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초기불교 백일법문(수행경전) ― (별책 대념처경5)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 (DN 22-대념처경)[受-心념처,…

초기불교 백일법문(수행경전) (별책 대념처경5)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 (DN 22-대념처경)[-념처, 단수-복수 & 후렴 해설](근본경전연구회230915)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N_4XW4uJLj0

 

사념처(四念處) 중 수념처(受念處)와 심념처(心念處)를 설명한 뒤, ()-()은 단수, ()-()은 복수로 제시되는 이유를 설명하였습니다.

 

1. 단수-복수

 

신념처는 9개의 소분류 대상이 제시되는데, 각각은 몸이라는 하나의 구성으로 대상이고, 소분류 없이 포함되는 심념처도 심()이라는 하나의 구성으로 대상이기 때문에 단수입니다. 반면에, 수념처는 소분류는 없지만 대상인 느낌이 락()-()-불고불락(不苦不樂)3개로 구성되고, 법념처는 5개의 소분류 대상이 제시되는데, 다섯 가지 장애라는 법은 소유의 관심-진에-해태혼침-들뜸후회-의심의 5개로 구성되는 등 소분류 모두가 복수로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입니다.

 

2. 후렴

 

1) 7개의 vā(또는 or) 여실지견(如實知見)의 과정

 

• ①~③ ― 몸에서 몸을 이어보는데, --안팎에 머묾 = 필수품을 갖춘 삼매와 내적인 심()의 사마타 ()이 드러남

 

; (비유) 그릇 안에 있는 물에 얼굴을 비춰 얼굴이란 법을 드러나게 하는 과정

 

그릇을 흔들리지 않게 고정 = 필수품을 갖춘 삼매(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으로 이끄는 삼매수행)

→ ⓑ고정된 그릇 안에서 아직 흔들리는 물의 흔들림을 멈춤 = 내적인 심()의 사마타(()와 견()의 얻음으로 이끄는 삼매수행)

→ ⓒ물의 흔들림이 가라앉으면 얼굴을 비춰 볼 수 있음 = 법이 드러남

 

• ④~⑥ ― 몸에 머물면서 자라나는-무너지는-자라나고 무너지는 법을 이어봄 = 드러난 법()의 무상(無常)을 관찰함 = ()의 위빳사나(()-정지(正知)로 이끄는 삼매수행)

 

; (비유) 물에 비춰진 얼굴을 보면서 관찰함 = ()이 드러나면 혜()로써 무상(無常)을 관찰하지만, 물을 멈추기 위해 고정한 그릇은 변함없이 고정되어 있어야 함 = 밖으로는 몸에 머묾

 

주제의 확장 (14)samudayadhammānupassī-vayadhammānupassī의 의미참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14

 

• ⑦ ― 오직 앎만이 있고 밀착된 사띠만이 있을 때까지 몸이 있다라고 사띠를 확고히 함 =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심()을 가진 자 = 여실지견(如實知見)

 

주제의 확장 (15)paṭissati(밀착된 사띠)참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15

 

2)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붙잡지 않음 해탈지견(解脫知見)의 과정(번뇌들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삼매수행)

 

떨침-이탐-소멸의 과정을 넘어섬 번뇌의 부서짐 무명의 버려짐 ()의 부서짐 = 애멸(愛滅) ()의 작용성인 ālaya(잡기-잡음)의 해소 붙잡지 않음 = 취멸() 고멸(苦滅)

 

사념처(四念處) 수행은 이런 과정으로 해탈지견(解脫知見)에 이름 열반의 실현을 위한 유일한 경로

Comments

대원행 2023.12.30 21:16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1004 참조 ( 아침독송 1230 ― (DN 22/MN10-대념처 경) 3) - 신념처3)[수념처와 심념처 & 후렴 해설] & (SN 1.58-잘못된 길 경)[범행을 닦는 자의 더러움 & 물 없는 목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