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2 - (201-246)[계율 제정의 이유 & 탐의 반복(수행 방법 포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3 451 2022.03.20 21:25

▣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2 - (201-246)[계율 제정의 이유 & 탐의 반복(수행 방법 포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20317)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EbNGHO24amw

 

학습계율 등을 제정한 이유를 열 쌍 스무 가지로 설명합니다. 이때, 갈마(羯磨-kamma)라는 용어가 나타나는데, 수계(受戒)ㆍ참회(懺悔)ㆍ결계(結界) 등의 계율에 관한 행사에서, 멸죄생선(滅罪生善)의 힘을 얻기 위한 작법(作法) 의식<표준국어대사전>입니다. 그래서 승가의 공식적인 모든 업무를 뜻하는 전문술어로 정착되었습니다. ()의 반복 품은 대상인 불선법(不善法) 17가지에 대한 실다운 지혜 등 10가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앙굿따라 니까야의 둘~열하나의 모음은 모두 반복 품으로 끝나는데, 17가지에 대한 10가지 목적의 성취를 위해 닦아야 하는 수행 방법의 숫자만 모음의 수에 맞춰 제시합니다

 

1. vinayapeyyālaṃ (AN 2.201-202-230-율(律)의 반복)


• (201) 학습계율을 제정한 이유 ― 열 쌍 스무 가지


 

 

학습계율을 제정한 이유

(AN 10.31-우빨리 경)

1

승가의 뛰어남을 위하여

승가의 편안함을 위하여

2

침묵하기 힘든 자들을 억제하기 위하여

잘 행동하는 비구들의 편안한 머묾을 위하여

3

지금여기에 속하는 번뇌들을 단속하기 위하여

다음 생에 속하는 번뇌들을 저항하기 위하여

4

지금여기에 속하는 원망들을 단속하기 위하여

다음 생에 속하는 원망들을 저항하기 위하여

×

5

지금여기에 속하는 결점들을 단속하기 위하여

다음 생에 속하는 결점들을 저항하기 위하여

×

6

지금여기에 속하는 두려움들을 단속하기 위하여

다음 생에 속하는 두려움들을 저항하기 위하여

×

7

지금여기에 속하는 불선법(不善法)들을 단속하기 위하여

다음 생에 속하는 불선법(不善法)들을 저항하기 위하여

×

8

재가자들을 연민하기 위하여

악한 바람을 가진 비구들의 편 가름을 끊기 위하여

×

9

믿음이 없는 자들을 믿음으로 이끌기 위하여

믿음이 있는 자들을 더욱 확대시키기 위하여

10

정법(正法)을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을 보조하기 위하여



• (202-230) ― 열 쌍 스무 가지가 적용되는 다른 제정


계목(戒目)-계목(戒目)의 암송-계목 암송 참여의 중지-자자(自恣)-자자 참여의 중지-고절갈마(苦切羯磨)-의지갈마(依止羯磨)-구출갈마(驅出羯磨)-영사죄갈마(令謝罪羯磨)-거죄갈마(擧罪羯磨)-별주갈마(別住羯磨)-가중처벌-마나타갈마(摩那埵羯磨)-출죄(出罪)-사면복권-한시퇴출-구족계(具足戒)-단백갈마(單白羯磨)-백이갈마(白二羯磨)-백사갈마(白四羯磨)-제정하지 않은 것을 새로 제정함-제정된 것을 보충하는 것-현전비나야(現前毘奈耶)-억념비나야(憶念毘奈耶)-불치비나야(不痴毘奈耶)-자인(自認)-다인어(多人語)-멱죄상(覓罪相)-여초복지법(如草覆地法)


☞ 용어의 의미는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4_08&wr_id=1참조.


※ 갈마(羯磨-kamma) ― 수계(受戒)ㆍ참회(懺悔)ㆍ결계(結界) 등의 계율에 관한 행사에서, 멸죄생선(滅罪生善)의 힘을 얻기 위한 작법(作法) 의식.<표준국어대사전>


; [초기불전연구원, 앙굿따라니까야, 제1권 주해 327] ‘갈마(羯磨)’는 kamma의 음역이다. 경장에서 kamma는 의도적 행위를 뜻하며 중국에서는 업(業)으로 옮겼다. 그러나 율장에서는 승가의 공식적인 업무를 말하며 수계식, 출죄, 징벌, 사원의 운영이나 인사(人事) 등의 승가의 공식적인 모든 업무를 뜻하는 전문술어로 정착되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갈마(羯磨)라 음역하여 업(業)과 구분하고 있다.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앙굿따라니까야 제2권 주해 435] 갈마라는 것은 광의로는 승단의 의례를 말하지만 특히 승단 내부의 다툼을 해결하는 작법을 말한다. → 이하는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앙굿따라니까야 제2권 주해임.


2. rāgapeyyālaṃ (AN 2.231-232-246-탐(貪)의 반복)


1) 대상인 불선법(不善法)들 – 17가지


탐(貪-rāga)-진(嗔-dosa)-치(癡-moha)-화(kodha)-원한(upanāha)-저주(makkha)-횡포(paḷāsa)-질투(issa)-인색(macchariya)-사기(māya)-교활(sāṭheyya)-고집(thambha)-격분(sārambha)-자기화(māna)-오만(atimāna)-잠김(mada)-방일(pamāda)의 


2) 목적 – 10가지


실다운 지혜(abhiññā)-완전한 지혜(pariññā)-완전한 부서짐(parikkhaya)-버림(pahāna)-부서짐(khaya)-무너짐(vaya)-바램(virāga)-소멸(nirodha)-포기(cāga)-놓음(paṭinissagga)를 위해 


3)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3.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 ― 앙굿따라 니까야 둘의 모음 ~ 열하나의 모음


; 앙굿따라 니까야의 둘의 모음~열하나의 모음은 모두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으로 끝나는데, 대상인 불선법(不善法)들 17가지에 대한 10가지 목적의 성취를 위해 닦아야 하는 수행 방법의 숫자만 모음의 수에 맞춰 제시합니다. 


특히, 성취 방법은 여러 가지의 상(想)을 포함하는데, 이유를 설명하였습니다. ― 무명(無明)에 덮이고 애(愛)에 묶여 옮겨가고 윤회하는 중생의 근본 문제는 번뇌 즉 전도(轉倒)된 상(想)이어서 상(想)의 전도의 강도를 해소해 가는 것이 불교 수행의 본질임. 그래서 상(想)-락(樂)-아(我)-정(定)의 전도된 상(想)을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부정(不淨)의 전도되지 않은 상(想)으로 바꿔가야 함[전도의 강도의 해소]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상(想)을 닦는 것으로 성취 방법을 제시하는 것임.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56 주제의 확장(AN-3) ‒ 탐(貪)의 반복(rāgapeyyālaṃ) 


Comments

대원행 2022.04.27 14:56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4_08&wr_id=1&page= 참조 (AN 2.201-202-230-율(律)의 반복)
대원행 2022.04.27 15:02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4_09 참조 (탐의 반복)
대원행 2022.04.30 20:47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90 참조 (수행개요) - 마음과 기능의 관계[올챙이, 개구리 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