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95~100)[아수라 품2) 네 부류의 사람들 & 최상의 버터 비유](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0 135 05.13 18:56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95~100)[아수라 품2) 네 부류의 사람들 & 최상의 버터 비유](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509)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hJ0ShV-OXf4

 

앙굿따라 니까야 넷이 모음 열 번째 아수라(asura) 품의 경 6개를 공부하였습니다. 앞의 5경은 네 부류의 사람이라는 같은 주제를 다른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 ①자기의 이익은 위하지만 남의 이익은 위하지 않는 실천을 하는 사람, 남의 이익은 위하지만 자기의 이익은 위하지 않는 실천을 하는 사람, 자기의 이익도 위하지 않고 남의 이익도 위하지 않는 실천을 하는 사람, 자기의 이익도 위하고 남의 이익도 위하는 실천을 하는 사람. 이때, 「③ → ② → ① → ④」의 순서로 더 훌륭하고 더 뛰어난 순서를 설명하는데, [우유 응유 생 버터 정제된 버터 최상의 버터]의 용례를 참조하였습니다

 

앙굿따라 니까야 넷의 모음 열 번째 아수라(asura) 품의 경 6개를 공부하였습니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7_10

 

1. (AN 4.95-시체를 태운 횃불토막 경)~(AN 4.99-학습계율 경)은 네 부류의 사람이라는 같은 주제를 설명합니다.

 

자기의 이익은 위하지만 남의 이익은 위하지 않는 실천을 하는 사람,

남의 이익은 위하지만 자기의 이익은 위하지 않는 실천을 하는 사람,

자기의 이익도 위하지 않고 남의 이익도 위하지 않는 실천을 하는 사람,

자기의 이익도 위하고 남의 이익도 위하는 실천을 하는 사람

 

1) (AN 4.95-시체를 태운 횃불토막 경) ― 「③ → ② → ① → ④」의 순서로 더 훌륭하고 더 뛰어난 순서를 설명. 특히, 남의 이익을 위한 실천보다 자기의 이익을 위한 실천이 더 앞선다는 점을 주목해야 함.

 

[우유 응유 생 버터 정제된 버터 최상의 버터]의 용례 참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363

 

2) (AN 4.96-()의 제어 경) ()의 제어를 위한 실천의 측면에서 나의 실천과 남의 실천을 위해 부추기는 일

 

3) (AN 4.97-빠른 주의 경) 자기 내적인 성숙을 이끄는 측면(나의 실천)과 다른 사람을 가르치고 이끄는 측면(남의 실천을 부추김)

 

4) (AN 4.98-자기의 이익 경) 설명 없이 네 부류의 사람만 소개

 

5) (AN 4.99-학습계율 경) 오계의 측면에서 내가 오계를 지니는 실천과 남에게 오계를 지니도록 부추기는 일

 

2. (AN 4.100-뽀딸리야 경)은 칭찬할 만한 사람에게 적절한 때에 칭찬하는 말을 하는 것과 칭찬할 만하지 않은 사람에게 적절한 때에 칭찬하지 않는 말을 하는 것에서 4가지 경우를 설명합니다.

 

이때, 외도인 뽀딸리야 유행승은 두 경우 모두 말하지 않음 즉 무관심에 의한 불개입에 따르는 평정(*)이 더 훌륭하고 더 뛰어나다고 말하는데, 부처님은 그때그때 때를 알아 적절한 때에 칭찬하는 말과 칭찬하지 않는 말을 하는 것이 더 훌륭하고 더 뛰어나다고 가르칩니다. 뽀딸리야 유행승은 귀의하여 재가 신자가 됩니다.

 

(*) 이때의 평정은 무관심-불개입에 의해 심()이 거기로 작용하지 않는 데서 생기는 소극적 상태를 지시합니다. 수행을 통해 제사선(第四禪)에서 생겨나는 적극적인 평정과는 다르다는 점을 설명하였음.

 

주제의 확장 (28)바르게 말하기 kāla-bhūta-attha(때에 맞고-사실이고-이익되는)참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2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