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 (4-9)bhaddekarattasuttaṃ (MN 131-상서로운 하룻밤 경)[과거-미래-현재](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622)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MxQhnCIUhNY
1. (MN 131-상서로운 하룻밤 경)은 맛지마 니까야 제14-분석품(vibhaṅgavaggo)에 속한 경입니다. 분석 품은 어떤 주제의 분석 즉 주제에 대한 정의인데, 12개의 경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경 |
주제 |
(MN 131-상서로운 하룻밤 경) |
과거-미래-현재 |
(MN 132-아난다의 상서로운 하룻밤 경) |
|
(MN 133-마하깟짜나의 상서로운 하룻밤 경) |
|
(MN 134-로마사깡기야의 상서로운 하룻밤 경) |
|
(MN 135-업 분석의 짧은 경) |
업(業) |
(MN 136-업(業) 분석의 큰 경) |
|
(MN 137-육처(六處) 분석 경) |
육처(六處) |
(MN 138-대강의 분석 경) |
밖으로 흩어지지 않고 산란하지 않은 식(識) 등 |
(MN 139-평화의 분석 경) |
평화 |
(MN 140-요소의 분석 경) |
육계(六界) 등 |
(MN 141-진리의 분석 경) |
사성제 |
(MN 142-보시 분석 경) |
포교의 공덕 & 보시 |
2. 과거-미래-현재 —과거를 이어 머물지 말고, 미래를 동경하지 말라. 과거는 버려졌고, 미래는 얻지 못했다. 현재의 법을 거기서 거듭 통찰하라. 현명한 자는 흔들리지 않게 꾸준히 그것을 실천해야 한다.
• 어떻게 과거를 이어 머무는가?
• 어떻게 과거를 이어 머물지 않는가?
• 어떻게 미래를 동경하는가?
• 어떻게 미래를 동경하지 않는가?
• 어떻게 현재의 법에 대해 끌려가는가?
• 어떻게 현재의 법에 대해 끌려가지 않는가?
※ 과거-미래-현재를 설하는 다른 표현 ― 과거의 색에 대해 갈망하지 않고, 미래의 색을 기뻐하지 않고, 현재의 색을 염오하고 이탐하고 소멸하기 위해 실천한다. ― (SN 22.79-삼켜버림 경) 등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3_01&wr_id=5
3. ‘배우지 못한 범부와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의 용례 ― 배우지 못한 범부의 아(我)를 전제한 관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03참조
• 배우지 못한 범부의 아(我)를 전제한 관찰 — 현재의 법에 대해 끌려감 → 통찰하지 못함
• 성스러운 제자의 아(我)를 전제하지 않은 관찰 — 현재의 법에 대해 끌려가지 않음 → 통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