법으로 재어보고 믿음](근본경…

0 123 04.07 10:51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63~65)[불교의 효 - 운반되듯 놓임 - 모습-소리-거친 삶-법으로 재어보고 믿음](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404)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nMm71V3CqwI

 

(AN 4.63-범천 경)은 부모를 공경하는 가문에 대해 범천-이전의 스승-이전의 신들과 함께하는 가문이라고 하는데, ()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알려줍니다. 무엇보다도 부모님을 공경하는 것으로의 효는 보시--수행과 함께 공덕행이라는 이해가 중심에 있습니다. (AN 4.64-지옥 경)죽음 이후를 직접 언급하는 표현인 운반되듯 지옥 또는 천상에 놓인다.’에 속합니다. (AN 4.65-색 경)은 모습(보이는 것)-소리(말하는 것)-거친 삶-법을 재어보고 확실한 믿음을 가지는 네 부류의 사람을 말하는데, 소유의 삶 존재의 삶 벗어남을 위한 삿된 길(고행) 벗어남을 위한 바른길(사성제-팔정도)단계적 향상 과정으로 이해하였습니다.

 

(AN 4.63-범천 경)은 집에서 자식들이 부모를 공경하는 가문에 대해 범천과 이전의 스승 그리고 이전의 신들과 함께하는 가문이라고 하는데, 부모는 자식들을 돌보고, 양육하고, 이 세상을 가르쳐주는 등 많은 일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부모가 범천인 이유를 자---사 사무량심(四無量心)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전의 스승인 이유는 이 세상을 가르쳐 주기 때문 그리고 신에 대한 봉헌의 측면에서 이전의 신인 이유를 설명하였습니다.

 

이 경의 주제는 효()인데, ‘주제의 확장(AN-7) ‒ 「불교(佛敎)의 효()에서 정리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부모님을 공경하는 것으로의 효()는 보시--수행과 함께 공덕행(功德行)이라는 이해가 중심에 있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114

 

(AN 4.64-지옥 경)은 생명을 해치고, 주지 않은 것을 가지고, 음행에 대해 삿되게 행하고, 거짓을 말하는 네 가지 법을 갖춘 사람은 운반되듯 지옥에 놓인다고 하는데, ‘죽음 이후를 직접 언급하는 표현들 3)운반되듯 지옥 또는 천상에 놓인다.에서 정리하였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352

 

(AN 4.65-색 경)은 모습(보이는 것)-소리(말하는 것)-거친 삶-법을 재어보고 확실한 믿음을 가지는 네 부류의 사람을 말합니다.

 

(-rūpa)은 문맥에 따라 물질-보이는 것-몸의 세 가지 의미가 있는데, 여기서는 보이는 것이어서 겉모습으로 판단하고 믿음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ghosa는 소리인데, sadda와 구별되어야 합니다.

 

sadda: sound; noise; a word. (m.) 소리. 잡음-소음. 단어

ghosa: sound; shout; utterance. (m.) 소리. 외침-소리침. 발언

 

그래서 여기서는 발언 즉 주장-가르침으로 판단하고 믿음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특히, (MN 43-교리문답의 큰 경)은 바른 견해가 생기기 위한 두 가지 조건으로 남의 목소리(parato ghoso)와 여리작의(如理作意-yoniso manasikāro)를 말하는데, 여기의 의미와 같습니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5_03&wr_id=30

 

거친 삶(lūkha)은 고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MN 12-사자후 큰 경)에서 설명됩니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2_02&wr_id=4

 

법은 바른 깨달음에 의해 지시되는 사성제(四聖諦)의 법이라고 이해하였는데, 바르게 진리-사실로써 재어보고 확실한 믿음을 가지는 삶입니다.

 

한편, 게송은

 

1) 모습을 재어보고 소리를 따르는(anvagū) 사람 욕탐의 지배를 받음 겉모습을 보고 믿음을 일으켜 그의 주장을 따르는 낮은 삶(소유)에 속한 사람

 

2) 전반적으로 무명에 덮여서 안의 것을 알지 못하고 밖의 것을 보지 못하는 사람 (욕탐의 극복을 위해 모습을 재어보지는 않지만) 소리에 이끌림(vuyhati) 소유의 삶은 넘어섰지만, 존재의 삶에 속한 안팎의 오염원을 해소하는 길 즉 벗어남의 영역으로 들어서지 못한 사람

 

3) 안의 것은 알지 못하지만, 밖의 것은 통찰하여 밖으로 과()를 보는 사람 소리에 이끌림(vuyhati) 여실지견(如實知見)한 예류자

 

4) 안의 것을 꿰뚫어 알고 밖의 것을 통찰하여 장애 없이 보는 사람 소리에 이끌리지 않음(na vuyhati) 해탈지견(解脫知見)한 아라한

 

을 설명합니다.

 

이때, 안과 밖은 나와 세상, 내입처와 외입처, takka의 안과 밖을 말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takka의 안과 밖으로 이해하였습니다.

 

그리고 거친 삶(lūkha)은 소유의 삶을 넘어 존재의 삶에 오른 수행자가 존재의 삶에서 벗어나 해탈된 삶을 실현코자 하는 과정에서 고()를 수반하는 길인데, 바른 방법이 아니어서 깨달을 수 없지만, 법은 바른길이어서 깨달을 수 있습니다.

 

이런 단계적 향상 과정은 (SN 56.11-전법륜 경)의 가르침에서 확인됩니다. →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 (3-1)dhammacakkappavattanasuttaṃ (SN 56.11-전법륜 경)[깨달음의 재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530)참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4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