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 (6-10)samādhibhāvanāsuttaṃ (AN 4.41-삼매수행 경)[바른 삼매…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 (6-10)samādhibhāvanāsuttaṃ (AN 4.41-삼매수행 경)[바른 삼매의 구성 = 집중-관찰-느낌](해피스님 230819)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deuquSb8Wzs

 

삼매수행 = 삼매의 성취에서 번뇌가 부서진 깨달음까지의 과정

 

닦고 많이 행하면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으로 이끄는 삼매수행 → ②()와 견()의 얻음으로 이끄는 삼매수행[법의 드러남] →③()-정지(正知)로 이끄는 삼매수행[여실지견] → ④번뇌들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삼매수행[해탈지견]

 

관심 사항

 

1.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 불교 수행은 괴로움의 과정으로 행복을 완성하는 과정이 아니라 행복의 과정으로 행복을 완성하는 깨달음의 길임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85. 보디 왕자 경[행복으로 더 큰 행복을 일구는 불교] 참조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9_05&wr_id=57

 

2. ()와 견()의 얻음 여실지견(如實知見)을 위해서는 관찰의 대상이 필요한데,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의 삼매 위에서 관찰 대상인 내적이고 2차적인 대상을 드러나게 하는 수행 과정 = 내적인 심()의 사마타

 

; 법의 드러남 = 불방일(不放逸)

 

; 삼매 수행을 구성하는 세 가지 ― ①집중(내적인 심()의 사마타 사마타), 관찰(법의 위빳사나 위빳사나), 느낌(개발된 느낌의 향상)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집중

소유의 삶과 불선법에서 벗어남

 

위딱까-위짜라 있음

위딱까-위짜라의 가라앉음

 

안으로 평온함과 심()의 집중

 

위딱까-위짜라 없음

평정하게 머묾

평정

관찰

-

 

사띠와 바른 앎

청정한 사띠

느낌

떨침에서 생긴 희()와 락()

삼매에서 생긴 희()와 락()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

불고불락(不苦不樂)

 

3. ()-정지(正知) ()의 위빳사나 여실지견(如實知見)

 

4. 번뇌들의 부서짐 오취온(五取蘊)에서 생겨남과 무너짐을 이어보면서 머묾 = 위빳사나의 구체적 방법

 

; 자라남-줄어듦 행위 영역에서의 고()와 고멸(苦滅)

 

; 연기(緣起) 행위와 인식 양면 즉 삶의 전체 과정에서의 고()와 고멸(苦滅)

 

; 행위는 욕탐(欲貪)에 의해 인식으로 순환하므로 자라남-줄어듦의 관찰은 그대로 연기의 관찰과 같음

 

; 위빳사나의 구체적 방법 = 오취온(五取蘊)에서 생겨남과 무너짐을 이어보면서 머묾 또는 연기(緣起)의 관찰

Comments

아빈뇨 2023.08.23 14:31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3.12.18 20:35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486 참조 (초기불교 백일법문 보충(231218) - (AN 4.41-삼매수행 경)[삼매수행에서의 대상의 전개 ― 「호흡 - 수(心相) - 드러나는 법)
대원행 05.07 21:23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o&wr_id=122 참조 (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507)] - (AN 4.41-삼매수행 경)[삼매 - 집중-관찰-느낌 & 세 단계 대상의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