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 (2-3)dukkhānupassīsuttaṃ (AN 7.17-고(苦)를 이어 보는 자 경…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2-3)dukkhānupassīsuttaṃ (AN 7.17-()를 이어 보는 자 경)(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510)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1Q10ZUW5ToM

 

()들의 무상(無常)에 이어 고()를 주제로 하는 (AN 7.17-고를 이어 보는 자 경)에서는 고()의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1. (SN 22.94-꽃 경)은 상()하고 안정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 것인(niccaṃ dhuvaṃ sassataṃ avipariṇāmadhammaṃ) 오온(五蘊)은 세상에 없고, 무상(無常)하고 괴롭고 변하는 것인(aniccaṃ dukkhaṃ vipariṇāmadhammaṃ) 오온(五蘊)은 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상() 무상(無常), 안정되고 영원함 괴로움(), 변하지 않는 것 변하는 것(無我)의 대응을 보여주는데, 괴로움()은 안정되지 못하고 영원하지 않은 성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3_01&wr_id=8

 

2. (DN 33-합송경)의 세 가지로 구성된 법은 tisso dukkhatā dukkhadukkhatā, saṅkhāradukkhatā, vipariṇāmadukkhatā 세 가지 고()의 성질 고고성(苦苦性), 행고성(行苦性), 괴고성(壞苦性)입니다. 이때, 고고성(苦苦性)은 삶이 과정에서 경험하는 구체적 아픔이고, 행고성(行苦性)은 무상(無常) 즉 조건들이 결합해서 결과를 만드는 이치에서 조건들이 제어되지 않음에 따르는 결과의 불만족이고, 괴고성(壞苦性)은 그렇게 만들어진 결과 조차 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변하는 데에 따르는 괴로움입니다.

Comments

대원행 01.05 21:54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924&page=6 참조 (아침 독송(231014) - (AN 7.17-고를 이어보는 자 경)과 (AN 7.18-무아를 이어보는 자 경) & (SN 1.7-알려지지 않음 경)과 (SN 1.8-아주 혼란스러움 경) & 포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