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초기불교(개론-신행지침 220722) - [염처수행 & 다섯 가지 기능(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초기불교(개론-신행지침 220722) - [염처수행 & 다섯 가지 기능(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xAK3RlZ_F9c

 

염처(念處)와 염처수행(念處修行) 수행지도(修行地圖)의 관점에서 집중하여 삼매를 성취하는 1차적인 대상을 이어보며 머무는 것은 염처(念處)이고, 삼매 위에서 드러나는 2차적인 대상의 무상(無常)을 이어보며 머무는 것은 염처수행(念處修行)[=법의 위빳사나]

 

오근(五根)① ― 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 정진의 기능=정정진(正精進), 사띠의 기능=정념(正念), 삼매의 기능=정정(正定), 지혜의 기능=사성제(四聖諦)의 꿰뚫음

 

; 사띠[()] 눈뜸, 지혜[()]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1_01&wr_id=8

 

오근(五根)② ― 즐거움의 기능[락근(樂根)], 괴로움의 기능[고근(苦根)], 만족의 기능[희근(喜根)], 고뇌의 기능[우근(憂根)], 평정의 기능[사근(捨根)]

 

; ()과 심()에 속한 느낌 & ()에서 생긴 느낌

 

; 즐거움의 기능과 만족의 기능 즐거움의 경험[()], 괴로움의 기능과 고뇌의 기능 괴로움의 경험[()], 평정의 기능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의 경험[불고불락(不苦不樂)] 다섯 가지 기능은 다섯이면서 셋이 되고, 셋이면서 다섯이 됨.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