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서적출판 >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독송집(초기불교 백일법문)

초기불교 백일법문(수행경전) ― (별책 신념처경3)kāyagatāsatisuttaṃ (MN 119-몸에 속한 사띠 경)[명으로…

초기불교 백일법문(수행경전) (별책 신념처경3)kāyagatāsatisuttaṃ (MN 119-몸에 속한 사띠 경)[마라의 영역 & ()으로 연결되는 법들](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926)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A7E3qL-B4Y&t=3s

 

마라가 기회를 얻고 대상을 얻는 영역 = 몸에 속한 사띠를 닦고 많이 행하지 않는 영역 = 법이 드러나지 않은 영역 = 현상의 영역이고 사실의 영역에 들어서지 못한 영역 마라가 지배력을 행사하는 영역은 현상의 영역임

 

(MN 119-몸에 속한 사띠 경)4가지 개념 중 3번째로 ()으로 연결되는(vijjābhāgiyā)’의 용례를 살펴보았습니다. (MN 119-몸에 속한 사띠 경)의 중심 주제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1&wr_id=123

 

()번뇌들의 부서짐에 의해 무명(無明)이 버려질 때생기는 것인데, 이런 명()으로 연결되는 것을 사실의 영역에서 세 가지로 소개합니다.

 

몸에 속한 사띠를 닦고 많이 행하는 자는 명()으로 연결되는 선법(善法)들을 포함 내적인 심()의 사마타에 의해 법()이 드러날 때부터 사실의 영역 즉 무상(無常)의 관찰이 시작됨 (MN 119-신념처경)/(AN 1.563-584-599-몸에 속한 사띠 품)

 

여섯 가지 명()으로 연결된 법들 사실의 영역의 전체 과정(*) 무상(無常)의 상(), 무상(無常)에 대한 고()의 상(), ()에 대한 무아(無我)의 상(), 버림의 상(), 이탐(離貪)의 상(), 소멸(消滅)의 상() (SN 55.3-디가부 남신자 경)/(AN 6.35-()과 연결된 경)

 

(*) 드러난 법(2차적인 내적 대상) 법의 위빳사나 여실지견(如實知見)[삼매의 제약 위에 있는 깨달음] 사마타-위빳사나 해탈지견(解脫知見)[삼매의 제약이 해소된 일상에서의 깨달음]

 

두 가지 명()으로 연결된 법들 여실지견(如實知見) 이후 해탈지견(解脫知見)의 과정 사마타-위빳사나 (AN 2.22-32 어리석은 자 품)

Comments

대원행 2023.10.02 21:47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439 참조 (초기불교 백일법문(수행경전) ― (별책 입출식념경1)ānāpānassatisuttaṃ (MN 118-입출식념경)[도입부 - 자자와 상가]
대원행 2023.12.16 22:39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2_08&wr_id=9 참조 (초기불교 백일법문 별책 수행 경전의 3회 방송분 정리)
대원행 2023.12.25 21:16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2_09&wr_id=6 참조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19.신념처 경[삼매수행에서 대상의 전개 & 현실과 사실의 영역(마라) & 삼매수행의 구성(집중-관찰-느낌)]
대원행 01.11 23:31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n&wr_id=1013 참조 (아침독송(240111) 신념처경3)[사실의 영역(明으로 연결) - 마라 - 사띠토대] & (SN 1.67~69)